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아동 청소년 문학과 상호문화교육 / 김정용 지음
아동 청소년 문학과 상호문화교육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아동 청소년 문학과 상호문화교육 / 김정용 지음
  • ·발행사항 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7
  • ·형태사항 xiv, 374 p. ;23 cm
  • ·주기사항 참고문헌(p. 348-364)과 색인수록
    2012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2S1A6A4019599)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52119247  93800 : \26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79.3  한국십진분류법-> 809.9  듀이십진분류법-> 370.117  듀이십진분류법-> 809.89282  
  • ·주제명 다문화 교육[多文化敎育]아동 문학[兒童文學]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김정용 지음 2017 SE0000337943 379.3-17-5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김정용 지음 2017 SE0000337944 379.3-17-5=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머리말  

제1장 상호문화교육  
1. 독일의 경우: 외국인교육학에서 상호문화교육으로 방향전환  
2. 상호문화교육의 목표 및 단계  
3. 상호문화교육의 핵심  

제2장 상호문화적 관점의 아동 청소년 문학 연구경향  
1. 국제적인 아동 청소년 문학 연구  
2. 아동 청소년 문학 속의 이미지 연구 
3. 아동 청소년 문학에서 낯섦 및 제3세계 연구경향 
4. 이주문학 
1) 이주문학의 주제 
2) 이주문학의 단계 
5. 상호문화적 아동 청소년 문학과 그 역할 

제3장 독일과 한국의 교육과정과 교과서 속의 상호문화교육
1. 독일과 한국 교육과정 속의 상호문화교육 
1) 독일 교육과정 속의 상호문화교육 
2) 한국 교육과정 속의 상호문화교육   
2. 독일 국어 교과서의 새로운 경향: 상호문화 
독일의 국어 교과서 Deutschbuch와 Deutsch. Texte-Literatur-Medien 속의 상호문화적 문학교육
3. 독일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상호문화교육  
1) 들어가는 말
2) 낯선 시각을 이해하고 자신의 입장을 명확히 하기: Deutschbuch 8학년 교과서 분석
3) 나가는 말
4. 공감의 측면에서 본 한국 국어 교과서 분석  
1) 들어가는 말
2) 공감능력과 국어과 교육
3) 공감능력 함양 측면의 국어 교과서 분석
4) 나가는 말
5. 결론  

제4장 아동 청소년 문학을 활용한 상호문화적 외국어 교육
1. 상호문화적 외국어 교육  
2. 외국어 교육에서의 상호문화적 능력  
3. 상호문화적 외국어 교육과 문학작품  
4. 아동 청소년 문학을 활용한 상호문화적 외국어 교육의 실제  
1) 언어습득
2) 상호문화
5. 결론  

제5장 아동 청소년 문학에 나타난 ‘낯선 요소’의 번역과 상호문화적 이해  
1. 아동 청소년 문학 번역의 특수성  
2. 아동 청소년 문학 속 ‘낯선 요소’의 번역  
3. ‘낯선 요소’의 번역: 번역의 실제 분석  
1) 교육 시스템(나이 및 학년, 김나지움, 아비투어)
2) 성적 시스템
3) 작품 배경(도시명, 거리명, 화폐단위)
4) 생활습관(음식과 일상문화)
5) 문화, 관습
4. 결론: 상호문화이해를 위한 아동 청소년 문학 번역을 지향하며      

제6장 한국과 독일의 상호문화적 아동 청소년 문학  
1. 상호문화 테마의 아동 청소년 문학  
1) 엠파티
2) 시각변화
2. 한국의 상호문화적 아동 청소년 문학  
1) 들어가는 말
2) 인권을 위한 계몽적 아동 문학
3) 『코끼리』에 나타난 지배문화 비판
4) 코시안을 유머 가득하게 형상화한 『완득이』
5) 나가는 말
3. 독일의 상호문화적 아동 청소년 문학 
1) 페터 헤르틀링의 『벤은 안나를 사랑해』 분석 
2) 청소년 문학에 나타난 상호문화적 특성: 카롤린 필립스의 『커피우유와 소보로빵』과 딜렉 잡츠올루의 『별을 잡아먹는 달』을 중심으로  
3) 유토피아적 상호문화의 선취: 라픽 샤미의 『한줌의 별빛』 분석  
4.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