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블록체인 산업 지도를 바꾼다 : 블록체인 시장 전망과 국가별 정책 및 규제 현황 / 저자 : 비피기술거래
블록체인 산업 지도를 바꾼다 : 블록체인 시장 전망과 국가별 정책 및 규제 현황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블록체인 산업 지도를 바꾼다 : 블록체인 시장 전망과 국가별 정책 및 규제 현황 / 저자 : 비피기술거래
  • ·발행사항 서울 : 비피기술거래, [2017]
  • ·형태사항 100 p. :삽화, 도표 ;30 cm
  • ·주기사항 권말부록: 관련 법률 ; 관련 특허목록
    참고문헌: p.98-100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87327950  93500 : \60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27.2  듀이십진분류법-> 332.4  
  • ·주제명 전자 화폐[電子貨幣]금융[金融]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저자: 비피기술거래 [2017] SE0000320341 327.2-17-2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Ⅰ. 서론 1
Ⅱ. 블록체인(Block Chain) 4
 1. 블록체인의 개념 4
  1) 공공 거래장부 5
  2) 해킹 원천 차단 7
  3) 적은 자원으로 분산서비스 구현 8

 2. 블록체인의 의의 9
  1) 비잔틴 장군의 딜레마 10
  2) 블록체인의 해결안 11

 3. 블록체인의 원리 14
  1) 1단계- Transaction(거래) 단계 14
  2) 2단계- Block(암호화) 단계 15
  3) 3단계- Chaining(상호연결) 단계 15
  4) 4단계- Propagation(분산저장) 단계 16

 4. 블록체인의 특징 16
  1) 탈 중개성 16
  2) 효율성 16
  3) 확장성 17
  4) 보안성 17
  5) 안정성 17
  6) 투명성 17
  7) 취소 불능 및 불변성 17

 5. 블록체인의 단점 19
  1) 규제환경의 미흡 19
  2) 기술적 공감대 형성의 미흡 19
  3) 우발적 거래에 대한 취소 불가능 19
  4) 확장성의 제약 19
  5) 이견조정 지연 19

 6. 블록체인의 발전 20
  1) 블록체인 1.0 20
  2) 블록체인 2.0 20

 7. 블록체인의 종류 21
  1) 공공 블록체인(Public Blockchain) 21
  2) 사적 블록체인(Private Blockchain) 22
  3) 컨소시엄 블록체인(Consortium Blockchain) 24

Ⅲ. 금융계에서의 활용과 그 움직임 27
 1. 금융 서비스에서의 활용 방향 27
  1) 디지털 화폐 28
  2) 국가 간 송금 및 무역금융 28
  3) 주식 및 채권 발행 및 거래기록 관리 29

 2. P2P 금융 혁신을 통한 블록체인 속 핀테크 29
  1) 공인인증서 대체 인증수단 29
  2) 블록체인 정산소로 활용하는 핀테크 플랫폼 31
  3) 블록체인이 주도하는 핀테크 2.0 31

 3. 세계 컨소시엄의 개발동향 33
 4. 해외 금융기관의 개발동향 36
 5. 국내 금융기관의 동향 38

Ⅳ. 非금융계에서의 활용과 그 움직임 41
 1. 국내 非금융기관의 동향 41
 2. 블록체인 적용 분야와 활용 방안 43
  1) 부동산 등 자산의 소유권 관리 43
  2) 우편서비스 분야 44
  3) 회계감사 44
  4) 사물인터넷(IoT) 및 공급사슬관리 44
  5) 디지털 음원 및 저작권 보호 45
  6) 자동차 분야 45
  7) 의료정보 분야 46
  8) 기타 48
  9) 산업 매쉬업(Mash-ups) 49

V. 블록체인 시장 전망 52
 1. 향후 5~10년 이내 실현 52
 2. 전 세계적으로 밝은 시장 전망 52
 3. 다양한 분야로의 확대 전망 55
 4. 블록체인 투자 현황 56

VI. 비트코인 시장 전망 58
 1. 2015년의 큰 성장세 58
 2. 비트코인 최대 보유국 ‘중국’ 60
 3. 위험요소는 비트코인 자체가 아닌 규제의 부재 64
 4. 비트코인의 미래 66
  1) 중개 서비스 업체들의 거래비중 증가 66
  2) 보안 문제는 지속적으로 부각 66
  3) 익명성을 활용한 비트코인의 불법 거래는 점차 축소 67
  4) 화폐로서의 발전은 제한적인 상태로 유지 67
  5) 거래의 매개체로서는 성장 가능성 충분 67
  6) 화폐 이외의 수단으로서의 사용은 증가 68

