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서울의 범죄위험지역 분석 및 안전증진방안 연구 = Analyzing crime-prone areas and improving the safety in Seoul / 연구책임 : 신상영 ;연구원 : 조권중,김혜령
서울의 범죄위험지역 분석 및 안전증진방안 연구 = Analyzing crime-prone areas and improving the safety in Seoul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서울의 범죄위험지역 분석 및 안전증진방안 연구 = Analyzing crime-prone areas and improving the safety in Seoul / 연구책임 : 신상영 ;연구원 : 조권중,김혜령
  • ·발행사항 서울 : 서울연구원, 2013
  • ·형태사항 150 p. :삽화, 도표, 지도 ;23 cm
  • ·총서사항 (서울연 ;2013-PR-28)
  • ·주기사항 참고문헌: p. 142-145
    영어 요약 있음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80525744  93330 : \10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50.73  듀이십진분류법-> 353.36  
  • ·주제명 범죄 예방 정책[犯罪豫防政策]서울(특별시)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연구책임: 신상영 ;연구원: 조권중,김혜령 2013 SE0000310866 정책 350.73-16-1 정책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Ⅰ. 연구의 개요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배경
1 2 연구목적
2 주요 연구내용 및 방법
2 1 주요 연구내용
2 2 연구방법
Ⅱ. 생활범죄의 개념과 이론
1 생활범죄의 개념
1 1 생활범죄의 정의
1 2 생활범죄의 유형
2 범죄의 발생 원인에 대한 이론
2 1 합리적 선택이론
2 2 생물학적 특성이론
2 3 심리학적 특성이론
2 4 사회과정이론
2 5 사회구조이론
2 6 '깨진 창문'이론
3 범죄예방을 위한 공간계획적 접근방법
3 1 방어공간 모형
3 2 범죄예방 환경설계 모형
Ⅲ. 서울의 범죄위험지역 특성 분석
1 전반적인 범죄발생 특성 분석
1 1 5대 범죄 발생 추이
1 2 최근의 6대 범죄 발생현황
1 3 범죄 피해자와 범죄자의 인구적 특성
1 4 범죄 발생장소
1 5 범죄 발생시기
2 지역별 범죄발생 분포특성 분석
2 1 경찰관서별 범죄발생 분포
2 2 자치구별 범죄발생 분포
2 3 범죄발생밀도와 지역특성 간의 관계 분석
3 치안강화구역과 유해업소 밀집지역 특성 분석
3 1 분석대상지역 및 분석방법
3 2 치안강화구역과 유해업소 밀집지역의 특성
3 3 치안강화구역과 유해업소 밀집지역 유형화:군집분석
3 4 치안강화구역 및 유해업소 밀집지역 현장조사 분석
4 시사점
4 1 일반적인 범죄발생 특성
4 2 범죄발생과 지역특성 간의 관계
4 3 범죄취약지역으로서 치안강화구역과 유해업소 밀집지역의 특성
Ⅳ. 현행 범죄예방 관련시책 분석
1 서울시의 범죄예방 관련시책
1 1 방범용 CCTV 및 방범설비
1 2 범죄예방환경설계
1 3 안전마을지원사업
1 4 여성안전을 위한 대책
1 5 어린이 청소년 안전을 위한 대책
2 시민부문의 범죄예방활동
3 안전행정부 및 경찰청의 범죄예방 관련시책
3 1 안전행정부
3 2 서울지방경찰청
4 주요 과제
4 1 서울시
4 2 경찰청
Ⅴ. 기성시가지 범죄위험지역 안전증진방안
1 범죄위험지역 안전증진을 위한 대책유형과 주요 개선과제
1 1 범죄위험지역 안전증진을 위한 대책유형
1 2 범죄발생특성과 주요 개선과제
2 범죄예방을 위한 도시공간적 대책
2 1 전략적 접근방법
2 2 공간영역별 대책
2 3 CCTV 등 감시 경보시설
2 4 도시공간적 대책의 주요 실현방안
3 범죄예방을 위한 행정 사회적 대책
3 1 전략적 접근방법
3 2 방범순찰
3 3 지역사회 거버넌스:주민조직 및 유대망 형성
3 4 기초질서 확립과 환경미화
3 5 시민들의 범죄대응역량 강화
3 6 범죄정보 및 지역정보 제공
4 서울시-경찰청 협력거버넌스 구축
Ⅵ.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