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한국어, 문화를 말하다 : 한국어 문화언어학 강의 / 조현용 씀
한국어, 문화를 말하다 : 한국어 문화언어학 강의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한국어, 문화를 말하다 : 한국어 문화언어학 강의 / 조현용 씀
  • ·발행사항 서울 : 夏雨(하우), 2017
  • ·형태사항 307 p. ;23 cm
  • ·주기사항 참고문헌(p. 285-295)과 색인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86610831  03700 : \14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710.7  듀이십진분류법-> 495.707  
  • ·주제명 국어 교육[國語敎育]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조현용 씀 2017 SE0000279059 710.7-17-6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조현용 씀 2017 SE0000324478 710.7-17-6=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책을 내면서
은혜에 감사하며

1. 언어와 문화
1) 언어와 문화 연구의 정의    
2) 언어문화의 연구 범위와 관련 분야    
(1) 언어관과 문자관    
(2) 신체 언어 연구    
(3) 비유와 상징 그리고 금기 연구    
(4) 관용 표현과 속담 연구    
(5) 화용론    
(6) 언어 상대주의    
(7) 사회언어학    
(8) 대조언어학    
(9) 문화인류학    
(10) 언어 교육    

2. 한국어의 특징과 문화
1) 동사와 형용사 중심의 언어    
2) 반말과 높임말    
3) 느낌, 감정이 중요한 언어    
4) 고유어와 한자어, 외래어의 조화    
5) 상황 중심의 한국어    

3. 한국어 속의 한국 문화
1) 자연을 말하다    
(1) 해, 달, 별, 하늘, 땅   
(2) 비, 눈, 바람    
(3) 물    
(4) 농경  
(5) 병    
(6) 시간   

2) 사람을 말하다  
(1) 나이(어린이와 노인)    
(2) 관계(친구)    
(3) 성별(남자와 여자)    
(4) 능력(장애인, 직업)   
(5) 인칭(접미사, 대명사)    

3) 의식주를 말하다   
(1) 식문화    
(2) 주거 문화    
(3) 의복 문화   

4) 언어를 말하다    
(1) 말과 소리    
(2) 말이 필요 없다    
(3) 말의 중요성    
(4) 말의 힘  

5) 문자를 말하다   
(1) 문자는 필요한가?    
(2) 어떤 문자가 좋은 문자인가?    
(3) 문자의 발달  
(4) 문자의 사용    
(5) 한글에 대하여    
(6) 문자와 활자    

6) 비유와 상징을 말하다    
(1) 신체    
(2) 동물    
(3) 식물    
(4) 색    
(5) 수(數)    
(6) 천체   

7) 속담을 말하다   
(1) 속담의 해석    
(2) 속담의 주제   

8) 신체 언어를 말하다    
(1) 손가락으로 하는 행위 
(2) 손바닥이나 주먹으로 자신을 치는 행위  
(3) 기거 행위나 예절    
(4) 기원하는 행위    
(5) 신체 관련 관용 표현    
(6) 상황과 신체 언어    

9) 시대를 말하다    
(1) 군대 용어    
(2) 은어(隱語)    
(3) 유행어(流行語)   
(4) 속어(俗語), 욕   
(5) 말의 타락   

10) 가족을 말하다  
(1) 어머니와 아버지  
(2) 며느리와 사위   
(3) 아내와 남편    
(4) 서방님과 도련님   

11) 생각과 감정을 말하다   
(1) 마음    
(2) 사랑   
(3) ‘나다’와 ‘들다’    
(4) ‘아름답다’와 ‘값어치가 있다’  
(5) ‘고맙다’와 ‘미안하다’    
(6) 바람직하다  
(7) ‘머리’와 ‘가슴’  
(8) ‘눈에 밟히다’와 ‘눈여겨보다’   
(9) ‘있다, 없다’와 ‘알다, 모르다’    

12) 철학, 종교를 말하다    
(1) 지는 것이 이기는 것    
(2) 좋은 게 좋은 것    
(3) 우리가 남이가?    
(4) 먼저 사람이 되라    
(5) 야단법석    
(6) 화두(話頭)    
(7) 허무(虛無)   
(8) 언어도단(言語道斷)  
(9) 무아지경(無我之境)    
(10) 가위, 도깨비    

13) 한민족을 말하다   
(1) 중국 지역    
(2) 미주 지역    
(3) 일본 지역    
(4) 구소련 지역    
(5) 유럽, 남미, 동남아 지역 등  

14) 인권을 말하다   
(1) 이주 노동자와 한국어 
(2) 결혼이민자와 한국어   
(3) 아이들과 모국어   
(4) 재외 동포와 해외 입양인  

15) 번역을 말하다   
(1) 어휘와 번역  
(2) 문법과 번역    

책을 맺으며    

참고 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