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동아시아 전통과 시민 / 지은이 : 이동수,이현휘,김시천,이명원,유병래
동아시아 전통과 시민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동아시아 전통과 시민 / 지은이 : 이동수,이현휘,김시천,이명원,유병래
  • ·발행사항 고양 : 인간사랑, 2017
  • ·형태사항 318 p. :삽화 ;23 cm
  • ·총서사항 (시민교육 연구총서 ;5)
  • ·주기사항 참고문헌 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74183677  93340 : \25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70.13  듀이십진분류법-> 370.116  
  • ·주제명 시민 교육[市民敎育]시민 사회[市民社會]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지은이: 이동수,이현휘,김시천,이명원,유병래 2017 SE0000315024 370.13-17-8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지은이: 이동수,이현휘,김시천,이명원,유병래 2017 SE0000315025 370.13-17-8=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서문 (이동수) 9

1부 서구의 충격과 동아시아 13
1장  19세기 한중일 근대화 비교 : 이현휘 15
1. 지배양식과 삶의 운영원리 그리고 서양 근대혁명의
    사회학적 의미 19
2. 가산제와 전통주의적 혁명 28
3. 중국 전제군주제와 유교 및 도교 30
4. 일본 봉건제와 병학 36
5. 한국 신분제적 가산제와 신유학 53
6. 21세기 한국의 패권제적 사회질서와 ‘대한양궁협회’
    그리고 시민사회의 과제 58
2장  중국의 대응 : 김시천 73
1. 서구의 ‘충격’과 전통 75
2. 천하관과 근대화 81
3. 구국과 계몽의 이중주 87
4. 유교적 사회와 시민사회 92
3장  일본의 대응 : 이명원 100
1. 메이지유신과 자유민권운동 100
2. 제국헌법과 교육칙어의 반포 106
3. 다이쇼 데모크라시의 실패 113
4. 총력전 체제와 파시즘의 대두 118
5. 결론  126
4장  한국의 대응 : 김시천 130
1. 유교적 조선과 근대 133
2. 개화론과 동도서기론 137
3. 위정척사와 유교변혁운동 142
4. 근대화와 유교전통 152

2부  전통의 재발견과 동아시아 시민 159
5장  도가적 가치와 현대 시민 : 유병래 161
1. 도가의 현대적 이해와 시민사회 161
2. 결사적 삶과 자연(自然) 175
3. 좋은 사회와 현덕(玄德) 194
4. 지구시민사회와 확장된 시민 211
6장  유가적 가치와 현대사회 : 김시천 228
1. 유교문화권과 서구의 근대 232
2. 문화담론과 전통계승 239
3. 아시아적 가치와 유교의 부흥 245
4. 동아시아 공동체론과 시민사회 251
7장  21세기 동아시아 미래와 시민 : 이명원 262
1. 시민연대의 딜레마 262
2. 아베의 전후 70년 담화와 ‘일본문제’ 268
3. ‘일본 예외주의’의 극복 276
4. 동아시아 시민의 연대 가능성 281

에필로그  동아시아에서 시민 되기와 고전읽기 : 김시천 285
1. 문명의 ‘대조’에서 삶의 ‘유비’로 286
2. 탈근대와 전근대의 착종을 넘어 293
3. 지식인, 독자 그리고 시민 300
4. 시민적 삶의 해석학 308

저자 소개 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