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미디어의 출현과 근대소설 독자 = A study on the appearance of the modern media and the readers' formation of modern novels / 지은이 : 전은경
미디어의 출현과 근대소설 독자 = A study on the appearance of the modern media and the readers' formation of modern novels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미디어의 출현과 근대소설 독자 = A study on the appearance of the modern media and the readers' formation of modern novels / 지은이 : 전은경
  • ·발행사항 서울 : 소명출판, 2017
  • ·형태사항 834 p. :삽화 ;24 cm
  • ·주기사항 참고문헌: p. 826-833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59052149  93810 : \55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813.609  듀이십진분류법-> 895.734  
  • ·주제명 한국 근대 소설[韓國近代小說]소설사[小說史]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지은이: 전은경 2017 SE0000370102 813.609-18-1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지은이: 전은경 2017 SE0000370103 813.609-18-1=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머리말

제1장 독자 연구와 근대문학
1. 독자 연구의 의미
 1) 왜 지금 ‘독자’인가
 2) ‘독자’ 개념에 대한 문제
2. 독자 개념의 근대성
 1) 번역된 개념어, ‘독자’와 근대 매체
 2) ‘독자’라는 개념의 파장
 3) 의사소통의 장이 배태한 새로운 개념, 독자
 4) 독자 개념의 중층성

제2장 근대계몽기 신문 매체 서사물과 새로운 지식인층의 성장
1. 문학과 정치의 상관관계, 공론장에 등장한 독자-『독립신문』
 1) 『독립신문』의 성격과 편집 전략
 2) 논설과 서사적 장치의 활용
 3) 독자층이 만들어낸 공론장과 문학의 역할
 4) 정치적 자아에서 문학적 자아로의 이행
 5) 『독립신문』, 문학텍스트로서 다시 읽기
2. 매체의 이중적 사유와 ‘인민’ 독자층의 출현-『협성회회보』와 『매일신문』
 1) 『협성회회보』와 『매일신문』의 편집 전략 및 이중 정책
 2) 수사적 장치를 활용한 지식인 독자층의 글쓰기
 3) 고발 및 소통을 위한 ‘인민’의 글쓰기
 4) ‘개인’의 발견과 새로운 지식인 독자층의 출현
 5) 새로운 지식인, ‘인민’으로서의 독자층
3. 새로운 독서 형식의 시도와 지식인 소설 독서그룹의 탄생-『대한민보』
 1) 『대한민보』의 이분화 정책-‘읽기’와 ‘쓰기’의 분리
 2) ‘읽기’ 분화 정책과 소설의 교차 연재
 3) 새로운 소설 형식의 시도와 혼합되는 독서계층
 4) 편집의 전략과 지식인 소설 독서그룹의 탄생
 5) 매체의 소설 읽기 학습

제3장 근대계몽기 신문 매체 서사물과 대중 독자층의 성장
1. 근대 대중문학의 형성과 대중지향성-『만세보』
 1) 『만세보』의 개화 의지와 대중지향성
 2) 『만세보』의 ‘독자투고란’과 한글 독자
 3) 신문연재소설과 독자층의 성향
 4) 일본 『미야코신문都新聞』의 경향과 『만세보』의 신문연재소설
 5) 근대 대중문학 독자의 기원
2. 문학의 역할과 소통의 장-『경향신문』
 1) 『경향신문』의 취지와 목적 
 2) 논설의 주제별 경향과 특징
 3) ‘쇼셜’란의 강화와 계도적 지도
 4) ‘우슴거리’의 풍자적 비판과 배치의 미학
 5) 소문의 기사화와 소통의 장으로서의 ‘공함’
 6) 배치의 미학과 참여
3. 독자 수용 전략과 근대 초기 독자층의 형성-『대한매일신보』
 1) 한글판 『대한매일신보』의 정책과 독자투고
 2) 여성 독자층의 성장과 문예면
 3) ‘편편기담’과 새로운 글쓰기의 등장
 4) 근대 초기 독자층의 형성과 1910년대 『매일신보』
 5) ‘듣는’ 독자로부터 ‘읽는’ 독자로

제4장 신문 매체와 ‘쓰는 독자’
1. ‘풍림’과 지식인 독자의 서사적 글쓰기-『대한민보』
 1) 『대한민보』와 독자란 ‘풍림諷林’의 특징
 2) ‘풍림’의 서술적 표현 방식과 서사의 개입
 3) 구조 학습의 효과와 소설의 접합 
 4) 『대한민보』의 이중적 전략과 지식인 독자들의 서사 글쓰기 욕망
 5) 지식인 독자층과 ‘풍諷’이라는 정체성
2. 지식인 독자의 읽기/쓰기와 풍자의 근대성-『대한민보』
 1) 독자문예면으로서의 ‘풍림諷林’과 대화체 서사
 2) 반복을 통한 언어유희와 이중적 풍자
 3) 구조 형식의 반복과 토론체 소설
 4) ‘쓰기’와 ‘읽기’의 교호 작용-‘풍자’의 근대성
 5) 풍자의 형식과 매체의 결합
3. ‘편편기담’과 ‘쓰는 독자’의 출현-『대한매일신보』
 1) 초기 한글판 신문 편집과 ‘편편기담’
 2) 저작자 표기와 창작의 개입
 3) 서사의 유입과 대중적 경향
 4) ‘쓰는 독자’의 출현과 그 의미
 5) 현상공모의 시작으로서의 ‘편편기담’
4. 구조 학습의 효과와 재생산적 글쓰기-『대한매일신보』
 1) ‘독자문예면’의 스토리 구성과 진행과정
 2) 변형요소들의 간섭과 변화 구조-형식적 변환 장치
 3) 욕망의 재생산 구조-내용적 변환 장치
 4) 개방적 커뮤니케이션의 역할과 구조 학습의 효과 
 5) 독자의 서사적 욕망과 재생산적 글쓰기

