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국역 심경주해총람 : 조선 유학자의 심경에 관한 모든 것.下 / 심경원문 : 진덕수 편저·원주;심경부주 : 정민정 부주 ;주해 : 이황,이함형,송시열,이익,정약용,조목,김부륜,이덕홍,정구,조호익,조익,이휴운,박세채,정제두,정만양,정규양,윤봉구,한원진,임상덕,강규환,김원행,임성주,김종덕,이만운,정위,정필규,김호운,윤병이,민백우,정유곤,이시수,이항로,김재락,이돈우,이진상,이능윤,김영수,이복 ;국역 : 이광호,엄연석,한정길,장동우
국역 심경주해총람 : 조선 유학자의 심경에 관한 모든 것. 下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국역 심경주해총람 : 조선 유학자의 심경에 관한 모든 것.下 / 심경원문 : 진덕수 편저·원주;심경부주 : 정민정 부주 ;주해 : 이황,이함형,송시열,이익,정약용,조목,김부륜,이덕홍,정구,조호익,조익,이휴운,박세채,정제두,정만양,정규양,윤봉구,한원진,임상덕,강규환,김원행,임성주,김종덕,이만운,정위,정필규,김호운,윤병이,민백우,정유곤,이시수,이항로,김재락,이돈우,이진상,이능윤,김영수,이복 ;국역 : 이광호,엄연석,한정길,장동우
  • ·발행사항 서울 : 동과서, 2014
  • ·형태사항 1316 p. :계보 ;24 cm
  • ·주기사항 한자를 한글로 번역
    권말부록: [표1] 『심경』과 『심경부주』의 이해와 보급 연표 등
    참고문헌: p. 1308-1316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65251170 (下)  94140 : \45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152.418  듀이십진분류법-> 181.11  
  • ·주제명 중국 철학[中國哲學]중국 사상[中國思想]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심경원문: 진덕수 편저·원주;심경부주: 정민정 부주 ;주해:이황,이함형,송시열,이익,정약용,조목,김부륜,이덕홍,정구,조호익,조익,이휴운,박세채,정제두,정만양,정규양,윤봉구,한원진,임상덕,강규환,김원행,임성주,김종덕,이만운,정위,정필규,김호운,윤병이,민백우,정유곤,이시수,이항로,김재락,이돈우,이진상,이능윤,김영수,이복 ;국역: 이광호,엄연석,한정길,장동우 2014 SE0000359906 152.418-17-1-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심경원문: 진덕수 편저·원주;심경부주: 정민정 부주 ;주해:이황,이함형,송시열,이익,정약용,조목,김부륜,이덕홍,정구,조호익,조익,이휴운,박세채,정제두,정만양,정규양,윤봉구,한원진,임상덕,강규환,김원행,임성주,김종덕,이만운,정위,정필규,김호운,윤병이,민백우,정유곤,이시수,이항로,김재락,이돈우,이진상,이능윤,김영수,이복 ;국역: 이광호,엄연석,한정길,장동우 2014 SE0000359907 152.418-17-1-2=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제16장 예와 음악은 잠시도 몸에서 떠나면 안 된다[禮樂不可斯須去身]
제17장 군자는 감정을 반성하여 뜻을 온화하게 한다[君子反情和志]
제18장 군자는 도(道)를 얻는 것을 즐거워한다[君子樂得其道]
제19장 모든 사람에게는 남의 불행을 보고 참지 못하는 마음이 있다[人皆有不忍人之心]
제20장 직업은 신중하게 선택해야 한다[失人函人]
제21장 대인이란 갓난아이의 마음을 잃지 않는 사람이다[大人者, 不失其赤]
제22장 사람에게 어찌 인(仁)과 의(義)는 사람의 길이다[仁存乎人者, 豈無]
제23장 인(仁)은 사람의 마음이며 의(義)는 사람의 길이다[仁人心, 義人路]
제24장 손가락이 남과 같지 않으면 그것을 싫어할 줄 아는데[指不若人, 則知惡之]
제25장 몸에 귀하고 천한 것이 있고, 작고 큰 것이 있으니[體有貴賤有小大]
제26장 대체를 따르면 대인이 되고, 소체를 따르면 소인이 된다[從其大體爲大人, 從其小體爲小人]
제27장 굶주린 사람이 달게 먹고 목마른 사람이 달게 마신다.[飢者甘食, 渴者甘飮]
제28장 생선을 놔두고 곰발바닥을 취할 것이다.[舍魚而取熊掌者也.]
제29장 순(舜)과 도척(盜蹠)의 구별은 이익과 선에 있다[舜?蹠之分, 利?善之間也]
제30장 마음을 기르는 데는 욕심을 줄이는 것보다 나은 것이 없다[養心莫善於寡欲]
제31장 욕심이 없으면 진실됨[誠]이 확립되고 밝음[明]이 통하게 된다[無則誠立明通]
제32장 성인은 배워서 이를 수 있는가?[聖可學]
제33장 정이(程?)의 사물잠[四勿箴]
제34장 범준(范浚)의 심잠[心箴]
제35장 주희(朱熹)의 경재잠[敬齋箴]
제36장 주희(朱熹)의 구방심재명[求妨心齋銘]
제37장 주희(朱熹)의 존덕성재명[尊德性齋銘]
심경후서(心慶後序)/정민정/왕조
심경후론(心經後論)/이황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