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글쓰기, 이 좋은 공부 / 글쓴이 : 이오덕
글쓰기, 이 좋은 공부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글쓰기, 이 좋은 공부 / 글쓴이 : 이오덕
  • ·발행사항 서울 : 양철북, 2017
  • ·형태사항 396 p. :삽화, 도표 ;21 cm
  • ·총서사항 (이오덕의 글쓰기 교육 ;글쓰기 지도 길잡이 ;2)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63722344  04810 : \16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802  듀이십진분류법-> 808  
  • ·주제명 글쓰기작문 교육[作文敎育]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글쓴이: 이오덕 2017 SE0000345641 802-17-4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초판 머리말

1장 어린이를 지키는 교육
말과 삶을 가꾸는 길|어린이 글은 어린이의 환경과 생활의 산물이다 · 
어린이 글의 귀중함쓰는 즐거움을 누리도록 · 문학의 글과 실용글 · 글과 사람 · 
사심(邪心) 없는 어린이 마음 · 어른의 글과 어린이의 글 · 글쓰기와 창작 · 
글쓰기와 작문과 문학 · 심신장해자와 글쓰기 교육 · 농사짓기와 글짓기

길을 보여 주는 글쓰기|교육자와 글쓰기 · 작품의 심사와 발표 · 학급 문집의 참뜻과 조건 · 
글 고치기는 잘못하면 안 하는 것보다 해롭다 · 글쓰기 교육 현실을 보여 주는 세 가지 이야기 · 
백일장에서 진단되는 글쓰기 교육 · 우리의 믿음과 태도풍성한 글감, 감동 깊은 이야기들 · 어른들의 글쓰기

2장 글쓰기 어떻게 가르칠까
어떻게 시작할까|먼저 쓰고 싶은 마음이 들도록 · 좋은 글과 좋지 않은 글 · 
좋은 시와 좋지 않은 시 · 어린이문학과 어린이의 글 · 글감 찾기에서 발표까지

어떻게 시를 가르칠까|우리 시 교육의 현실 · 시 교육의 목표와 교재의 조건 · 교과서의 교재 · 
본문 공부와 글짓기(작문) · 내가 실천한 시 지도 방법 · 교사들의 창조하는 실천으로

3장 글감 찾기에서 발표까지
글쓰기 어디까지 왔나|쓰기 이전에 무엇을 할까|무엇을 쓰게 할까|어떻게 구상하게 할까|
어떻게 쓰게 할까|서사문 쓰기|감상문 쓰기|설명문 쓰기|주장하는 글 쓰기|
글을 어떻게 고칠까|발표를 어떻게 할까|시의 이해와 쓰기|글쓰기 지도 계통안 

4장 어린이 문장 연구
어린이 글을 어떻게 볼까|쓰는 자유, 발표하는 자유 · 쓰고 싶은 것을 쓴 글 · 
일기에 대하여 · 산문 지도는 서사문부터 · 참글과 거짓글 · 거짓 이야기를 아름다운 글로 알아서야 · 
진실이 담긴 거짓말 · 자기중심의 상상과 전체를 보는 눈 · 일 속에서 얻은 생각 · 
훌륭한 삶이 훌륭한 글을 낳는다 · 애정과 관찰 · 지나친 높임말씨 쓰기

온몸으로 쓰는 글|창조성을 말살하는 흉내 내기의 동시 · 머리로 쓴 시, 가슴으로 쓴 시 · 
시와 어린이를 가꾼다는 것 · 시로써 키우는 어린이 마음 · 구김살 없는 동심의 글 · 
우등생이 빠지기 쉬운 생각의 틀 · 아이들의 잔인성 · 수필 쓰기에 대하여 · 
고등학생의 글쓰기 · 백일장은 거짓글 쓰기 대회 · 청각장해아의 글 · 교과서의 글은 글쓰기의 본보기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