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감정을 이기는 퀀트투자,) 스마트베타 = Smart beta : 퀀트 펀드매니저가 쓴 계량투자 입문서 / 글 : 김병규,이현열
(감정을 이기는 퀀트투자,) 스마트베타 = Smart beta : 퀀트 펀드매니저가 쓴 계량투자 입문서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감정을 이기는 퀀트투자,) 스마트베타 = Smart beta : 퀀트 펀드매니저가 쓴 계량투자 입문서 / 글 : 김병규,이현열
  • ·발행사항 [서울] : Water bear press(워터베어프레스), 2017
  • ·형태사항 199 p. :도표 ;23 cm
  • ·주기사항 권중부록: 회귀계수(베타)의 증명 등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96159009  03320 : \20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27.856  듀이십진분류법-> 332.6322  
  • ·주제명 주식 투자[株式投資]투자 전략[投資戰略]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글: 김병규,이현열 2017 SE0000356240 327.856-17-70 일반자료실(서고) 대출중 0 2024-06-11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Part 1. 스마트베타의 정의
1. 왜 스마트베타인가?
ㆍ스마트베타의 정의
ㆍ시가총액 방식 주가지수의 문제점
ㆍ스마트베타 방법의 장점
ㆍ해외 투자, 그리고 스마트베타

Part 2. 종목선택 전략
2. 팩터의 탄생: CAPM과 3팩터 모델
ㆍ시장베타의 탄생, 자산가격결정모형
ㆍ팩터의 확정: 파마-프렌치의 3팩터 모델
ㆍ※ 부록: 회귀계수(베타)의 증명
3. 소형주팩터
ㆍ소형주 효과는 왜 생겨나는가?ㆍ소형주 효과, 아직도 유효한가?
ㆍ소형주 효과, 여전히 유효하다
ㆍ※ 부록: 백테스팅 방법론
4. 저위험 팩터
ㆍ고위험 고수익에 대한 정면 도전, 저변동성 현상
ㆍ수익과 손해의 비대칭성, 변동성 드래그
ㆍ한국 주식 시장 내 저변동성 효과
ㆍ고유변동성 효과
ㆍ※ 부록: Volatility Drag의 증명
5. 모멘텀 팩터
ㆍ효율적 시장 가설의 탄생
ㆍ효율성에 대한 반증, 모멘텀 효과
ㆍ이익 모멘텀: 주가는 이익을 ‘느리게’ 반영한다
ㆍ가격 모멘텀: 달리는 말에 올라타라
ㆍ한국 주식 시장 내 모멘텀 효과
ㆍ듀얼 모멘텀: 시계열 모멘텀 X 횡단면 모멘텀
ㆍ고유수익 모멘텀
6. 고배당 팩터
ㆍ주식의 적정 가격과  고든의 배당할인모형
ㆍ티끌 모아 태산, 배당이익
ㆍ한국 주식 시장 내 고배당 효과
ㆍ고배당 성향, 동전의 양면
ㆍ※ 부록: 배당할인모형의 유도
ㆍ※ 부록: 예견 편향
7. 퀄리티 팩터
ㆍ‘기본적 분석’의 계량화, 퀄리티 팩터
ㆍF-Score
ㆍ기업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간단한 지표, 매출총이익
ㆍ퀄리티 팩터의 체계화, QMJ
ㆍ한국 주식 시장 내 우량 효과
8. 밸류 팩터
ㆍ가치, 그 기나긴 역사
ㆍ가치 지표 간의 경마
9. 멀티 팩터
ㆍ팩터 간의 결합, 그 위대함
ㆍMix 전략 : 밸류와 모멘텀
ㆍIntegrate 전략: 퀄리티와 밸류
ㆍSequential 전략: 퀄리티와 고배당

Part 3. 배분전략
10. 동일비중 배분
ㆍ배분 전략이란?
ㆍSimple But Strong, 동일비중 전략
ㆍ동일비중 전략의 리밸런싱
ㆍKOSPI 200지수와 KOSPI 200 동일가중지수의 비교
11. 위험기반 배분
ㆍ효율적 투자기회선
ㆍ전통적 자산배분
ㆍ최적화 문제와 자산배분 패러다임의 변화
ㆍ※ 부록: 평균-분산 최적화 모형
ㆍ※ 부록: 공분산행렬의 역행렬
ㆍ※ 부록: 제약 조건들
ㆍ※ 부록: 샤프지수가 최대가 되는 최적 투자 비중
12. 위험기반 배분의 예
ㆍ한계위험 기여도(MRC)와 위험기여도(RC)
ㆍ위험균형(Risk Parity)
ㆍ변동성 균형(Volatility Parity)
ㆍ최소분산 포트폴리오(MVP: Minimum Variance Portfolio)
ㆍ최대 분산 포트포리오(MDP: Most Diversified Portfolio)
ㆍ각 전략들의 비교
ㆍ※ 부록: 비음조건이 없는 MVP의 비중 및 분산
ㆍ※ 부록: 비음조건이 없는 MVP의 MRC
13. 한국 주식 시장 내 배분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