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번역과 동맹 = Translation and alliance : 초국적 이주의 행위자-네트워크와 사회공간적 전환 / 최병두,김연희,이희영,이민경 지음
번역과 동맹 = Translation and alliance : 초국적 이주의 행위자-네트워크와 사회공간적 전환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번역과 동맹 = Translation and alliance : 초국적 이주의 행위자-네트워크와 사회공간적 전환 / 최병두,김연희,이희영,이민경 지음
  • ·발행사항 서울 : 푸른길, 2017
  • ·형태사항 456 p. ;23 cm
  • ·총서사항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총서 ;01)
  • ·주기사항 표제관련정보: Actor-networks of transnational migration and socio-spatial transformation
    참고문헌 수록
    한국연구재단이 2012년도 정부 재원(교육과학기술부 인문사회연구역량강화사업비)을 지원하여 수행됨(NRF-2012S1A5A2A03033937)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62914221  93980 : \26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31.37  듀이십진분류법-> 325.2  
  • ·주제명 이주(옮기다)[移住]외국인 근로자[外國人勤勞者]행위자 연결망 이론[行爲者連結網理論]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최병두,김연희,이희영,이민경 지음 2017 SE0000350073 331.37-17-6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최병두,김연희,이희영,이민경 지음 2017 SE0000350074 331.37-17-6=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책을 펴내면서

제1부 초국적 이주 연구를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서 ANT
 제1장 관계이론에서 행위자-네트워크이론으로(최병두)
1 초국적 이주,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2 관계이론에서 행위자-네트워크이론으로/3 행위자-네트워크와 초국적 이주/4 초국적 이주 과정에서 번역과 동맹, 그리고 권력/5 초국적 이주에 대한 위상학적 접근과 네트워크 공간/6 결론 
 제2장 행위자-네트워크이론과 사회공간 개념의 재구성(최병두)
1 ‘공간적 전환’과 행위자-네트워크이론/2 행위자-네트워크이론의 주요 개념/3 행위자-네트워크이론과 위상학적 공간/4 위상학적 공간의 유형화/5 위상학적 공간 개념의 이론적, 경험적 함의/6 결론

제2부 ANT와 초국적 이주과정의 사회공간적 변화
 제3장 초국적 노동이주의 행위자-네트워크와 아상블라주(최병두)
1 초국적 노동이주에 대한 엉뚱한 접근/2 초국적 노동이주의 행위자-네트워크와 위상학/3 초국적 노동이주와 아상블라주/4 초국적 노동이주의 주요 아상블라주들의 사례 분석/5 결론
 제4장 초국적 결혼이주가정의 음식-네트워크와 경계 넘기(최병두)
1 음식은 물체가 아니고 네트워크다/2 결혼이주가정의 음식문화와 행위자-네트워크/3 결혼이주가정의 음식 만들기와 행위자-네트워크/4 결혼이주가정의 음식 먹기와 문화적 경계 넘기/5 결론

제3부 ANT와 초국적 이주여성의 삶의 재구성
 제5장 결혼-관광-유학의 동맹과 신체-공간의 재구성: 아시아 여성 이주자들의 사례(이희영)
1 ‘결혼이주여성’이라는 블랙박스/2 결혼이주자의 ‘신체공간’과 행위자-네트워크 기술하기/3 국경을 횡단하는 여성들과 ‘신체-공간’의 재구성/4 아시아 여성들의 결혼/이주의 잡종적 행위자-네트워크
 제6장 결혼이주여성의 미디어 행위자-네트워크와 삶의 전환(김연희·이교일)
1 초국적 이주에서 미디어테크놀로지는 무엇인가?/2 초국적 이주와 미디어테크놀로지의 역할에 관한 기존의 논의/3 행위자-네트워크이론: 결혼이주여성과 미디어테크놀로지 관계를 보는 관점/4 연구과정과 결과/5 결론: 결혼이주여성의 미디어행위자-네트워크 블랙박스의 해체

제4부 ANT와 초국적 이주자의 경험과 정체성의 전환
 제7장 탈북-결혼이주-이주노동의 행위자-네트워크와 정체성의 변위: 북한 여성의 생애사 분석(이희영)
1 분절된 시선을 넘어서/2 변위하는 정체성과 생애사 재구성/3 중국-남한-북한을 넘나들었던 여성, 초국적 무역가/4 생존의 여성화와 이주의 행위자-네트워크/
 제8장 노동-유학-자녀교육의 동맹: 몽골 노동이주가정의 이주·정착·귀환 과정 분석(이민경)
1 ‘코리안 드림’의 행위자-네트워크/2 이주노동자 연구와 행위자-네트워크이론/3 몽골 이주노동자 가족 이해를 위한 과정/4 재한 몽골 이주노동자들의 이동과 자녀교육 네트워크 분석/5 나가는 글

제5부 ANT와 초국적 이주가정 조직의 제도적 변화 
 제9장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서비스 조직의 안정화: 혹은 서비스 이용자는 어떻게 주변화되는가?(김연희)
1 서비스 이용자의 주변화 현상/2 다문화 집단 연구의 추세/3 연구의 개념적 틀로서 행위자-네트워크이론/4 행위자-네트워크이론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시행과정에의 적용/5 결론
 제10장 미등록 이주노동자 공동체의 특성과 역할: B시의 이주민 선교센터의 사회공간 분석(이민경)
1 행위자-네트워크, 소외에서 포섭으로/2 이주공동체 연구와 행위자-네트워크/3 이주공동체 공간의 탐구/4 이주공동체 공간의 특성과 역할/5 나오는 글

에필로그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