제5장 근대계몽기 해외 유학생 잡지와 근대문학
1. 표제 배치와 소설 개념의 주체적 정립-『태극학보』
 1) 『태극학보』의 기획과 주제 구성
 2) 표제 구성과 문예면의 확장
 3) 표제별 장르 분류와 배치의 문제
 4) 배제와 구분을 통한 소설 개념의 주체적 정립 과정
 5) 산문 정신과 근대문학
2. ‘소설’란의 출현과 문학 독자의 형성-『대한흥학보』
 1) 『대한흥학보』의 주제 구성 및 기획
 2) 쓰는 자=읽는 자의 상호교통의 장
 3) 문예면의 기획과 확장
 4) 유학생의 고민과 산문정신의 발현
 5) ‘소설’란의 개념화와 문학 독자의 형성
 6) 새로운 문학의 태동-잡지 독자층의 공통감

제6장 근대계몽기 국내 잡지와 근대문학
1. 역사의 서사화 과정과 ‘몽유’의 변주-『서우』
 1) 『서우』의 편집 의도와 주제 구성
 2) 표제 체계와 배치
 3) 역사의 서사화 과정 
 4) 몽유적 구조와 역사의 근대적 변용-‘인물고’의 ?을지문덕전?과 ‘잡조’의 ?몽배을지장군기?
 5) 몽유록계의 발전 가능태
2. 글쓰기 형식 훈련과 ‘읽기’의 이중화 전략-『소년』
 1) 잡지 『소년』의 발간 상황과 독자 참여 유도
 2) 독자투고의 제도화와 글쓰기 형식 훈련-제도적 전략
 3) 매체-독자 간 커뮤니케이션 전략-편집기술적 전략
 4) 『소년』의 독자 전략의 전환과 이중적 장치
 5) ‘쓰기’에서 ‘읽기’로의 강화-독자층 ‘소년’의 분화

제7장 잡지 매체와 독자 글쓰기의 실험
1. 상호소통적 글쓰기와 ‘서사’ 양식의 실험-『태극학보』
 1) 『태극학보』 독자층의 경향
 2) ‘기서’와 국내 독자층의 요구
 3) ‘독자문예’와 상호소통적 글쓰기
 4) 유학생 ‘자의식’의 성장과 ‘서사’ 양식의 실험
 5) 저자와 독자의 공통감과 ‘관계성’
 6) 서사 장르의 역동적인 공간
2. 개인적 고백의 서사와 계몽적 글쓰기의 경계-『서우』
 1) ‘공함’ 및 ‘기서’의 활성화와 학회지의 확장
 2) ‘읽기’로부터 ‘쓰기’로
 3) 학생 독자의 글쓰기 실험과 서사적 차용
 4) 자기 고백의 서사와 계몽의 경계
 5) 근대의 잡지 매체-혼성의 공간

제8장 동아시아의 매체적 경향과 독자층 비교
1. 식민지 조선의 번역문학과 번역자의 문제
 1) 번역자의 태도와 ‘의도된 읽기’
 2) 1910년대 번역문학과 번역자의 의도
2. 한·일 번역문학과 근대독자층 비교
 1) 가정소설적 신파물과 여성 독자층의 반향-『장한몽』과 『금색야차(金色夜叉)』
 2) 복수스릴러물과 남성 독자층의 포용-『해왕성』과 『암굴왕(巖窟王)』
 3) 한·일 독자 경향의 차이와 근대독자의 성장
 4) 번역자의 의도와 독자 반응의 시너지 효과
3. 한·중·일 번역문학과 독자 경향 비교
 1) 중국의 근대 번역문학과 『파리차화녀유사(巴黎茶花女遺事)』-중국식 근대의 생산
 2) 일본의 근대 번역문학과 『춘희(椿姬)』-남성 소설 독자와 여성 소설 독자의 분리
 3) 한국의 근대 번역문학과 『홍루(紅淚)』-‘읽기’의 학습
 4) 동아시아 독자층의 차이와 ‘지적 영역으로서의 애(愛)’
 5) 독자 비교 연구와 남은 과제

참고문헌
초출일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