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제국의 관문 = Colonial modernity of open city as a gateway of empire : 개항장도시의 식민지 근대 / 지은이 : 오미일
제국의 관문 = Colonial modernity of open city as a gateway of empire : 개항장도시의 식민지 근대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제국의 관문 = Colonial modernity of open city as a gateway of empire : 개항장도시의 식민지 근대 / 지은이 : 오미일
  • ·발행사항 서울 : 선인, 2017
  • ·형태사항 450 p. :삽화, 도표 ;23 cm
  • ·총서사항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로컬리티 연구총서 ;30)
  • ·주기사항 참고문헌: p. 437-449
    2007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NRF-2007-361-AL0001)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60680812  93910 : \40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910.4  듀이십진분류법-> 950.3  
  • ·주제명 동아시아사[東--史]인문 과학[人文科學]식민지[植民地]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지은이: 오미일 2017 SE0000355331 910.4-17-3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지은이: 오미일 2017 SE0000355332 910.4-17-3=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총설 로컬리티 담론과 개항장도시의 식민지 근대
1. 로컬리티 담론과 ‘소사회’ 역사공간
2. 개항장도시의 식민지 근대


1부 식민지 근대의 공간적 구현
1장 스포츠 이벤트와 민족의 지리학 - 1910~1920년대 원산지역을 중심으로
1. 스포츠 이벤트와 식민지 근대의 공간적 맥락
2. 전통기념일과 각희대회 
3. 근대적 스포츠와 운동회
4. 스포츠 이벤트의 장소와 공간의 분절

2장 자본주의생산체제의 변화와 공간의 편성 - 일제 말기 인천지역을 중심으로
1. 자본주의와 공간의 편성
2. 자본 이동과 공업의 발달
3. 노동력의 지리적 이동과 인구 추이
4. 공간의 편성과 분화
5. 제국주의 공간정책과 개항장도시의 경관 변화


2부 근대 주체의 형성과 지역정치 - 서발턴·토착자본가·식민자
3장 1920년 9월 원산지역 만세시위와 저항의식 형성의 기제
1. 서발턴 이론과 식민지 지역사회의 저항시위
2. 1920년 9월 만세 시위와 서발턴
3. 서발턴의 저항 의식: 형성과 발현의 기제
4. 출옥 후 여전히 서발턴으로

4장 조선인 자본가층의 결집과 지역번영단체의 조직
1. 1920년대 청년회의 재편과 ‘지역번영’ 단체
2. 조선인 자본가층의 결집과 원산청년회 
3. 조선인 자본가층의 원산시영회 조직과 내부 갈등
4. ‘지역번영’ 단체 주도세력의 사회경제적 위치와 배경

5장 원산시영회와 원산시민협회의 개발 프로젝트와 그 사회정치적 의미
1. 지역번영단체의 지향과 사업 프로젝트
2. 시민협회의 주도층과 조직적 추이
3. 시영회·시민협회의 경제 분야 프로젝트 추진과 실현 과정
4. 시영회·시민협회의 교육·문화 프로젝트 기획과 좌절

6장 1920~1930년대 초반 조선인 자본가층의 지역정치  - 원산시영회와 원산시민협회의 선거 및 노동 개입을 중심으로
1. 지역정치의 자장(磁場): 식민권력과 조선인 대중
2. 시영회·시민협회의 선거 개입과 공인후보 선출
3. 시민협회의 원산총파업 중재와 조선인 자본가층의 입지
4. 조선인 자본가층의 정치적 입지와 지역번영단체의 위상

7장 이주 일본인들의 지역단체 조직과 사회관계망
1. 일본인 민간단체와 지역사회
2. 원산지역 일본인 단체의 지형과 추이
3. 경제 단체의 설립과 활동
4. 사회적 문화적 교류와 지역 단체
5. 일본인 민간단체: 경제적 이익 추구의 지역 네트워크


3부 동원의 일상, 의례와 기억
8장 전시체제기 인천지역의 기념(일)의례와 동원의 일상
1. 전시체제 하 지역민 통제와 기념(일)의례
2. 인천의 전국적 기념의례와 대중 동원
3. 인천의 지역기념의례와 대중 동원
4. 의례의 장소와 동원의 공간
5. 대중동원의 정치양식: 의례의 장소부터 시가행진까지

9장 개항장도시 인천의 기념사업과 기억의 정치
1. 기념사업을 통한 집단기억 만들기
2. 일제시기 기념사업과 집단기억
3. 해방 후 기념사업과 집단기억
4. 기억의 정치와 인천의 장소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