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일제시대 米穀시장과 流通구조 / 吳浩成 지음
일제시대 米穀시장과 流通구조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일제시대 米穀시장과 流通구조 / 吳浩成 지음
  • ·발행사항 서울 : 경인문화사, 2013
  • ·형태사항 xv, 430 p. :삽화(일부천연색), 지도 ;24 cm
  • ·총서사항 (경인한국학연구총서 ;111)
  • ·주기사항 참고문헌(p. 413-420)과 색인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49909585  93910 : \34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911.06  듀이십진분류법-> 951.903  
  • ·주제명 일제 강점기[日帝强占期]쌀[米]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吳浩成 지음 2013 SE0000308178 911.06-17-14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吳浩成 지음 2013 SE0000308179 911.06-17-14=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머리말

제1장 개항기 조선의 미곡시장과 유통 _ 1 
1. 조선 후기의 미곡시장과 유통 _ 3
2. 개항과 미곡 수출시장의 형성 _ 18
3. 일제 統監府 시기 미곡시장의 변화 _ 30

제2장 한일병합 이후 조선의 미곡시장과 유통 _ 43
1. 1910년대 조선 미곡시장의 변화 _ 45
2. 1920~30년대 消費地 市場의 미곡 유통 _ 54
3. 경성시장의 미곡거래 방법 _ 62
4. 조선총독부의 市場規則과 신식시장의 출현 _ 68
5. 補論: 조선총독부의 官制와 法令체계 _ 72

제3장 미곡 선물시장과 청산거래 _ 75
1. 미곡 선물시장과 청산거래의 개념 _ 77
2. 인천미두취인소와 곡물상조합시장 _ 93
3. 조선취인소령에 의한 조선취인소와 지방취인소 및 정미시장 _ 99
4. 조선취인소와 정미시장의 거래방법 _ 103
5. 조선내 미곡취인소의 거래실적 _ 112
6. 미곡상과 생산자의 선물청산시장 이용 _ 119

제4장 조선총독부의 미곡증산과 상품화정책 _ 121
1. 조선산미증식계획 _ 123
2. 산미증식계획의 추진을 위한 경제적 수단 _ 139
3. 산미증식계획의 추진을 위한 人的, 制度的 수단 _ 142
4. 조선미의 商品化과정과 米穀檢査制度 _ 151
5. 조선총독부의 미곡검사제도와 조선미의 차별화 _ 156

제5장 조선미의 수이출과 일본시장 _ 181
1. 조선미의 증산과 수이출시장의 확대 _ 183
2. 조선미의 생산량과 이출량 증가의 불균형 _ 195
3. 조선미의 이출량 증가 원인 _ 206
4. 조선미의 수이출과 貿易收支 _ 234

제6장 일본시장에서 조선미의 경쟁구도와 이입?이출상간의 거래 _ 241
1. 일본시장에서 일본미?조선미?대만미의 경쟁 _ 243
2. 조선-일본간 미곡 유통비용 _ 256
3. 조선미 移出商과 일본 移入商간의 거래방법 _ 262

제7장 조선미의 이입량 통제: 조선총독부와 일본정부의 갈등 _ 277
1. 지속적 미가 하락과 일본농업의 위기 _ 279
2. 미가 하락이 일본과 조선농업에 미친 영향 _ 284
3. 조선미의 이입통제를 위한 일본정부의 대책 _ 290
4. 조선미의 이출을 둘러싼 조선총독부와 일본정부의 대립 _ 307
5. 조선미 이입통제 논란의 정치?S경제적 성격 _ 328
6. 조선총독부의 미가대책 _ 335

제8장 戰時 統制經濟와 미곡시장의 해체 _ 353
1. 中日戰爭의 발발과 미곡 수급사정의 역전 _ 355
2. 일본의 미곡시장 폐쇄와 유통의 전면적 국가관리 _ 358
3. 조선총독부의 미곡시장 폐쇄와 미곡의 유통관리 _ 365
4. 太平洋戰爭의 발발과 식량의 전면적 국가관리 _ 373
5. 미곡의 국가관리가 미곡 유통체계에 미친 영향 _ 382

제9장 요약과 결론 _ 389

참고문헌 _ 413
찾아보기 _ 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