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역사 속의 한국철학 / 지은이 : 이종성
역사 속의 한국철학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역사 속의 한국철학 / 지은이 : 이종성
  • ·발행사항 대전 :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2017
  • ·형태사항 518 p. :삽화 ;23 cm
  • ·주기사항 참고문헌: p. 508-518
    인문학 발전에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있는 주식회사 한국야쿠르트(회장 윤덕병)가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에 기탁한 발전 기금으로 발간한 문원총서임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75996351  93150 : \20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151  듀이십진분류법-> 181.119  
  • ·주제명 한국 사상사[韓國思想史]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지은이: 이종성 2017 SE0000349238 151-17-4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지은이: 이종성 2017 SE0000349239 151-17-4=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책머리에 

제01장  단군신화의 원형적 세계관과 풍류정신
     1. 단군신화와 역사ㆍ철학의 조응 
     2. 『삼국유사』에 기록된 단군신화의 자료 
     3. 단군신화에 나타난 신과 인간의 유형 
     4. 단군신화의 철학적 의의 
     5. 단군신화에 나타난 풍류의 이념과 전승 

제02장 원효의 화쟁사상과 무애행의 실천
     1. 원효의 생애와 저술
     2. 화쟁사상의 내용과 원융회통사상
     3. 화쟁사상의 근거와 한마음의 특징
     4. 화쟁사상의 구현 또는 무애행과 요익중생의 실천
     5. 화쟁사상의 현대적 의의

제03장 의상의 『화엄일승법계도』에 나타난 화엄사상
     1. 의상의 생애와 저술
     2. 『화엄일승법계도』의 도인과 내용
     3. 『화엄일승법계도』의 특징과 의의
     4. 의상의 화엄사상에 대한 평가

제04장 지눌의 돈오점수와 정혜쌍수 사상
     1. 목우자, 십우도와 같은 삶의 여정
     2. 교선일치로부터 선교일치에로
     3. 돈오점수 사상
     4. 정혜쌍수 사상
     5. 철학적 의의와 돈점논쟁의 새로운 점화

제05장 삼봉 정도전의 불교 배척의 내용과 성격
     1. 성리학의 도입과 수용기의 핵심 인물들
     2. 삼봉의 불교 배척에 관한 기본입장
     3. 이론적 측면에 대한 불교 배척의 논변
     4. 전대 사실을 통한 불교 배척의 논변
     5. 삼봉 불교 배척의 성격과 의의

제06장 퇴계 이황의 철학적 입장과 ‘경’사상
     1. 퇴계의 생애와 저술
     2. 주체적 도덕주의의 입장
     3. 가치론적 내원과 리의 능동성 문제
     4. ‘경’사상과 『성학십도』의 내용
     5. 후대의 영향과 평가

제07장 고봉 기대승의 학문정신과 철학사상
     1. 율곡철학과의 유사성 찾기
     2. 학문정신의 기본입장
     3. 성리학적 관점
     4. 경세론의 입장
     5. 논의의 종합과 의의

제08장 우계 성혼의 도학적 삶과 학문연원
     1. 문제의 소재
     2. 우계 성혼의 시대와 생애
     3. 우계 성혼의 도학적 학문연원
     4. 논의의 종합과 전망

제09장 율곡 이이의 대동사회론과 철학적 지향
     1. 문제의 소재
     2. 대동사회론의 사상적 연원
     3. 대동사회의 지향과 소강(少康)사회의 강조
     4. 담론의 전환과 왕도정치론의 의의
     5. 논의의 종합과 전망

제10장 서계 박세당의 실학적 사유의 기초
     1. 시대와 생애
     2. 주자학에 대한 비판적 입장
     3. 사물의 차이성에 대한 강조 또는 주체의 발견
     4. 공허한 사변의 거부와 경험적 지식의 강조
     5. 생활세계의 중시와 지행합일의 목표
     6. 탈주자학적 실학사상의 토대

제11장 남당 한원진의 역사인식과 조선중화주의
     1. 남당이 본 역사인식의 기초
     2. 역사 교훈주의와 사례역사의 거울
     3. 조선중화주의의 의리론적 입장과 특징
     4. 남당 역사인식의 철학적 의의

제12장 성담 송환기의 ?태극도설? 해석의 기본입장
     1. 문제의 소재
     2. 무극과 태극의 관계
     3. 음양의 움직임과 고요함에 관한 문제
     4. 오행의 세 가지 전개순서
     5. 건곤남녀와 만물화생의 선후문제
     6. 중정인의의 선후와 체용의 관계
     7. 논의의 종합과 의의

제13장 간정 이능화 『조선도교사』의 학술사적 의의와 한계
     1. 간정 이능화의 생애와 저작
     2. 『조선도교사』의 구성 체계
     3. 『조선도교사』의 철학사적 의의
     4. 『조선도교사』에 내재된 몇 가지 한계들
     5. 논의의 종합과 전망

제14장 만해 한용운이 본 주체의 문제와 민족자결의 원칙
     1. 문제의 소재
     2. 주체성의 발견과 무아의 혁명
     3. 불교적 주체에 대한 반성과 불교유신론
     4. 문명과 야만의 경계
     5. 민족자결의 원칙과 독립정신
     6. 논의의 종합과 의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