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다시 보는 한하운의 삶과 문학 = Explore again Han Haun's life and literature : the song of life overcoming exclusions caused by leprosy and leftism : 나병과 좌익, 이중의 배제를 넘는 생의 노래 / 부평역사박물관 엮음 ;필자 : 고은,최원식,정우택,박민규,김현석,최옥산,요시카와 나기,박연희,고봉준,최서윤
다시 보는 한하운의 삶과 문학 = Explore again Han Haun's life and literature : the song of life overcoming exclusions caused by leprosy and leftism : 나병과 좌익, 이중의 배제를 넘는 생의 노래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다시 보는 한하운의 삶과 문학 = Explore again Han Haun's life and literature : the song of life overcoming exclusions caused by leprosy and leftism : 나병과 좌익, 이중의 배제를 넘는 생의 노래 / 부평역사박물관 엮음 ;필자 : 고은,최원식,정우택,박민규,김현석,최옥산,요시카와 나기,박연희,고봉준,최서윤
  • ·발행사항 서울 : 소명출판, 2017
  • ·형태사항 399 p. :삽화(일부천연색), 초상 ;24 cm
  • ·주기사항 참고문헌 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59052309  93810 : \25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811.6209  듀이십진분류법-> 895.71409  
  • ·주제명 한하운,韓何雲,1920-1975시 평론[詩評論]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부평역사박물관 엮음 ;필자: 고은,최원식,정우택,박민규,김현석,최옥산,요시카와 나기,박연희,고봉준,최서윤 2017 SE0000368657 811.6209-18-1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부평역사박물관 엮음 ;필자: 고은,최원식,정우택,박민규,김현석,최옥산,요시카와 나기,박연희,고봉준,최서윤 2017 SE0000368658 811.6209-18-1=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발간사
축사_ 슬프지만 아름다운 시정신

1부 『한하운시초』 전말기
한하운 선생님을 기리면서-고  은
한하운과 『한하운시초』-최원식
이병철과 ‘한하운 시집 사건’, 휴전 후 문단 ‘정화’의 시발-정우택
‘한하운 사건’ 이후의 한하운과 시세계의 변모 양상-박민규

2부 새로 찾은 한하운 연보
한하운의 ‘역사만들기’와 ‘인간개업’ 선언-김현석
베이징 농학원 시절과 중국의 한하운-崔玉山
한하운과 일본-요시카와 나기
한하운과 아카시 가이진-요시카와 나기

3부 문둥이를 넘어 생명으로
한하운 시에 나타난 월남의식과 ‘문둥이’ 표상_『한하운시초』(1949/1953)와 『보리피리』(1955)를 중심으로-박연희
세계 상실에 맞선 생명의 영가靈歌_한하운의 시세계-고봉준
‘문둥이’의 육체로부터 시인의 영혼을 보존하라!_한하운 시의 모호한 자기 인식 구조를 중심으로-최서윤

한하운 연보
편집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