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학교는 민주주의를 가르치지 않는다 : 우리가 배운 모든 악에 대하여 : 폭력·학교 침몰하는 교실·고통받는 아이들 / 박민영 지음
학교는 민주주의를 가르치지 않는다 : 우리가 배운 모든 악에 대하여 : 폭력·학교 침몰하는 교실·고통받는 아이들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학교는 민주주의를 가르치지 않는다 : 우리가 배운 모든 악에 대하여 : 폭력·학교 침몰하는 교실·고통받는 아이들 / 박민영 지음
  • ·발행사항 서울 : 인물과사상사, 2017
  • ·형태사항 311 p. ;23 cm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59064533  03300 : \15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34.3  듀이십진분류법-> 362.7  
  • ·주제명 청소년 문제[靑少年問題]학교 문제[學校問題]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박민영 지음 2017 SE0000345525 334.3-17-8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박민영 지음 2017 SE0000345526 334.3-17-8=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여는 글  학교 밖은 없다 

제1부 최후의 식민지에 갇힌 청소년
제1장 교복을 입는다는 것 
교복은 구속복이다 / 청소년을 보호관찰 대상으로 만든다 / 효과적인 통제 수단 / ‘변형 교복’의 진짜 주범 / 평등이 아니라 차별의 수단 / 교복을 벗지 못하는 성인들 

제2장 청소년들은 왜 욕을 입에 달고 살까? 
‘패드립’을 아시나요? / 청소년의 게토화와 욕 / 교사에게 욕을 배우는 아이들 / 전교 1등은 왜 엄마를 죽였나 / 부모에게 욕을 배우는 아이들 

제3장 청소년의 일그러진 생존법, 쿨 
세월호 학생들의 이상한 반응 / 노예의 쿨과 청소년의 쿨 / 문화산업이 조장하는 청소년의 쿨 / 히피들의 쿨이 보수화된 이유 / 학생들은 사실 쿨하지 않다 

제4장 유학이 탈출구가 될 수 있을까
조기유학과 가정 해체 / 조기유학을 보내는 부모들의 태도 / 조기유학생이 겪는 어려움 / 유학생의 일탈 

제5장 유학의 사회적 의미
오바마가 한국의 교육열을 칭찬한 이유 / 유학파 지배의 역사 / 제국주의 첨병으로서의 유학파 / 검은 머리 미국인의 나라 / 학문적 신탁통치 

제6장 군대를 알아야 학교를 안다
입학과 입대 / 군대를 빼다 박은 학교 / 국민개병제와 국민의무교육 / 일본 군국주의와 학교 제도 / 공부 못하는 아이를 때리는 이유 

제7장 학교와 군대가 폭력을 양산하는 방식
넓고 깊은 폭력이 닮았다 / 학교의 전제주의 / 군대의 전제주의 / 폭력의 조건: 서열화와 폐쇄성 / 폭력의 체계적 생산 / 학교와 군대: 악의 뿌리 

제2부 학교 폭력이 아니라 폭력 학교다 
제1장 사학 비리가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①
사학 문제와 청소년 문제 / 나의 사립학교 체험: 중학교 / 나의 사립학교 체험: 대학교 / 〈말죽거리 잔혹사〉의 학교 풍경 / 사학 비리의 명문 상문고를 아시나요? 

제2장 사학 비리가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②
상문고를 통해 본 비리사학의 유형 / 충암고 급식비 폭언 파문의 이면 / 충암학원을 통해 본 사학 비리의 현실 / 상문고와 충암고의 공통점 

제3장 특수학교, 학교인가 수용시설인가
성폭행 개념이 없었던 학생들 / 학생들의 놀라운 무지와 그 뿌리 / 학교인가, 격리수용소인가 / 인화학교, 형제복지원, 그리고 신영중?고 / ‘보호’라는 이름의 ‘지배’ 

제4장 에바다학교, 아우슈비츠보다 심한 인권유린
에바다학교의 간략한 역사 / 이사장 일가의 횡령과 착취 / 교원과 미군에 의한 성범죄 / 인신매매, 테러, 심지어 살인까지 / 학교 민주화는 얼마나 어려운가 

제5장 종교사학에서 희생되는 어린 양들
구타당하며 예배드리는 학생들 / 교인생활 강요하는 종교사학 / 신앙에 따른 차별과 특혜 / 종교교육인가, 정신고문인가 / 국가와 종교의 결합: 배가되는 폭력성 

제6장 학교, 성범죄의 온상 ① 교사의 성폭력
군대 못지않은 학교 성범죄 / 교사의 학생 성희롱 / 교사의 학생 성추행 / 성추행 거부하면 보복하는 교사들 / 교장, 배움터 지킴이도 성추행 

제7장 학교, 성범죄의 온상 ② 서열 문화와 성폭력
성범죄가 문화가 된 학교 / 공립학교에서 대규모 성범죄가 발생한 이유 여교사와 남학생 사이의 서열 투쟁과 성폭력 / 아이들이 서열 투쟁에 목숨을 거는 이유 / 청소년의 서열 문화와 성폭력 

제8장 학교, 성범죄의 온상 ③ 학생 간 성폭력
학교 폭력의 범주 / 가해학생에게 죄책감이 없는 이유 / 개인이 조심하면 성폭행 안 당한다고? / 지역 남학생들의 성노예가 된 피해자 / 겹겹의 포위망과 2차 폭력 

제9장 가해자 대신 처벌되는 피해자들
폭력에 폭력으로 대응하는 교사들 / 제보자의 신변 안전은 안중에도 없다 / 피해자인 자식을 혼내는 부모들 / 피해자를 처벌하는 학교 / 2차 폭력은 사회적 사형선고다 

제10장 피해자의 자살이 의미하는 것
교사 자녀도 집단 괴롭힘으로 자살 / 그들의 자살에는 사회적 메시지가 있다 / 왜 부모나 교사에게 피해 사실을 말하지 않을까? / 희생자와 유족에게 가해지는 3차 폭력 / 학교를 그만둘 수도 있다고 생각하라 

닫는 글  학교, 사회 폭력의 기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