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한일 고전문학 속 비일상 체험과 일상성 회복 = Experiences of non-daily life and recovery of everyday life in Korean and Japanese classical literature : 기적과 신이, 경험과 상상의 카니발 / 공편자 : 정형,윤채근 ;필자 : 이도흠,우쓰이 신이치,엄태웅,김정희,소메야 도모유키,신익철,아베 야스로,한정미,강상순,후쿠다 야스노리,엄기영,김정숙
한일 고전문학 속 비일상 체험과 일상성 회복 = Experiences of non-daily life and recovery of everyday life in Korean and Japanese classical literature : 기적과 신이, 경험과 상상의 카니발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한일 고전문학 속 비일상 체험과 일상성 회복 = Experiences of non-daily life and recovery of everyday life in Korean and Japanese classical literature : 기적과 신이, 경험과 상상의 카니발 / 공편자 : 정형,윤채근 ;필자 : 이도흠,우쓰이 신이치,엄태웅,김정희,소메야 도모유키,신익철,아베 야스로,한정미,강상순,후쿠다 야스노리,엄기영,김정숙
  • ·발행사항 서울 : 소명출판 , 2017
  • ·형태사항 409 p. :삽화, 도표 ;23 cm
  • ·총서사항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학술총서 ;06)
  • ·주기사항 참고문헌 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59051517  93830 : \25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800.09  듀이십진분류법-> 809  
  • ·주제명 비교 문학[比較文學]한국 문학[韓國文學]일본 문학[日本文學]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공편자: 정형,윤채근 ;필자: 이도흠,우쓰이 신이치,엄태웅,김정희,소메야 도모유키,신익철,아베 야스로,한정미,강상순,후쿠다 야스노리,엄기영,김정숙 2017 SE0000369603 800.09-17-8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공편자: 정형,윤채근 ;필자: 이도흠,우쓰이 신이치,엄태웅,김정희,소메야 도모유키,신익철,아베 야스로,한정미,강상순,후쿠다 야스노리,엄기영,김정숙 2017 SE0000369604 800.09-17-8=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서문

제1부 ― 비일상성
제1장  『삼국유사』에서 비일상성의 서사화 원리와 양상―이도흠
1. 머리말
2. 이물과 이계의 의미작용의 원리
3. 풍류도 시대에서 타계, 이계와 이물의 형성 및 접촉과 서사화
4. 풍류만다라시대에서 타계, 이계와 이물의 형성 및 접촉과 서사화
5. 화엄정토만다라시대에서 타계, 이계와 이물의 형성 및 접촉과 서사화
6. 맺음말

제2장  일본 고전문학에 나타난 시체(死體) 묘사의 계보―우쓰이 신이치
1. 머리말-‘시체’의 양의성(兩義性)에 대해서
2. The Body-‘시체’에 의해 성장하는 이야기
3. 「푸른 두건」-‘시체’를 먹는다는 것
4. 「기비쓰의 가마솥 점」-쇼타로(正太郞)의 ‘시체’의 행방
5. 맺음말

제3장  경판본 「구운몽」에 나타난 비일상적 면모의 변모 양상과 의미―엄태웅
1. 머리말-선본 「구운몽」의 비일상성
2. 문제제기
3. 경판본 변모의 양상
4. 경판본 변모의 의미
5. 맺음말

제4장  헤이안 시대 중기의 저주와 음양사―김정희
1. 머리말
2. 헤이안 시대 중기의 저주 형태
3. 헤이안 시대의 ‘식신(式神)’과 그 기능
4. 저주와 관련된 음양사의 역할
5. 맺음말

제2부 ― 이계
제1장  한일의 이계의식과 자연―소메야 도모유키
1. 머리말-일본과 자연재해
2. 천하의 요충지로서의 한국(조선)
3. 일본의 신불과 이계인식
4. 일본정원의 종교성
5. 일본의 이계와 자연
6. 조선의 이계와 자연①
7. 조선의 이계와 자연②
8. 맺음말

제2장  조선 후기 연행록에 나타난 이계(異界) 풍경과 기괴(奇怪) 체험―신익철
1. 머리말
2. 북경 천주당 벽화와 서양화의 이계(異界) 풍경
3. 사진과의 만남과 기괴(奇怪) 체험
4. 이계(異界)의 동물 형상과 세계 인식의 확장
5. 맺음말

제3장  이계(異界)와의 교신과 종교 텍스트―아베 야스로
1. 머리말
2. 겐닌(建仁) 3년의 꿈과 탁선
3. 맺음말

제4장  『일본영이기(日本靈異記)』에 나타나 있는 이계(異界)―한정미
1. 머리말
2. 「도남국(度南の國)」
3. 황금 궁전(누각)
4. 황천(黃泉)
5. 맺음말

제3부 ― 이물과 그 외
제1장  조선시대의 역병 인식과 신이적 상상세계―강상순
1. 머리말
2. 조선시대 필기·야담 속의 역병 체험
3. 역병에 대한 세 가지 병인론-역학적·경험적·신이적 병인론
4. 역병에 관한 신이담의 세 가지 유형
5. 맺음말

제2장  히라가 겐나이가 상상한 외국체험―후쿠다 야스노리
1. 머리말
2. 히라가 겐나이의 원풍경(原風景)
3. 겐나이가 상상한 외국체험-『풍류지도헌전風流志道軒傳』
4. 화완포(火浣布)가 알려주는 것
5. 맺음말-겐나이가 말하는 ‘세계’

제3장  「김현감호」와 「최치원」에서의 기이의 형상화 양상과 차별적 시선―엄기영
1. 머리말
2. 「김현감호」의 경우
3. 「최치원」의 경우
4. 맺음말

제4장  조선시대의 이물 및 괴물에 대한 상상력,그 원천으로서의 『산해경』과 『태평광기』―김정숙
1. 머리말
2. 『산해경』의 유입과 신화적 상상력
3. 『태평광기』 열독과 이물 인식의 변화
4. 맺음말-이물에서 괴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