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임금의 도시 : 서울의 풍경과 권위의 연출 / 이기봉 지음
임금의 도시 : 서울의 풍경과 권위의 연출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임금의 도시 : 서울의 풍경과 권위의 연출 / 이기봉 지음
  • ·발행사항 서울 : 사회평론, 2017
  • ·형태사항 289 p. :천연색삽화, 지도, 초상 ;23 cm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64358283  03980 : \20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911.0028  듀이십진분류법-> 911.519  
  • ·주제명 역사 지리[歷史地理]서울(특별시)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이기봉 지음 2017 SE0000373748 911.0028-18-1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이기봉 지음 2017 SE0000373749 911.0028-18-1=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프롤로그 - 우리 풍경의 뿌리를 찾아서 

1 임금의 도시, 서울의 탄생 
성씨가 다른 새로운 왕이 즉위하다 / 고려의 흔적을 지워라 
최후의 수단, 천도 / 천도를 둘러싼 임금과 신하의 줄다리기 
사는 곳이 곧 권력이다 / 명분을 가진 자가 모든 걸 가진다 
태조의 승리 / 마침내 태어난 ‘임금의 도시’ 

2 보이지 않는 서울의 풍경 
신도시 한양의 청사진 / 궁궐 앞에 주작대로 대신 시장이 있다? 
계승과 단절, 두 마리 토끼를 잡다 / 조선시대에 태평로는 왜 없었을까? 
어디에서도 보이지 않는 경복궁 / 과거 보러 가는 선비의 한양 구경 
시야를 통제하며 3단계 풍경을 만들다 / 나라의 근본, 종묘와 사직 
골육상쟁의 기억을 품은 창덕궁 / 세종의 효심, 창경궁 
왕기가 서린 경희궁 / 임금의 풍경을 연출하라

3 우리 전통건축물은 왜 작을까? 
위치가 바뀌면 풍경이 바뀐다 / 외국의 건축물은 왜 이리 거대한 걸까? 
하늘을 찌를 듯한 삼국시대의 탑들 / 권위를 시각화하는 또 다른 방법

4 한국 풍경의 기원을 찾아서 
서울 풍경은 유교 때문에 생긴 것일까? / 법흥왕, 죽음까지 혁신하다 
가장 오래된 3단계 풍경 / 풍수는 지배자를 위한 사상이었다 
명당은 살기 좋은 땅일까? / 지배와 피지배의 살풍경이 남아 있는 풍수 
땅의 논리인가, 하늘의 논리인가? / 하늘, 배경으로 밀려나다 
이데올로기의 풍경

5 장소가 만든 역사의 풍경 
거대도시 경주의 풍경 / 그 많던 높은 목탑들은 어디로 갔을까? 
낮은 석탑이 만든 감은사의 3단계 풍경 / 목탑에서 석탑으로 
궁예, 견훤, 왕건, 그리고 도시 삼국지 / 개성은 최초의 풍수 도시였다

6 임금과 공간의 정치학 
고려는 풍수 때문에 망한 걸까? / 위태로운 왕권과 훈요십조 
천도가 아니면 새 나라를?묘청의 서경천도운동 / 고려 최후의 시도 
풍수는 어떻게 한반도의 문화유전자가 되었나

7 방어력 없는 성곽의 비밀 
선조, 도성을 버리고 피난 가다 / 한양은 왜 무방비로 함락되었을까? 
명당은 방어에 유리할까? / 서울 성벽은 왜 해자가 없고, 낮을까? 
왜 높은 성벽을 만들지 않았을까? 
산이 드문 곳에는 높은 건물을 짓고, 산이 많은 곳에는 낮은 것을 만든다 
소 잃고 산성 고치기 / 산성의 나라가 된 조선

8 감시와 통제의 밤 풍경 
보신각의 종소리는 아름다웠을까? / 음모의 밤 / 야경꾼과 딱다기 
물시계는 누구를 위해 흘렀을까? 

9 사라진 정원의 풍경 
우리나라에는 왜 정원이 별로 없을까? / 임금의 정원 
높고 웅장하게 솟은 경회루 / 조선의 미니멀리즘, 향원정 
골짜기에 숨겨진 절경, 창덕궁 후원 / 손가락이 아닌 달을 봐야 정원이 보인다 
외부로 펼쳐진 정원 / 가공하지 않은 자연 속 정원

에필로그 - 보이지 않는 우리 풍경을 어떻게 볼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