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젓가락 : 동아시아 5,000년 음식문화를 집어 올린 도구 / Q.에드워드 왕 지음 ;김병순 옮김
젓가락 : 동아시아 5,000년 음식문화를 집어 올린 도구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젓가락 : 동아시아 5,000년 음식문화를 집어 올린 도구 / Q.에드워드 왕 지음 ;김병순 옮김
  • ·발행사항 서울 : 따비, 2017
  • ·형태사항 416 p. :삽화(일부천연색) ;22 cm
  • ·주기사항 원표제:Chopsticks :a cultural and culinary history
    원저자명: Wang, Q. Edward
    참고문헌(p. 373-388), 연대표와 색인수록
    영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98439347  03910 : \22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81.75  듀이십진분류법-> 394.1  
  • ·주제명 식문화[食文化]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Q.에드워드 왕 지음 ;김병순 옮김 2017 SE0000305033 381.75-17-5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Q.에드워드 왕 지음 ;김병순 옮김 2017 SE0000305034 381.75-17-5=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연대표 36
옮긴이 서문 39

1장 서문 45
중국은 전국 시대 때 젓가락을 처음 발명했다. 두 개의 막대기는 매우 단순하지만 완벽하게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한다. 젓가락은 사람의 손가락을 연장한 것이다. 

2장 왜 젓가락을 썼을까: 식사도구의 기원과 기능 73
고대 중국에서 끓이거나 찌는 조리법이 발달하면서, 죽과 국을 먹기 위해 식사도구가 일반화되었다. 젓가락은 국에 들어 있는 건더기를 건져 먹는 용도로 부차적으로 쓰였다. 

3장 쌀밥을 먹을까, 국수를 먹을까: 젓가락 사용의 변천 과정 117
한나라 때부터 당나라 때까지 중국 농업에 일어난 변화는 음식문화와 식사도구에도 영향을 끼쳤다. 밀의 재배와 제분 기술의 발달로 젓가락의 활용도가 숟가락보다 높아졌다. 

4장 젓가락문화로 묶이다: 베트남, 일본, 한국 그리고 그 너머 161
14세기경 오늘날의 중국, 베트남, 한국, 일본에 젓가락문화권이 확립되었으나, 각 지역에서 그 양상은 민족의 전통에 따라, 음식문화에 따라, 중국 문화의 영향력에 따라 달랐다. 

5장 젓가락 사용: 풍습, 사용 방식과 예절 205
각 나라에서는 식사 방식에 맞는 식탁 예절이 발달했다. 젓가락의 길이, 놓는 방식, 숟가락의 역할 등에서 차이가 나기는 하지만 함께 먹는 사람들에 대한 배려라는 공통점이 있다. 

6장 떨어질 수 없는 한 쌍: 선물, 은유와 상징으로서 젓가락 251
젓가락은 고대 중국에서부터 날마다 쓰는 식사도구가 된 이래 문인과 시인, 사상가들의 사랑을 받는 대상이 되었다. 

7장 전 세계 음식문화를 이어주는 ‘가교’  293
아시아음식은 전 세계에서 즐겨 먹는 음식이 되었고, 그것을 먹기 위해 젓가락을 사용하는 인구도 늘고 있다. 이로써 늘어난 일회용 나무젓가락과 관계된 환경 문제도 제기되고 있다.

결론 331
젓가락과 젓가락질은 수천 년 동안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 지역 사람들과 함께하면서 마침내 하나의 살아 있는 전통이 되었다. 

출처 및 주석 340
그림 출처 371
참고문헌 373
찾아보기 389
표기 일람 400
감사의 말 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