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아이폰 이후의 UX : 하드웨어×소프트웨어×네트워크 시대의 새로운 설계론 / 와타나베 게이타 지음 ;김홍기 옮김
아이폰 이후의 UX : 하드웨어×소프트웨어×네트워크 시대의 새로운 설계론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아이폰 이후의 UX : 하드웨어×소프트웨어×네트워크 시대의 새로운 설계론 / 와타나베 게이타 지음 ;김홍기 옮김
  • ·발행사항 파주 : Jpub(제이펍), 2016
  • ·형태사항 xvi, 196 p. :삽화 ;22 cm
  • ·주기사항 원표제:融けるデザイン :ハード×ソフト×ネット時代の新たな設計論
    원저자명: 渡邊恵太
    일본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85890708  03320 : \18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004.78  듀이십진분류법-> 005.437  
  • ·주제명 사용자 경험[使用者經驗]인터렉션 디자인[interaction design]인터페이스[interface]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와타나베 게이타 지음 ;김홍기 옮김 2016 SE0000281423 004.78-17-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와타나베 게이타 지음 ;김홍기 옮김 2016 SE0000281424 004.78-17-2=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제1장 매킨토시는 심리학자가 설계하고 있다 _ 1
1-1 인문 계열과 자연 계열 _ 2
1-2 인간에게 컴퓨터란 무엇인가? _ 6
1-3 비유의 프로는 누구인가? _ 12
1-4 메타 미디어성 발휘와 메타포의 한계 _ 15
1-5 메타포가 없는 디자인 _ 18
1-6 경험이 중심이 되는 설계로 _ 21
1-7 경험을 디자인하는 관점 _ 26

제2장 인터페이스란 무엇인가? _ 29
2-1 투명성에 대한 접근법 1: 도구의 투명성 _ 30
2-2 투명성에 대한 접근법 2: 환경의 투명성 _ 36
2-3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역할 ― ‘가능’의 디자인 _ 50

제3장 정보의 신체화 - 투명성에서 자기 귀속감으로 _ 55
3-1 도구의 투명성 _ 56
3-2 비주얼 햅틱스 _ 61
3-3 던진 공은 어디까지가 신체인가? _ 71
3-4 멀티 더미 커서 실험 _ 75
3-5 인지적 비대칭성 ― 내가 당신이 아닌 이유 _ 83
3-6 커서는 신체의 연장 ― 움직임의 연동이 신체를 연장한다 _ 85
3-7 자기 귀속감 ― 새로운 도구 설계의 키워드 _ 87
3-8 아이폰의 GUI는 왜 기분 좋은가? _ 90
3-9 자기 귀속감과 감촉 ― 무거움, 경쾌함 _ 96
3-10 자기 귀속, 투명성, 도구성, 경쾌함, 타인 _ 100
3-11 새로운 UX의 기초 _ 103

제4장 정보의 도구화 - 인터넷 전제 도구의 본연의 모습 _ 107
4-1 현실에 직접 작용하는 인터페이스로 _ 108
4-2 인터넷 인터페이스/인터랙션 _ 113
4-3 정보의 도구화 사례 _ 117
4-4 네트워크를 전제로 한 설계 _ 123
4-5 암묵성과 인터페이스 _ 128

제5장 정보의 환경화 - 인터랙션 디자인의 기초 _ 133
5-1 컴퓨터 이용의 문맥 변화 _ 134
5-2 행위, 활동에 융합시키는 디자인 _ 136
5-3 PC 앞을 떠나 이제는 움직이면서 정보와 접한다 _ 138
5-4 싱글 인터랙션에서 패러렐 인터랙션으로 _ 145
5-5 제약이 만들어내는 비구속성 _ 149

제6장 디자인의 현상학 _ 151
6-1 현상 레이어의 디자인론 _ 152
6-2 시각 세계는 결로 만들어져 있다 _ 158
6-3 리얼리티에서 경험으로 ― 주관과 객관 _ 165
6-4 사물과 서비스의 현상 _ 174
6-5 디자인 현상학을 한다 ― 세계는 하나의 OS다 _ 179

제7장 미디어 설계에서 인터페이스로 _ 181
7-1 정보와 물질을 나누지 않는 디자인 _ 182
7-2 메타 미디어의 디자이너들 _ 189

에필로그 _ 1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