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물과 미래 = Water for the future : 2014 세계 물의 날 자료집 : water and energy / 지은이 : 국토교통부,K water
물과 미래 = Water for the future : 2014 세계 물의 날 자료집 : water and energy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물과 미래 = Water for the future : 2014 세계 물의 날 자료집 : water and energy / 지은이 : 국토교통부,K water
  • ·발행사항 서울 : 생각쉼표 :휴먼컬처아리랑, 2015
  • ·형태사항 361 p. :삽화, 도표, 지도 ;22 cm
  • ·주기사항 권말부록: 자주 인용되는 물관련 주요 data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55653845  93450 : \40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539.98  듀이십진분류법-> 363.7  
  • ·주제명 수자원[水資源]환경 보전[環境保全]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지은이: 국토교통부,K water 2015 SE0000375973 539.98-17-19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1. 세계의 물 ·································10
ㆍ지구의 물 부존량 ㆍ지구상의 물의 순환
ㆍ미래의 물 전망 ㆍ국가별 수자원 현황
ㆍ국가별 물 사용량 지표 (물 발자국)
2. 우리나라의 물 ······························19
ㆍ수자원 부존량 ㆍ가용수자원량
ㆍ강수 및 유출 특성 ㆍ수자원 이용현황
ㆍ장래 물 수급 전망
3. 물 분쟁 ···································26
ㆍ주요 국제 공유하천 현황
ㆍ물 사용량의 반 이상을 인접국가와 공유하는 국가
ㆍ국제 공유하천의 물 분쟁 사례
ㆍ물 분쟁 해결 노력
ㆍ남북한 공유하천 현황
1. 기상변화 ··································34
ㆍ이상기후 발생 현황
ㆍ지구 온난화에 따른 영향
ㆍ지구 기상변화에 따른 피해상황
ㆍ자연재해가 역사에 영향을 끼친 사례
ㆍ기후변화 협약과 그 영향
ㆍ온실가스 배출현황 및 정부 대응방향
ㆍUN 기후변화 당사국 총회 회의내용
ㆍCDM 사업과 배출권거래제
2. 홍수 ·····································56
ㆍ연도별 재해추세
ㆍ최근 10년간 자연재해 피해
ㆍ수계별 자연재해 추세
ㆍ최근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친 주요 태풍(1987~2012)
ㆍ과거 주요호우 및 태풍피해 순위 (1위~20위)
ㆍ시기별 대규모 홍수피해 현황
ㆍ2012년 홍수 피해
ㆍ세계의 대규모 물 관련 자연재해
ㆍ홍수위험지수
3. 가뭄 ·····································70
ㆍ가뭄의 정의
ㆍ우리나라 주요 가뭄피해
ㆍ과거 주요가뭄시 제한급수지역
ㆍ세계의 주요 가뭄피해
ㆍ우리나라 각 부문별 최고 기상 기록
  2014 물과 미래 Water and Energy
04
안정적인 물 확보
및 공급
4. 가뭄과 홍수에 대한 역사적 기록 ··················75
ㆍ삼국시대 ~ 조선시대
ㆍ일제강점기
ㆍ연대별 주요 기록 횟수
ㆍ재해극복을 위한 선조들의 지혜
03
재해에 강한
국토기반 구축
1. 우리나라의 수자원 시설 ························84
ㆍ우리나라의 하천
ㆍ권역별 현황 및 특성
ㆍ하천 유량변동계수 비교
ㆍ우리나라의 댐 현황
ㆍ세계의 댐·총 저수 용량 순서(베스트 10)
ㆍ다목적댐 현황
ㆍ건설중인 댐 현황
ㆍ기존댐 재개발
ㆍ청정 에너지원으로서의 수력발전
ㆍ다목적댐 건설의 필요성
ㆍ재해극복을 위한 노력
ㆍ다목적댐의 홍수조절 효과
ㆍ댐 주변지역 지원사업
ㆍ기존댐 주변지역 정비사업
ㆍ치수능력 증대사업
2. 재해관리체계 ·······························108
ㆍ수자원장기종합계획 ㆍ유역 종합 치수계획
ㆍ댐건설장기계획 ㆍ하천기본계획
ㆍ지하수관리 기본계획 ㆍ예·경보체계
ㆍ국가재난관리체계 ㆍ가뭄상황 관리체계
1. 수돗물 현황 ································124
ㆍ1인당 1일 물 사용량 추세
ㆍ국가별 수돗물 사용량 비교
