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중국 고전문론의 현대적 해석 / 통칭빙 지음 ;김승일,이경민 옮김
중국 고전문론의 현대적 해석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중국 고전문론의 현대적 해석 / 통칭빙 지음 ;김승일,이경민 옮김
  • ·발행사항 파주 : 경지출판사, 2017
  • ·형태사항 772 p.;26 cm
  • ·주기사항 원표제:中华古代文论的现代阐释
    원저자명: 童慶炳
    중국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86819470  03140 : \398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820.9  듀이십진분류법-> 895.109  
  • ·주제명 중국 고전[中國古典]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통칭빙 지음 ;김승일,이경민 옮김 2017 SE0000390772 820.9-17-1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통칭빙 지음 ;김승일,이경민 옮김 2017 SE0000390773 820.9-17-12=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통칭빙 지음 ;김승일,이경민 옮김 2017 SE0000432576 820.9-17-12=3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서론 
1. 본 과제의 사회 현실적 배경  
2. 본 과제 연구의 현황 및 분석  
3. 본 과제 연구의 학술적 전략  

제1장  유교― 도교― 불교  ― 중국 고전 문론의 문화적 뿌리 
1. 유가의 문학 관념    
2. 도가의 문학사상    
3. 불가의 문학 관념    
4. 유가와 도가의 시가 기능론   
5. 유가, 도가, 불가 문학사상의 상호 보완작용 

제2장 ‘기(氣)’―‘신(神)’―‘운(韻)’―‘경(境)’―‘미(味)’― 중국 고전 문론의 민족 문화적 개성  
1. 중국 고전 문론의 기본 범주 : 기(氣), 신(神), 운(韻), 경(境, 미(味)  
2. 화(和 : 기(氣), 신(神), 운(韻), 경(境), 미(味)의 공통적 민족문화의 뿌리 
3. 전체적 유동성 : 기(氣), 신(神), 운(韻), 경(境), 미(味)를 통섭하는 문학의 독특한 형식       
4. 텅 빔 : 기(氣), 신(神), 운(韻), 경(境), 미(味)의 초월성   
5. 고대 문론의 민족 문화적 개성을 형성하는 사회경제적 요인  

제3장 감물(感物) ― 언지(言志) ― 원도(原道) ― ‘천인합일(天人合一)식의 문학 본체론  
1. ‘사물과의 감응[感物]’― 첫 번째 연쇄관념    
2. ‘언지(言志)’― 두 번째 연쇄관념     
3. ‘원도(原道)’― 세 번째 연쇄 관념    

제4장 ‘눈 속[眼中]’―‘마음속[胸中]’―‘손으로 그려낸[手中]’ ― ‘마음속에 완성된 대나무가 있다[胸有成竹]’는 식의 문학창작론  
1. ‘눈 속의 대나무[眼中之竹]’에서부터 ‘손으로 그려낸 대나무[手中之竹]’까지     
2. ‘경물에 마주하여 마음으로 깨닫는다[卽景會心]’와 예술적 직관    
3. ‘신사(神思)’와 예술적 상상        
4. ‘마음속에서 대나무가 완성된다[成竹於胸]’와 예술적 심상(心象) 형상    
5. ‘사람을 놀라게 하는 시어[出語驚人]’와 예술적 표현     

제5장 
‘언외(言外)’―‘상외(象外)’―‘운외(韻外)’  ― ‘문외지중지(文外之重旨)’식의 문학작품론  
1. 대의 문학 작품론에 대한 회고     
2. 언어[言], 의미[意], 형상[象]과 문학작품의 세 차원   
3. 미는 ‘언어 밖[言外]’, ‘형상 밖[象外]’, ‘운치의 밖[韻外]’에 존재한다.   
4. 성정과 의미 ? 문학작품의 ‘지극함[至處]’    

제6장
‘허정(虛靜)’―‘역지(逆志)’―‘품미(品味)’ ― ‘지음(知音)’식의 문학 독자론  
1. ‘문장의 정취는 변별하기가 어렵다[文情難鑒]’― 독자의 의미   
2. ‘허정(虛靜)’과 ‘무기(無己)’― 독자의 마음과 심리상태  
3. ‘독자의 마음으로 작가의 마음을 헤아린다[以意逆志]’―독자 수용 과정의 대화적 성질    
4. ‘무한한 함축성’― 독자에게 보내는 의미의 초청장   
5. ‘음미[品味]’와 ‘함영(涵泳)’― 시의적 전체 파악   

제7장
‘지사적분(志思蓄憤)’-‘정경융합(情景融合)’- ‘연사결채(聯辭結采)’ 중국 고전문학의 서정론  
1. ‘가슴 속에 울분이 쌓이고[志思蓄憤]’― 예술적 정감의 형성의 첫 번째     
2. ‘정경융합’― 예술적 정감 생성의 두 번째     
3. ‘연사결채(聯辭結采)’― 예술적 정감 생성의 세 번째   
4. ‘고향[家園] 정서’와 ‘독창성[獨造]’― 서정의 사회성과 개성   
5. ‘평담平澹’― 서정의 민족성      
6. ‘부ㆍ비ㆍ흥(賦ㆍ比ㆍ興)’― 정감의 표현 방식    

제8장 
‘격물(格物)’― ‘성격(性格)’― ‘한필(閑筆)’ ― 중국 고대 문학 서사론     
1. ‘서사는 역사학에서 나왔다’- 중국 고대 문학 서사의 기원   
2. ‘격물(格物)’과 ‘동심(動心)’― 서사문학 작가의 조건과 재능   
3. ‘인정과 도리에 맞는 사건[事體情理]’과 ‘자연 그대로의 그림[天然圖畵]’ ― 서사문학의 예술적 진실성      
4. ‘같으면서도 같지 않음을 구별한다[同而不同處有辨]’ ― 서사문학 인물 성격의 창조      
5. ‘한필(閑筆)이라고 한가하진 않다.’― 문학서사 기능의 확대와 연장  
6. ‘잡다하되 도를 넘지 않는다[雜而不越]’― 문학 서사의 기술 방법  

제9장 
‘의상(意象)’- ‘의경(意境)’- ‘전형(典型)’  ― 중국 고전문학의 심미 이상론  
1. 서양 문학이상론의 성광과 아쉬움    
2. ‘의상(意象)’― 상징주의 문학의 이상    
3. ‘의경(意境)’― 서정주의 문학의 이상    
4. ‘전형(典型)’― 사실주의 문학의 이상     

제10장
‘전통’- ‘해석’- ‘새로운 변화’  ― 중국 문학이론의 통(通)과 변(變)    
1. 단절되어서는 안 되는 전통     
2. 해석 ? 전통의 계승과 혁신을 위한 반드시 거쳐야 할 길  
3. 고금동서를 기초로 한 새로운 변화의 실현   

부록 1 참된 의미의 획득과 새로운 의미의 발산 ― 중국 고전 문론 연구의 방법론에 대하여  
부록 2 《문심조룡文心雕龍》의 ‘잡이불월雜而不越’설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