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마을, 예술을 이야기하다 / 지은이 : 김남일
마을, 예술을 이야기하다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마을, 예술을 이야기하다 / 지은이 : 김남일
  • ·발행사항 서울 : Watch Books :이야기경영연구소, 2017
  • ·형태사항 431 p. :삽화 ;23 cm
  • ·주기사항 Watch Books는 이야기경영연구소의 출판브랜드임
    참고문헌: p. 430-431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95290642  03300 : \23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31.4  듀이십진분류법-> 307.7  
  • ·주제명 지역 사회학[地域社會學]예술[藝術]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지은이: 김남일 2017 SE0000287061 331.4-17-4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지은이: 김남일 2017 SE0000287062 331.4-17-4=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추천사 8
들어가는 말.... 16
1. 공업화된 농업, 우리 농촌은 정비중이다
ㆍ 민원(民願)에 갇힌 민선(民選) 24
ㆍ ‘죽은 보조금’이 농촌을 병들게 한다 31
ㆍ 축사가 농촌마을을 망치고 있다 35
ㆍ 제발 포장 좀 그만, 옛길 복원하자 46
ㆍ 비우는 것이 차라리 채우는 것이다 53
ㆍ 옛 것들이 사라지고 있다, 시간이 없다 59
ㆍ 마을엔 진정한 놀이문화가 없다 72
ㆍ 지방엔 사람이 없다, 마을정치만 있다 83
ㆍ 오래된 나무는 우리의 오래된 미래다 90

2. 오래된 작은 마을은 예술이다
ㆍ 서울과 너무나 비교되는 농촌 100
ㆍ 유럽의 예쁜 마을과 프랑스의 지트(Gites De France) 104
ㆍ 자연을 닮은 북유럽 디자인과 스웨덴의 트리 호텔(Tree Hotel) 112
ㆍ 미국의 아미쉬 빌리지(Amish Village)와 트리 시티(Tree City)제도 116
ㆍ 소박한(naive) 본성으로 다가오는 부탄 122
ㆍ 일본의 공민관(公民館)제도와 전통료칸 127

3. 규제가 살린 삼촌. 이야기가 지켜온 삼촌마을
ㆍ 인문산수의 고향, 양백지간(兩百之間) 경상북도 141
ㆍ 삼촌(三寸) 아닌 삼촌마을(三村마을, Three Natural Maeul) 147
ㆍ 삼촌에는 우리만의 자연마을이 있다 151
ㆍ 경관성과 인문성은 삼촌마을의 필요조건이다 156
ㆍ 규제가 살린 삼촌, 비어 있어 아름답다 159
ㆍ 치산치수(治山治水)가 아니라 지속가능한 이산이수(利山利水)를! 166
ㆍ 삼촌마을은 우리 모두의 행복의 샘이다 173

4. 삼촌마을의 뿌리, 백두대간ㆍ낙동강ㆍ동해
ㆍ 백두대간 이야기
- 백두대간에는 십승지가 있다 187
- 백두대간에는 금강소나무가 있다 193
- 백두대간에는 별을 머금은 산채가 있다 198
- 백두대간에는 백성과 함께한 청백리가 있다 206
ㆍ 낙동강 이야기
- 상주는 낙동강의 머리이자 뿌리이다 210
- 낙동강은 오곡백과(五穀百果)를 낳은 어머니의 강이다 221
- 낙동강은 고향을 지켜온 종가문화가 있다 226
- 낙동강 이야기 따라 코리아 모빌리티(Korea Mobility)를 연결하자 233
ㆍ 동해 이야기
- 동해에는 창해삼국(滄海三國)과 우산국(于山國) 나라가 있었다 237
- 동해는 수탈의 아픈 바다로 기억된다 247
- 유라시아 동쪽바다, 동해(東海)의 정체성을 되찾자 255

5. 마을부국, 삼촌 수채화마을 만들기에 있다
ㆍ 농림부가 아니라 문체부가 주도해야 한다 272
ㆍ 예술휴양형 문화산업혁신거점이 필요하다 277
ㆍ 규제프리존특별법은 마을 만들기에도 필요하다 282
ㆍ ‘지역 문화산업 진흥을 위한 특별법’을 만들자 285
ㆍ 삼촌 수채화마을 만들기의 기본공식과 5가지 전략 299
- 비우기(Clean) 전략: ‘삼촌답게, 마을답게’ 비우자 306
- 배우기(Learn) 전략: 삼촌은 사람을 만드는 악기다 315
- 상상하기(Image) 전략: 다르게 생각하는 것이 마을경영의 기본이다 323
- 디자인하기(Design) 전략: Art는 마을을 변화시키고, 마을은 Art를 만든다 332
- 나누기(Share) 전략: 사람을 키우자, 그리고 다른 마을과 나누자 357

6. 삼촌마을 비즈니스(Maeultravel)시대를 열어가자
ㆍ 산촌은 스위스 알프스처럼, 강촌은 이태리 베니스처럼,
ㆍ 어촌은 그리스 지중해섬처럼 382
ㆍ 마을학(Maeulology)의 정립이 필요하다 384
ㆍ 마을 아카이브를 구축하고 마을대학(Maeulversity)을 육성하자 389
ㆍ 사도삼촌(4都3村)ㆍ동도하촌(冬都夏村)의 시대, 삼촌에서 꿈꾸게 하자 393
ㆍ 삼촌마을 이야기가 네트워킹 되고, 마을꾼들끼리 뭉치게 만들자 397
ㆍ 우리에겐 희망이 있다, 미친 공무원을 응원하자 406

끝맺는 말.... 420
ㆍ 내가 먼저 좋은 이웃이 되자, 삼촌마을 정원사가 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