ㆍ외국의 가정용수 사용량과의 비교
ㆍ세계 주요도시 물 사용량 비교
ㆍ연도별 상수도 보급률 현황
ㆍ지역별 상수도 보급률 현황
ㆍ다른 공공재와의 보급률 비교
ㆍ연도별 광역상수도(공업용수도 포함) 공급 현황
ㆍ지역별 광역상수도 공급 현황
ㆍ건설중인 광역상수도 사업 현황
ㆍ공업용수도 현황
ㆍ건설중인 공업용수도 사업 현황
ㆍ고도정수처리시설
ㆍ수돗물 요금 현황
Water for the Future Contents
  2014 물과 미래
05
환경친화적
수자원 관리 및 하천정비
안정적인 물 확보
및 공급
04
06
하수도 부문
1. 하수도 현황 ································216
ㆍ연도별 하수도 보급 추이 및 국제비교
ㆍ수계별 하수도 보급률 현황
ㆍ시·도별 하수도 보급률 현황
ㆍ연도별 하수관거 보급현황
ㆍ시·도별 하수관거 보급현황
ㆍ연도별 하수도 요금 변화 추이
ㆍ시·도별 하수도 요금 현황
ㆍ공공하수처리수 재이용현황
ㆍ하수슬러지 발생 및 처리현황
1. 환경친화적 수자원 개발·관리 ···················188
ㆍ환경친화적 댐 건설·관리
ㆍ댐 이용활성화
ㆍ환경친화적 수질개선 시설물 운영
ㆍ댐·보 상류지역 생태습지 조성 및 관리
ㆍ하천 어류보전을 위한 및 어도설치 운영
2. 환경친화적 하천정비 ··························204
ㆍ친환경 하천조성
ㆍ삶의 질 향상에 도움을 주는 하천환경개선을 위한 물
2. 수도정비기본계획(광역상수도 및 공업용수도) ·········140
ㆍ의의 및 성격
ㆍ12개 권역별 광역 용수공급 체계 구축
ㆍ권역별 급수체계조정 사업계획
ㆍ광역상수도 및 공업용수도 사업계획
ㆍ비상연계시설 확충 계획
3. 산업용수 ··································148
ㆍ산업용수 시장 규모 및 전망 ㆍ산업용수 기술동향
4. 지하수 ···································153
ㆍ지하수 개발 가능량 및 용도별 이용 현황
ㆍ연도별 지하수 이용 실태
ㆍ지역별 지하수 이용 현황
ㆍ지하수 불용공 관리
ㆍ국가 지하수 관측망 설치 현황
ㆍ지하수의 수질검사
ㆍ가뭄대비 나눔지하수사업
5. 대체수자원 개발 ·····························163
ㆍ해수담수화 ㆍ지하수댐
ㆍ중수도 ㆍ빗물 이용
ㆍ인공강우 ㆍ녹색댐
ㆍ강변여과수 ㆍ해양심층수
Water and Energy
Water for the Future Contents
부 록
08
국내외 물산업 동향 및
新재생에너지
07
수자원 관리의 과학화
1. 수계 내 이수·홍수·발전 통합운영 ················226
ㆍ고품질 수문자료 생산을 위한 국가 수문자료 품질관리시스템 운영
ㆍ효율적 수자원관리를 위한 하천유량관리시스템 구축
ㆍ홍수예보시스템의 선진화
ㆍ댐, 보 및 하천 상황을 실시간 감시하기 위한 수문정보시스템 운영
ㆍ슈퍼컴퓨터와 3D 항공사진을 활용한 댐·유역 수자원 통합관리체계
ㆍ슈퍼컴 기반의 댐-보유역 고해상도 정량 강우예측시스템 (K-PPM)
ㆍGCM 기반 정량적 장기 강우예측시스템
ㆍ홍수 시 댐-보-하천의 통합 해석을 위한 홍수분석모형(FAS) 구축
ㆍICT기술을 기반으로 한 발전통합운영 체계
ㆍGIS 기반의 수문자료와 영상을 융합한 상시 물 재해 감시시스템 운영
ㆍ지능형 유역통합물관리 의사결정지원 툴킷(K-HIT) 개발
ㆍ수자원 정보화
2. 고도의 수질분석 서비스 체계 구축 ·················243
ㆍ수질분석연구센터 현황
ㆍ수질분석 지원 및 연구
1. 물산업 ···································248
ㆍ급성장하는 세계 물시장 - 통합물관리사업의 큰 기회
ㆍ세계 물산업의 트렌드 - 광역화, 전문화, 기술혁신
ㆍ선도국가의 물산업 전략 - 민관 협력
ㆍ국내 물산업 현황 - 건설·제조 중심의 편중된 산업구조
ㆍ국내 물산업 육성과 해외진출 전략
2. 국제협력 ··································262
ㆍ글로벌 국제협력
ㆍ우리나라의 국제협력 참여 현황
ㆍ국제협력 여건변화와 전망
3. 세계 물포럼 ································271
ㆍ추진배경
ㆍ추진경위
ㆍ제7차 세계 물포럼
4. 수자원을 활용한 新재생에너지 ···················278
ㆍ국내 신재생에너지 현황
ㆍ신재생에너지 자원 잠재량
ㆍ신재생에너지 보급 전망
부록 ·······································284

4.부록
1.KP,KPN번호와 분석코드 대응표 202
2.보증씨수소3대혈통(이비만 표시) 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