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민족 교육 = Ethnic education Koreans in Japan : 일본의 외국인 교육정책과 재일 한국인의 교육적 지위 / 지은이 : 김상규
민족 교육 = Ethnic education Koreans in Japan : 일본의 외국인 교육정책과 재일 한국인의 교육적 지위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민족 교육 = Ethnic education Koreans in Japan : 일본의 외국인 교육정책과 재일 한국인의 교육적 지위 / 지은이 : 김상규
  • ·발행사항 고양 : 좋은땅, 2017
  • ·형태사항 419 p. :도표 ;23 cm
  • ·주기사항 참고문헌(p. 413-419)과 "민족교육연표"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59826504  03700 : \198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70.911  한국십진분류법-> 911.07  듀이십진분류법-> 370.9519  듀이십진분류법-> 951.904  
  • ·주제명 민족 교육[民族敎育]재일 한국인[在日韓國人]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지은이: 김상규 2017 SE0000295844 370.911-17-3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지은이: 김상규 2017 SE0000295845 370.911-17-3=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Prologue
일러두기

| Chapter Ⅰ | 
서론
1. 민족교육의 시점(視點)
2. NHK ‘안녕하십니까? ~한글 강좌~’
3. ‘한국’과 ‘조선’
4. 재일 한국인의 민족의식

| Chapter Ⅱ | 
민족교육의
전사(前史)
1. 해방 전의 민족교육
2. 동화교육의 전 단계, 조선인 야학교
3. 차별과 억압의 민족교육

| Chapter Ⅲ | 
민족교육의
본격화
1. 일본의 외국인학교 정책 개관
2. 해방 후의 일본 사정
3. GHQ 지령과 1948년 1월 통첩
4. 한신(阪神)교육 사건
5. 교토의 민족학교 폐쇄 극복
6. 1949년 통첩과 민족학교 폐쇄
7. 공립의 민족학교

| Chapter Ⅳ | 
한일기본조약
후의 민족교육
1. 한일기본조약과 재일 한국인의 교육적 지위
2. 민족교육의 새 국면, 외국인학교제도

| Chapter Ⅴ | 
민족학교의
고등교육
기회 문제

1. 서론192
2. 문부성 고시 47호
3. 문부성 고시 153호
4. 국제연합 아동권리위원회의 권고
5. 민족학교 고등교육 기회 확대

| Chapter Ⅵ | 
민족교육에서
민단의 역할
1. 민단과 민족교육
2. 1조교와 각종 학교
3. 도쿄한국학원
4. 백두학원(건국 유·초·중·고교)

| Chapter Ⅶ | 
재외 한국인
교육의 
방향과 과제
1. 서론
2. 민족교육의 인식 문제
3. 재외 한국학교의 실태
4. 일본의 재외국민 교육정책
5. 한국과 일본의 재외국민 교육정책 비교
6. 재외국민교육의 과제
7. 결론

| Chapter Ⅷ | 
재일 한국인 
‘한계인’
1. ‘본명’과 ‘통명’
2. 민족차별의 정당화
3. 차별의 유동화
4. 정치적 차별
5. 거꾸로 가는 외국인의 생활보호
6. 사회 선발·이동의 차별
7. 재일 한국인에게 ‘한국’의 의미

| Chapter Ⅸ | 
일본 전후사
70년 극복을 
위한 과제
1. 서론
2. 국제교육법과 민족교육을 받을 권리
3. 일본 정부 및 지자체의 민족교육 차별 정책
4. 재일 한국인 민족교육의 과제
5. 결론

Epilogue
민족교육연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