VII. 블록체인 관련 정책 방향 70
 1. 주요국 간단 정책 동향 70
 2. 블록체인 생태계의 조성 71
 3. 블록체인 규제체계의 설계 72
  1) 기본방향 72
  2) 블록체인의 법적 성격 72

 4. 디지털통화 관련 규제 73
 5. 대체청산기능의 허용 여부 75

VIII. 비트코인 관련 국가별 규제 77
IX. 결론 81
X. 부록(1)― 관련 법률 85
 1. 「외국환거래법」 85
  1) 제8조 85
  2) 시행령 제14조 86
  3) 시행령 제39조제2항 87

 2. 「특정금융거래정보의보고및이용등에관한법률」(이하 특정금융거래정보법) 88
  1) 제4조 88
  2) 제5조2 89

 3. 「전자금융거래법」 90
  1) 제12조 90
  2) 제21조의 2 90
  3) 제21조의3 91
  4) 시행령 제11조의 3 92

XI. 부록(2)― 관련 특허목록 94
XII.참고자료 98

<표 차례>
표 1 블록체인의 특징 18
표 2 블록체인 1.0의 이슈 20
표 3 퍼블릭 블록체인 vs 프라이빗 블록체인 23
표 4 블록체인 조율별 특징 및 예시 25
표 5 블록체인 기술 활용 분야 32
표 6 국외 금융권 블록체인 컨소시엄 현황 35
표 7 해외 금융기관의 블록체인 활동 현황 36
표 8 국내 금융기관의 블록체인 활용 현황 38
표 9 국내 주요 비금융기관의 활동 현황 41
표 10 블록체인의 경제적 효과 53
표 11 블록체인 관련 주요국 간단 정책 동향 70
표 12 주요국의 가상화폐 및 비트코인 입장 78

<그림 차례>
그림 1 블록체인의 작동원리 4
그림 2 기존 거래방식과 블록체인 기반 거래방식의 차이 6
그림 3 블록체인, 비트코인 공공 거래장부 예시 7
그림 4 37코인스 공동창업자이자 연인인 요한 바비 CEO와 이송이 공동창업자 9
그림 5 비잔틴 장군의 딜레마 설명 그림 10
그림 6 블록체인 기술의 적용 원리 14
그림 7 비트코인 거래(예시) 14
그림 8 A, B간 거래의 투입과 산출 15
그림 9 B, C간 거래의 투입과 산출 15
그림 10 거래체인과 블록체인 16
그림 11 블록체인 기술이 낮출 수 있는 부분 18
그림 12 스마트 계약의 과정 21
그림 13 Permissioned and Permissionless Blockchains 24
그림 14 공공 블록체인/사적블록체인의 구분과 소프트웨어/플랫폼에서의 예시 24
그림 15 금융부문에서의 블록체인 적용 가능성 27
그림 16 코인플러그가 국내에서 최초로 자체 개발해 상용화한 양방향 비트코인 ATM 30
그림 17 비트코인 블록체인을 클리어링 하우스로 사용하는 세이퍼트 뱅킹 31
그림 18 R3CEV 컨소시엄 34
그림 19 R3CEV : Corda 34
그림 20 非금융 분야에서의 블록체인 적용 분야 42
그림 21 Factom plus Storj offer a decentralized way to keep digital records private. 43
그림 22 ADEPT 플랫폼 44
그림 23 미국의 블록체인테크놀로지는 블록체인 기반의 투표 시스템과 비트코인 ATM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다. 48
그림 24 2016 신기술 Hype Cycle 52
그림 25 비트코인 가치 추이 53
그림 26 블록체인 적용 분야에 대한 미디어 관심도 추세 55
그림 27 블록체인 시장규모 전망 55
그림 28 비트코인과 블록체인 분야 VC 펀딩 (단위 : 백만 달러) 56
그림 29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예상 자본시장 지출 (단위 : 백만 달러) 56
그림 30 2014년 대비 2015년 비트코인 시장의 성장률 58
그림 31 2015년의 비트코인 가격상승세 59
그림 32 현재 비트코인을 만든 노드(node) 규모 60
그림 33 그림 33 중국의 비트코인 발행 프로그램 다운로드 횟수 증가 추이(2013.1~2013.5) 61
그림 34 구글에서 국가별 비트코인에 대한 검색 추이(2013) 61
그림 35 국내 비트코인 거래소 1위 ‘빗썸’의 월별 거래액 추이 65
그림 36 기업 공시 관련 기술투자 우선순위 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