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譯註) 唐詩三百首.3 / 宋載卲,崔京烈,李澈熙,姜志喜,金玲竹,崔煐玉 譯註
(譯註) 唐詩三百首. 3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譯註) 唐詩三百首.3 / 宋載卲,崔京烈,李澈熙,姜志喜,金玲竹,崔煐玉 譯註
  • ·발행사항 서울 : 傳統文化硏究會, 2009
  • ·형태사항 479 p. ;26 cm
  • ·총서사항 (東洋古典譯註叢書 ;39)
  • ·주기사항 참고문헌(p. 7-10)과 색인수록
    권말부록: 作家 略傳
    교육인적자원부 고전국역사업 지원비에 의해 번역됨
    본문은 한국어, 중국어가 혼합수록됨; 중국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91720657 (3)  94820 : \25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821.4  듀이십진분류법-> 895.113  
  • ·주제명 당시(시)[唐詩]중국시[中國詩]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3 宋載卲,崔京烈,李澈熙,姜志喜,金玲竹,崔煐玉 譯註 2011 SE0000364144 821.4-17-28-3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3 宋載卲,崔京烈,李澈熙,姜志喜,金玲竹,崔煐玉 譯註 2011 SE0000364145 821.4-17-28-3=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224 鹿柴(녹채) / 王維
225 竹里館(죽리관) / 王維
226 送別(벗을 떠나보내며) / 王維
227 相思(그리움) / 王維
228 雜詩(잡시) / 王維
229 送崔九(최구를 전송하며) / 裴迪
230 終南望餘雪(종남산에서 쌓인 눈을 바라보다) / 祖詠
231 宿建德江(건덕강에서 투숙하며) / 孟浩然
232 春曉(봄 아침) / 孟浩然
233 夜思(깊은 밤의 그리움) / 李白
234 怨情(원망하는 마음) / 李白
235 八陣圖(팔진도) / 杜甫
236 登?雀樓(관작루에 올라) / 王之渙
237 送靈澈(영철을 보내며) / 劉長卿
238 彈琴(거문고를 타다) / 劉長卿
239 送上人(上人을 전송하며) / 劉長卿
240 秋夜寄丘員外(가을밤 丘員外에게 부치다) / 韋應物
241 聽箏(箏을 듣다) / 李端
242 新嫁娘(새색시) / 王建
243 玉臺體(옥대체) / 權德輿
244 江雪(강설) / 柳宗元
245 行宮(행궁) / 元  ?
246 問劉十九(劉十九에게 묻다) / 白居易
247 何滿子(하만자) / 張祜
248 登樂遊原(낙유원에 오르다) / 李商隱
249 尋隱者不遇(은자를 찾아갔으나 만나지 못하다) / 賈島
250 渡漢江(漢水를 건너며) / 李頻
251 春怨(봄날의 원망) / 金昌緖
252 哥舒歌(哥舒翰 노래) / 西鄙人
253 長干行 二首其一(장간행 두 수 중 첫 번째 시) / 崔顥
254 長干行 二首其二(장간행 두 수 중 두 번째 시) / 崔顥
255 玉階怨(옥계의 원망) / 李白
256 塞下曲 四首其一(변방의 노래 네 수 중 첫 번째 시) / 盧綸
257 塞下曲 四首其二(변방의 노래 네 수 중 두 번째 시) / 盧綸
258 塞下曲 四首其三(변방의 노래 네 수 중 세 번째 시) / 盧綸
259 塞下曲 四首其四(변방의 노래 네 수 중 네 번째 시) / 盧綸
260 江南曲(강남곡) / 李益
261 回鄕偶書(고향으로 돌아와 쓰다) / 賀知章
262 桃花谿(도화계) / 張旭
263 九月九日憶山東兄弟(구월 구일 산동의 형제를 생각하며) / 王維
264 芙蓉樓送辛漸(芙蓉樓에서 辛漸을 보내다) / 王昌齡
265 閨怨(아내의 원망) / 王昌齡
266 春宮曲(춘궁의 노래) / 王昌齡
267 ?州詞(양주의 노래) / 王翰
268 送孟浩然之廣陵(광릉 가는 맹호연을 보내며) / 李白
269 早發白帝城(아침에 백제성을 출발하며) / 李白
270 逢入京使(서울로 들어가는 使者를 만나) / 岑參
271 江南逢李龜年(강남에서 李龜年을 만나다) / 杜甫
272 ?州西澗(?州의 서쪽 시내) / 韋應物
273 楓橋夜泊(밤에 풍교에 배를 대다) / 張繼
274 寒食(한식) / 韓?
275 月夜(달밤) / 劉方平
276 春怨(봄날의 원망) / 劉方平
277 征人怨(원정을 떠난 사람의 원망) / 柳中庸
278 宮詞(궁사) / 顧況
279 夜上受降城聞笛(밤에 受降城에 올라 피리소리를 듣다) / 李益
280 烏衣巷(오의항) / 劉禹錫
281 春詞(봄의 노래) / 劉禹錫
282 後宮詞(후궁사) / 白居易
283 贈內人(나인에게 주다) / 張祜
284 集靈臺 二首之一(집영대 두 수 중 첫 번째 시) / 張祜
285 集靈臺 二首之二(집영대 두 수 중 두 번째 시) / 張祜
286 題金陵渡(금릉도에 쓰다) / 張祜
287 宮詞(궁사) / 朱慶餘
288 近試上張水部(시험이 가까워 장수부께 올리다) / 朱慶餘
289 將赴吳興 登樂遊原(오흥의 임소로 가면서 樂遊原에 오르다) / 杜牧
290 赤壁(적벽) / 杜牧
291 泊秦淮(秦淮河에 정박하여) / 杜牧
292 寄揚州韓綽判官(揚州의 韓綽 判官에게 부치다) / 杜牧
293 遣懷(심회를 풀다) / 杜牧
294 秋夕(가을 저녁) / 杜牧
295 贈別 二首之一(헤어지며 주다 두 수 중 첫 번째 시) / 杜牧
296 贈別 二首之二(헤어지며 주다 두 수 중 두 번째 시) / 杜牧
297 金谷園(금곡원) / 杜牧
298 夜雨寄北(비 내리는 밤 북녘에 부치다) / 李商隱
299 寄令狐郎中(令狐郎中에게 부치다) / 李商隱
300 爲有(있기 때문에) / 李商隱
301 隋宮(수나라 궁전) / 李商隱
302 瑤池(요지) / 李商隱
303 嫦娥(상아) / 李商隱
304 賈生(가생) / 李商隱
305 瑤瑟怨(비파에 담은 원망) / 溫庭筠
306 馬嵬坡(마외파) / 鄭?
307 已?(날이 서늘해진 후) / 韓?
308 金陵圖(금릉도) / 韋莊
309 ?西行(농서행) / 陳陶
310 寄人(그 사람에게 부치다) / 張泌
311 雜詩(잡시) / 無名氏
312 渭城曲(위성의 노래) / 王維
313 秋夜曲(가을밤의 노래) / 王維
314 長信怨(장신원) / 王昌齡
315 出塞(변방을 나서며) / 王昌齡
316 出塞(변방을 나서며) / 王之渙
317 淸平調 其一(청평조 첫 번째 시) / 李白
318 淸平調 其二(청평조 두 번째 시) / 李白
319 淸平調 其三(청평조 세 번째 시) / 李白
320 金縷衣(금루의) / 杜秋娘

索引
索引 凡例
詩語 索引
題目 索引
作家 索引
註釋 索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