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전주 한옥마을 다시보기.1-2 / 글 : 이종근 ;사진 : 오세림
전주 한옥마을 다시보기. 1-2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전주 한옥마을 다시보기.1-2 / 글 : 이종근 ;사진 : 오세림
  • ·발행사항 서울 : 채륜서 :채륜, 2016-2019
  • ·형태사항 2책 :천연색삽화 ;23 cm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85401249 (1)  04910: \15800 ISBN: 9791185401430 (2)  04910: \168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911.92  듀이십진분류법-> 951.95  
  • ·주제명 지방사[地方史]전주(전라북도)[全州]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1 글: 이종근 ;사진: 오세림 2016 SE0000280353 911.92-17-1-1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1 글: 이종근 ;사진: 오세림 2016 SE0000280354 911.92-17-1-1=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2 글: 이종근 ;사진: 오세림 2019 SE0000513798 911.92-17-1-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2 글: 이종근 ;사진: 오세림 2019 SE0000513799 911.92-17-1-2=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여기는 ‘온ON고을’ 전주입니다 
추천사 

하늘땅 별땅, 한옥마을 달따러 가요
주민들이 만드는 강강술래축제 / 365일 한복이 있어 알록달록한 한옥마을 / 달달한 한옥마을을 가꾸는 문화기획자 박세상 씨

꽃보다 아름다운 전주 최부잣집의 꽃담 
최부잣집 토담에 새겨진 투박한 꽃 세 송이, 한옥마을의 상징 문패 / 전동성당 사제관의 꽃담, 신부들의 희생을 노래하네 / 묵향 풍기는 전주시 강암서예관의 꽃담

용 다섯 마리, 남천교에 깃들었네 
승암교 다리 2개 중 하나 사라져 / 창변이 아름다운 한벽교 / 남천교에서 다섯 마리의 용을 찾아요

전주의 족보, 싸전다리 
은빛천국 싸전다리 / 매곡교, 서천교, 완산교로 이어지는 역사

아픔을 보듬은 다가교
전주의 다리 가운데 이름이 가장 많이 바뀐 다가교 / 켜켜이 담아내는 이름의 무게

완산종, 종소리 크게 울려라 
지금은 사라진 남고사의 종소리 / 전동성당 종 1915년 축복식 / 서문교회 종탑 한국 최고 / 낙수정의 동종 다까하라 히미꼬 여사 기증 / 풍남문의 완산종 전주의 상징

한옥마을 느린 편지와 우편함 
전주관광안내소와 천년누리 노란 우체통 / 가을이 담긴 전주 한옥마을을 걷습니다

하마비(下馬碑), ‘네 이놈 어서 내려라’ 
사찰에 하마비가 있는 까닭? / 건립 시기가 밝혀진 조경단 하마비 / 독특한 모습의 경기전 하마비 / 삶 속 하마비의 의미

고종의 딸 황녀 이문용 여사가 마신 조경묘 어정
‘다문’에서 두꺼비 세 마리 잡으세요 / 250여년 된 학인당의 땅샘 / 경기전에는 어정이 2개 있어요 / 여름날의 우물

서예가 이삼만의 한이 서린 장독대
뱀이 보고 깜짝 놀라는 비암방애 / 옹기종기 모여있는 장독대 / 전국에서 유일한 숙황장 / 들과 꽃의 집 ‘초정’ / 장독대를 보면서

굴뚝, 소통을 이야기 합니다 
흰 구름 생겨나는 곳에 사람사는 집들이 있더라 / 굴뚝에는 굴대장군이 있다

한옥마을 건축물에는 어떤 동물이 살고 있을까?
해태는 불을 누르는 짐승 / 경기전 어진박물관 태조 어진의 용 / 나에게 모란은

비빔밥 같은 전주, 한국 종교의 축소판
동고사 / 천도교 전주교구 / 원불교 교동교당

중국 사람들의 스토리로 차고 넘쳐요
옷의 띠와 같이 좁은 물 / 중국에도 전주가 있다? / 이삼만의 붓글씨, 중국에 알려지다

태조 이성계, 화살로 버들잎을 꿰뚫다
“전하! 과연 신궁이십니다.” / 만경대와 정몽주 시 / 천양정, 다가사후로 완산 8경의 하나

금표와 넛지, 긍정과 부정의 그물코
조선 왕조의 뿌리 자만동 금표 / 영기 어린 완산 금표 / 창덕궁 금표 / 넛지, 금표(禁標)가 아닌 금표(金標)

사람의 이야기가 흐르는 땅이름
전주라는 이름 / 생김새에서 유래한 명칭 / 인물이 남긴 땅이름 / 꽃심의 땅 전주

1872년 전주의 봄날을 아십니까?
전주지도(全州地圖) / 왜 전주읍성은 T자형인가 / 완산부지도(完山府地圖) / 전주부지도(全州府地圖)

왜 효자동일까
장개남의 효 이야기 / 효자 박진 / 전주 학인당과 수원백씨 효자문 / 임실 영모재 꽃담 / 전주 삼천동에서 임실로 옮긴 김복규, 김기종 효자

전주향교 다섯 그루 은행나무, 노릇노릇 익어가네요
전주향교 다섯 그루 은행나무 / 경기전과 최씨종대의 은행나무 / 옛 은행나무길의 은행나무 / 전동성당 은행나무

이상진의 회화나무, 청백리의 상징
이상진 회화나무 / 전라감영 회화나무 / 원래의 전라감영터 자리를 아시나요 / 오목대 쉼터 당산나무 / 경기전 회화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