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블록체인 구조와 이론 : 예제로 배우는 핀테크 핵심 기술 / 지은이 : 아카하네 요시하루,아이케이 마나부,이소 토모히로,혼다 히로시,노지마 리이치로,호죠 마사시,시바타 마사유키,이나바 타카히로,나리키요 요시히로,나가이 야스토시 ;옮긴이 : 양현
블록체인 구조와 이론 : 예제로 배우는 핀테크 핵심 기술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블록체인 구조와 이론 : 예제로 배우는 핀테크 핵심 기술 / 지은이 : 아카하네 요시하루,아이케이 마나부,이소 토모히로,혼다 히로시,노지마 리이치로,호죠 마사시,시바타 마사유키,이나바 타카히로,나리키요 요시히로,나가이 야스토시 ;옮긴이 : 양현
  • ·발행사항 파주 : 위키북스, 2017
  • ·형태사항 xix, 246 p. :삽화, 도표 ;24 cm
  • ·총서사항 (위키북스 해킹 & 보안 시리즈 ;010)(h ;010)
  • ·주기사항 원표제:ブロックチェーン仕組みと理論 :サンプルで学ぶFinTechのコア技術
    원저자명: 赤羽喜治, 愛敬真生
    감수: 공무제
    권말부록: Hyperledger Fabric v1.0
    색인수록
    일본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58390662  93500 : \25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27  듀이십진분류법-> 332  
  • ·주제명 금융 기술블록 체인 기법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지은이: 아카하네 요시하루,아이케이 마나부,이소 토모히로,혼다 히로시,노지마 리이치로,호죠 마사시,시바타 마사유키,이나바 타카히로,나리키요 요시히로,나가이 야스토시 ;옮긴이: 양현 2017 SE0000330360 327-17-23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지은이: 아카하네 요시하루,아이케이 마나부,이소 토모히로,혼다 히로시,노지마 리이치로,호죠 마사시,시바타 마사유키,이나바 타카히로,나리키요 요시히로,나가이 야스토시 ;옮긴이: 양현 2017 SE0000360577 327-17-23=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지은이: 아카하네 요시하루,아이케이 마나부,이소 토모히로,혼다 히로시,노지마 리이치로,호죠 마사시,시바타 마사유키,이나바 타카히로,나리키요 요시히로,나가이 야스토시 ;옮긴이: 양현 2017 SE0000362762 327-17-23=3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1부] 기초편 

▣ 1장: 프롤로그
1.1. 비트코인이 ‘반감기’를 맞이했다!?
1.2. 비트코인은 시스템 비용을 절감하는가
__1.2.1. 비트코인 유지 비용 
__1.2.2. 비트코인 시스템의 처리 성능 
__1.2.3. 사실은 비싼 비트코인
1.3. 혁신은 사업 계획에 있다
1.3.1. 블록체인의 본질에 대한 이해

▣ 2장: 블록체인의 흐름
2.1. 시작은 비트코인
__2.1.1. 비트코인의 탄생
__2.1.2. 비트코인의 평판
__2.1.3.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주목
2.2. 핀테크로서의 블록체인 기술
2.3. 시스템 개발 기술로서의 블록체인

▣ 3장: 블록체인 기술이란?
3.1. 블록체인과 비트코인
3.2. 분산 원장을 지원하는 기술
__3.2.1. 분산 원장이란
__3.2.2. 분산 원장의 이점
__3.2.3. 분산 원장의 단점
3.3. 블록체인이 널리 퍼질 가능성

▣ 4장: 블록체인 기술의 응용
4.1. 블록체인의 특징
4.2. 결제 및 거래에서의 응용
__4.2.1. 가상 화폐
__4.2.2. 송금·결제
__4.2.3. 무역 금융
__4.2.4. 자금 조달
__4.2.5. 마켓플레이스
__4.2.6. 전력시장
__4.2.7. 영상 콘텐츠 서비스
4.3. 서명 및 증명에서의 응용
__4.3.1. 저작권 관리
__4.3.2. 고액 물품 거래 추적
__4.3.3. 계약 관리 및 실행
__4.3.4. 문서 공증
4.4. 신규 서비스 응용
4.4.1. IoT 
4.4.2. 투표54
4.5. 기타 응용 사례
4.6. 이후 과제

