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조선후기 과학사상사 : 서구 우주론과 조선 천지관의 만남 / 문중양 지음
조선후기 과학사상사 : 서구 우주론과 조선 천지관의 만남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조선후기 과학사상사 : 서구 우주론과 조선 천지관의 만남 / 문중양 지음
  • ·발행사항 파주 : 들녘, 2016
  • ·형태사항 432 p. :삽화(일부천연색), 지도 ;24 cm
  • ·총서사항 ((전북대학교 한국과학문명학연구소) 한국의 과학과 문명 ;005)
  • ·주기사항 참고문헌(p. 391-411)과 색인수록
    2010년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학진흥사업단)을 통해 한국학 특정분야 기획연구(한국과학문명사) 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AKS-2010-AWZ-2101)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59251979  94910 : \35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409.11  듀이십진분류법-> 509.519  
  • ·주제명 과학사(역사)[科學史]조선 후기[朝鮮後期]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문중양 지음 2016 SE0000343371 409.11-17-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문중양 지음 2016 SE0000371743 409.11-17-2=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문중양 지음 2016 SE0000371744 409.11-17-2=3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저자 소개와 총서 기획편집위원회
일러두기
발간사_ 〈한국의 과학과 문명〉 총서를 펴내며
서문

1장 서론: 이질적 두 과학의 만남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서구 과학과의 만남 이전 조선의 과학
조선후기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서구 과학의 학습
조선 유학자들의 서구 과학 학습과 ‘새로운 과학’의 재구성
조선후기 이질적 두 과학의 만남, 어떻게 읽을 것인가

2장 서구 과학과의 만남 이전 조선의 과학기술
1. 문화국가의 표상.조선의 역법 ‘칠정산’
2. 조선의 천문도와 천하도
3. 천지에 대한 조선 사대부들의 우주론적 사유
4. 장현광의 우주론: 만남 이전 성리학적 우주론의 절정

3장 중국에서의 이질적 과학의 만남과 ‘일차 번역’의 양상
1. 예수회의 ‘번역’의 정치학: 「곤여만국전도」, 기독교 그리고 지구설
2. 명말청초 방이지 학파의 기론적 우주론
3. 고법 중심의 중서 과학의 회통 담론

4장 서구 천문역산-지리학의 조선적 ‘번역’
1. 시헌력 체제의 완성과 자국력 반포의 시도
2. 19세기 천문역산학의 학습
3. ‘동력(東曆)’에 대한 열망
4. 조선 학인들의 과학 담론
5. 신법천문도의 전래와 혼천전도의 탄생
6. 서구식 세계지도의 전래와 조선적 천하도 및 여지전도의 탄생

5장 상수학적 새로운 우주론의 사색들
1. 김석문의 상수학적 지동설
2. 서명응의 선천학적 천문학의 구축
3. 이규경의 ‘천지합구도’ 상상과 지동설 이해
4. 우화적 일탈: 홍대용과 이규경의 다세계설

6장 기론적 인식체계에 기반한 자연 논의
1. 18세기 지구설의 번역과 이해
2. 19세기 초 4원소설과 방이지 학파 우주론의 뒤늦은 유입
3. 서구 중세 우주론의 전도(顚倒): 최한기의 우주론
4. 기론적 광학(光學)과 성학(聲學): 이규경과 이청
5. 근대 천문학의 기론적 번역: 최한기의 기륜설

7장 에필로그: ‘전통 과학’의 소멸과 탄생 그리고 ‘근대 과학’의 탄생
‘격치학’에서 ‘과학’으로: 〈한성순보〉-〈한성주보〉에서 〈독립신문〉으로
한의학의 축출과 ‘근대 의학’의 출현
‘음력’의 탄생과 서구식 시간체계의 형성

주석
도판 일람
참고문헌
찾아보기
Contents in Engli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