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치료요법 문화 : 실존적 불안 시대에 취약한 주체 계발하기 / 지은이 : 프랭크 푸레디 ;옮긴이 : 박형신,박형진
치료요법 문화 : 실존적 불안 시대에 취약한 주체 계발하기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치료요법 문화 : 실존적 불안 시대에 취약한 주체 계발하기 / 지은이 : 프랭크 푸레디 ;옮긴이 : 박형신,박형진
  • ·발행사항 파주 : 한울아카데미 :한울엠플러스, 2016
  • ·형태사항 470 p. ;24 cm
  • ·총서사항 (한울아카데미 ;1898)
  • ·주기사항 원표제:Therapy culture :cultivating vulnerability in an uncertain age
    원저자명: Frank Furedi
    참고문헌(p. 439-459)과 색인수록
    영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46058989(양장)  93330 : \43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31.1  듀이십진분류법-> 302  
  • ·주제명 사회 심리[社會心理]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지은이: 프랭크 푸레디 ;옮긴이: 박형신,박형진 2016 SE0000281260 331.1-17-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지은이: 프랭크 푸레디 ;옮긴이: 박형신,박형진 2016 SE0000281261 331.1-17-2=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서론
감정적 결함 | 치료요법적 개입 | 치료요법의 의미체계 | 우리 시대의 의미체계 | 이 책에 대하여

제1장 감정주의 문화
사회적 문제를 감정적 문제로 바꾸어 놓기 | 감정에 대한 애매한 태도 | 관리 대상으로서의 감정 | 감정 드러내기 | 고백실의 부활

제2장 감정정치
공적 삶에서 감정의 지위 변화 | 감정의 얼굴을 한 관리주의 | 공중의 치료요법적 정치 참여 | 치료요법적 정치 스타일 | 치료요법 정치의 제도화

제3장 프라이버시와 비공식적 관계 겨냥하기
사생활에 숨어 있는 추악한 비밀들 | 그리고 공적인 것의 놀라운 타락 | 비공식적 관계 겨냥하기 | 대인관계 범죄화하기 | 결론

제4장 우리가 어쩌다가 이 지경이 되었는가?
전통의 쇠퇴 | 종교와 공유된 도덕적 규범의 쇠퇴 | 정치의 사망 | 사회통제 | 일상생활의 전문화 | 결론: 사적 영역의 해체

제5장 축소된 자아
취약한 자아 | 상황의 희생자들 | 중독이라는 물신 | 수동적 주체의 사회화

제6장 위험에 처한 자아
위험에 처한 자아: 자아의 객체화 | 두려워하는 주체 | 위험한 관계들

제7장 허약한 정체성: 자존감에 대한 집착
내부로의 전환 | 소원한 정체성 계발하기 | 끝없는 정체성 요구 | 자존감: 우리 시대의 문화적 신화 | 자존감 신화에 대한 반발 | 반지성주의적인 감정 에토스

제8장 인정해주기: 정체성 추구와 국가
인정 국가 | 존중에서 도덕적 내용물 비우기 | 인정과 진단의 혼동 | 결론

제9장 치료요법식 주장 제기하기와 진단의 요구
치료요법식 주장 제기하기 | 희생자의 권위 | 도덕적 진실 주장 | 자원에 대한 요구 | 치료요법의 책임 기준 | 우리가 누구를 비난할 수 있는가?

맺음말: 무엇이 문제인가?
반대하는 감정들에 대한 불관용 | 감정적 순응의 요구 | 신보수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