▣ 5장: 블록체인 업계 동향
5.1. 금융 분야
__5.1.1. 해외 은행
__5.1.2. 일본 은행
__5.1.3. 금융 상품 거래소
__5.1.4. 중앙은행
__5.1.5. 기타 금융 분야
5.2. 공공 분야
__5.2.1. 에스토니아 정부 동향
__5.2.2. 영국 정부 동향
__5.2.3. 미국 정부 동향
__5.2.4. 일본 정부 동향
5.3. 기타 분야
__5.3.1. 제조업계 동향
__5.3.2. 학술업계 동향
__5.3.3. 업계 단체 동향
__5.3.4. 기타 기업·단체 동향

[2부] 이론편

▣ 6장: 블록체인 구조
6.1. 비트코인 구조
__6.1.1. 비트코인의 목적
__6.1.2. 비트코인 구현 방법
__6.1.3. 비잔티움 장군 문제
__6.1.4. 비트코인의 처리 흐름
6.2. 블록체인 기술의 구성 요소와 분류
__6.2.1. 비트코인 이외의 블록체인 기반 기술
__6.2.2. 블록체인 기술 구성 요소
__6.2.3. 블록체인 기반 기술의 분류
6.3. 블록체인 기반 기술 비교
__6.3.1. 아키텍처 비교
__6.3.2. 데이터 모델 비교

▣ 7장:  P2P  네트워크
7.1. P2P 네트워크 개요
7.2. P2P 네트워크 설계
__7.2.1. 퓨어 P2P와 하이브리드 P2P
__7.2.2. 비 구조화 오버레이와 구조화 오버레이
__7.2.3. 블록체인 기반 기술 분류
7.3. P2P 네트워크에 따른 블록체인의 동작(개요) 
7.4. P2P 네트워크에 따른 블록체인의 동작(상세) 
__7.4.1. P2P 네트워크에서 다른 노드와의 연계 
__7.4.2. 데이터(블록) 송수신
7.5. 향후 과제

▣ 8장: 합의 알고리즘
8.1. 합의 알고리즘이란? 
8.2. 계산량에 따른 증명(Proof of Work)의 문제점
8.3. 합의 알고리즘의 종류
__8.3.1. 대표적인 합의 알고리즘 
__8.3.2. 분산 시스템의 장애 모델
8.4. 각 합의 알고리즘의 특징
8.5. 이후의 과제

▣ 9장: 전자 서명과 해시
9.1. 전자 서명을 통한 위조 및 변조 방지 
__9.1.1. 전자 서명 개요 
__9.1.2. 블록체인에서 전자 서명 이용
9.2. 해시를 통한 위조 및 변조 방지 
__9.2.1. 해시 개요
__9.2.2. 블록체인에서 해시 이용 
9.3. 향후 과제
__9.3.1. 암호 기술로서의 과제 
__9.3.2. 기업 이용에 있어서의 과제

▣ 10장: 이용에 있어서의 과제
10.1. 적용 영역의 확대와 블록체인 기반 기술 
10.2. 엔터프라이즈 영역에서 풀어야 할 과제 
10.3. 엔터프라이즈 이용에 남은 과제 

[3부] 실천편

▣ 11장: Bitcoin Core
11.1. 비트코인과 Bitcoin Core 
__11.1.1. Bitcoin Core란? 
__11.1.2. Bitcoin Core 작동
11.2. Bitcoin Core 설치부터 기동까지 
__11.2.1. Bitcoin Core 설치
__11.2.2. 테스트넷에서 기동
11.3. Bitcoin Core 조작
__11.3.1. 블록 생성
__11.3.2. 블록 수 확인
__11.3.3. 계좌 생성
__11.3.4. 잔고 확인
__11.3.5. 송금 
__11.3.6. 채굴 
__11.3.7. 송금 확인

