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여헌 장현광의 삶과 사상 : 조선 중기의 '낙중학' / 지은이 : 홍원식,우인수,추제협,이상호,정병석,유권종,정시열
여헌 장현광의 삶과 사상 : 조선 중기의 '낙중학'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여헌 장현광의 삶과 사상 : 조선 중기의 '낙중학' / 지은이 : 홍원식,우인수,추제협,이상호,정병석,유권종,정시열
  • ·발행사항 대구 : 계명대학교 출판부, 2017
  • ·형태사항 273 p. ;24 cm
  • ·총서사항 (낙중학 총서 ;4)(계명한국학총서 ;44)
  • ·주기사항 참고문헌: p. 263-272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75857652  93150 : \27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151.53  듀이십진분류법-> 181.119  
  • ·주제명 장현광,張顯光,1554-1637한국 철학[韓國哲學]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지은이: 홍원식,우인수,추제협,이상호,정병석,유권종,정시열 2017 SE0000294942 151.53-17-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지은이: 홍원식,우인수,추제협,이상호,정병석,유권종,정시열 2017 SE0000294943 151.53-17-2=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책을 펴내며 04

조선 중기 낙중학과 장현광의 ‘여헌학’_홍원식
1. 머리말 10
2. 장현광의 학맥 연원과 도통 의식 12
3. ‘명체’ 강화의 ‘여헌학’ 21
4. 맺음말 - 낙중학의 관점에서 본 ‘여헌학’ 27

인조대 산림 장현광의 정치적 활동과 위상_우인수
1. 머리말 30
2. 인조반정후의 징소와 시무책의 제시 32
3. 정묘호란시 호소사 활동 40
4. 복제와 추숭 관련 예론의 개진 51
5. 맺음말 66

‘한려학파’와 ‘여헌학’_추제협
1. 머리말 70
2. 한려시비를 중심으로 본 정구와 장현광의 관계 73
3. 정구의 명체적용지학 : 심학과 예학 84
4. 장현광의 명체적용지학 : 역학과 성리학 91
5. 맺음말 - ‘한려학파’에서 본 ‘여헌학’의 사상적 위치 101

퇴계학과의 비교를 통해 본 장현광의 성리설(사단칠정론을 중심으로)_이상호
1. 머리말 106
2. 사단칠정론에 근거한 퇴계학의 성리설 110
3. 장현광의 경위설과 리기 및 사단칠정의 관계 118
4. 장현광의 ‘리발’설과 리의 능동성 문제 127
5. 맺음말 136

“역유태극(易有太極)”의 해석을 통해 본 여헌 장현광의 역학 사상_정병석
1. 머리말 142
2. 소강절의 사편설을 넘어서 146
3. “역유태극”에 대한 여헌의 관점 153
4. 여헌의 “태극생양의”의 해석을 통해 본 태극의 상관상포적 성격 159
5. “양의생사상, 사상생팔괘, 팔괘정길흉, 길흉생대업”에 대한 여헌의 해석 168
6. 맺음말 176

여헌 장현광의 예학_유권종
1. 머리말 180
2. 관점 조정을 위한 논의 183
3. 역학의 위기지학적 구도와 예 190
4. 의례장치와 의례적 실천 210
5. 맺음말 217

여헌 장현광의 잡저류 연구(「여헌설」, 「동진록」, 「명분」을 대상으로)_정시열
1. 머리말 222
2. 문답식 서술과 자아의식 : 명실상부 225
3. 점층식 서술과 처세지도 : 화광동진 236
4. 나열식 서술과 천분만단 : 수분안명 247
5. 맺음말 : 여헌의 인물됨 258

참고문헌 2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