▣ 12장: 이더리움
12.1. 이더리움 개요 
__12.1.1. 이더리움이란? 
__12.1.2. 이더리움 구동
__12.1.3. 이더리움 설치
__12.1.4. 테스트 네트워크 구축 
__12.1.5. 계좌 생성
__12.1.6. 잔고 확인
__12.1.7. 블록 수 확인 
__12.1.8. 송금 
__12.1.9. 송금 확인
__12.1.10. geth 정지 
12.2. Contract를 사용한 샘플 개발
__12.2.1. 이더리움 확장 기능 
__12.2.2. 이더리움 프로그래밍
__12.2.3. 개발 도구 준비 
__12.2.4. browser-solidity 기동
__12.2.5. Contract 작성
__12.2.6. Contract 배포
__12.2.7. 테스트 데이터 입력 
__12.2.8. HTML 파일 작성 
__12.2.9. 연결 대상 및 사용자 정보 설정 
__12.2.10. 샘플 응용 프로그램 실행 
__12.2.11. 블록 상태 모니터링 도구 작성

▣ 13장: Hyperledger Fabric
13.1. Hyperledger Fabric 개요
__13.1.1. Hyperledger Project와 Hyperledger Fabric
__13.1.2. 멤버십 서비스
__13.1.3. 합의 알고리즘
__13.1.4. Fabric의 ‘원장’
__13.1.5. 체인 코드
__13.1.6. Validating Peer 
__13.1.7. Hyperledger Project와 Hyperledger Fabric의 정보 소스
13.2. Hyperledger Fabric 구동
__13.2.1. 개발 환경 설정 
__13.2.2. 가상 머신에 접속 
__13.2.3. 개발 모드로 실행 
__13.2.4. CA 서버 기동 
__13.2.5. Validating Peer 기동
__13.2.6. 체인 코드 프로세스 기동
__13.2.7. 로그인 
__13.2.8. 배포 트랜잭션 실행 
__13.2.9. Invoke 트랜잭션 실행
__13.2.10. Query 트랜잭션 실행 
13.3. 체인 코드를 사용한 샘플 개발
__13.3.1. 실행 환경
__13.3.2. 개발 도구 준비 
__13.3.3. 체인 코드 작성 
__13.3.4. HTML 파일 작성 
__13.3.5. 도커 이미지 생성 
__13.3.6. Docker Compose 설정 파일 편집 
__13.3.7. Docker Compose에서 기동
__13.3.8. 샘플 응용 프로그램 실행
__13.3.9. 모니터링 도구 작성 

▣ 14장: 에필로그
14.1. The DAO Attack 사건과 하드 포크 문제
__14.1.1. 사건의 개요와 논점 
__14.1.2. The DAO Attack 사건의 교훈 
14.2. 블록체인 사용 [방법론]

▣ 특별부록: Hyperledger Fabric v1.0
A.1. Overview
1.1. 시스템 아키텍처
__1.1.1. 트랜잭션
__1.1.2. 블록체인 데이터 구조
__1.1.3. 노드
__1.1.4. 트랜잭션의 흐름
A.2. Fabric 네트워크 구성하기
2.1. 사전 준비 사항
2.2. Hyperledger Fabric 소스 받기 및 빌드
2.3. Fabric 네트워크 부트스트랩을 위한 준비
__2.3.1. Crypto Generator
__2.3.2. Configuration Transaction Generator
__2.3.3. 설정파일 준비
__2.3.4. 인증서 및 아티팩트 생성
A.3. Fabric 네트워크 시작
3.1. 채널 생성
3.2. 채널에 피어 참여
__3.2.1. Peer0.org1
__3.2.2. Peer1.org1
__3.2.3. Peer0.org2
__3.2.4. Peer1.org2
3.3. Anchor 피어 설정
3.4. 체인코드 디폴로이 및 동작 확인
__3.4.1. 체인코드 디플로이
__3.4.2. 체인코드 초기화
__3.4.3. Query
__3.4.4. Invoke
__3.4.5. Query
A.4. CouchDB 사용하기
A.5. 정리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