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한국 도시디자인 탐사 : 광역시의 정체성을 찾아서 : 부산 대구 대전 광주 울산 인천 / 김민수 지음
한국 도시디자인 탐사 : 광역시의 정체성을 찾아서 : 부산 대구 대전 광주 울산 인천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한국 도시디자인 탐사 : 광역시의 정체성을 찾아서 : 부산 대구 대전 광주 울산 인천 / 김민수 지음
  • ·발행사항 서울 : 그린비, 2009
  • ·형태사항 559 p. :천연색삽화 ;25 cm
  • ·주기사항 참고문헌(p. 544-550)과 색인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76826008  03600 : \32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539.7  듀이십진분류법-> 711.4  
  • ·주제명 도시 계획[都市計劃]도시 디자인[都市--]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김민수 지음 2009 SE0000287888 539.7-16-34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머리말 | 도시의 영혼
프롤로그 | 도시는 오늘도 성형수술 중
1부 멀티플렉스 부산
I. 부정형의 다핵 구조
I-1. 부산의 인상, ‘주름’ | I-2. 자갈치시장과 용두산공원 | I-3. 40계단의 추억
II. ‘가마 부산’은 어디에
II-1. 제 그림자를 끊을 만큼 | II-2. 고지도 속의 옛 부산 | II-3. 솥뚜껑 닮은 자성대
III. 근대 부산의 기억
III-1. 박래품 판타지 | III-2. 조선 안의 日·歐·淸 | III-3. 에도의 모형, 초량왜관 | III-4. 제국의 계단 앞에서 | III-5. 역설의 풍경들
IV. 장소의 기억을 찾아서
IV-1. 부산갈매기의 재도약 | IV-2. 욕망의 도시, 부산(釜山)과 부산(浮山) 사이 | IV-3. 지속가능한 부산을 위하여
2부 혼합형 미인 대구
I. 대구의 미학적 정체성
I-1. 미인이 많은 이유 | I-2. 이상한 도시이미지 | I-3. 단핵형 공간 구조
II. 건조한 분지 지형
II-1. 연구산(連龜山) 돌거북 | II-2. 사라진 달서천과 대구천
III. 대구읍성의 식민도시화
III-1. 달성의 역사와 대구읍성의 위용 | III-2. ‘중심점거’로 해체된 성곽도시
IV. 컬러풀 대구
IV-1. 변화하는 대구 | IV-2. 푸른 대구 가꾸기 | IV-3. ‘밀라노 프로젝트’의 실패를 넘어서
3부 진국의 맛을 위하여, 대전
I. 떠나가는 나그네 도시
I-1. 대전 블루스 | I-2. 때를 기다리는 진국의 미학
II. 대를 이어 살 만한 곳
II-1. 보문산 가는 길 | II-2. 살기 좋은 자연 환경 | II-3. 백제의 전략적 요충지 | II-4. 유구한 역사의 흔적
III. 빼앗긴 ‘소제호의 봄’
III-1. 소제동의 새벽 | III-2. 대전신궁과 사라진 소제호 | III-3. 중앙로를 지나 충남도청으로 | III-4. 도청사 문장의 숨은 뜻 | III-5. 역사의식의 부재 | III-6. 역사?문화 벨트 재생
IV. 대전만의 장점을 가꿔 나가길
IV-1. ‘과학로’와 유성 소나타 | IV-2. 첨단연구거점도시 청사진 | IV-3. 아파트밸리의 그림자 | IV-4. 정체성 회복의 가닥들 | IV-5. 중앙시장과 대전천 살리기 | IV-6. 진단과 처방 : 실속 있는 진국 정체성
4부 무등정신, 광주
I. 무등정신의 치열한 삶터
I-1. 수려하고 단정한 | I-2. 무진의 안개와 햇볕
II. 안개처럼 사라진 광주읍성
II-1. 광주역 앞 돌장승 | II-2. 고지도 속 물길 | II-3. 격자형 도로망의 읍성도시 | II-4. 문화전당과 성곽 유허
III. 광주의 식민도시화
III-1. 광주우체국 앞에서 | III-2. 단발령으로 뒤바뀐 운명 | III-3. 유곽과 신사 | III-4. 대광주건설계획 | III-5. 장소성과 ‘접속’하기
IV. 광주, 진실을 디자인하라
IV-1. 경제도시의 빛과 그림자 | IV-2. 문화전당과 맞바꾼 민주광장 | IV-3. 어릿광대 공공디자인 | IV-4. 518버스의 노래
5부 선사와 현대 사이, 울산
I. 태화강변의 근대화
I-1. ‘당신을 위한 울산’ | I-2. 선사유적의 보고 | I-3. 태화강의 추억
II. 표백된 도시, 남은 건 ‘역사의 부스러기’ 뿐
II-1. 희박한 역사의식 | II-2. 성곽도시, 울산 | II-3. 울산읍성지 답사 | II-4. 1917년『울산안내』 | II-5. 울산신사 가는 길 | II-6. 광역시의 조건
III. ‘울산을 위한’ 도시디자인
III-1. 타자들의 도시 | III-2. 공업탑 교차로에서 | III-3.「울산 큰애기」와 도시화 | III-4. 공업도시 나름의 문화 | III-5. 혁신도시 블루스 | III-6. 울산을 위한 진단
IV. 회색도시에 지역색 살리기
6부 21세기 개항장, 인천
I. 다핵형 광역도시의 도약
I-1. 관문도시의 비행 | I-2. 신도시 IFEZ의 날개 | I-3. 광역도시화 | I-4. 구시가지의 오래된 경관 | I-5. 구월동 신시청사
II. 주몽의 축복이 두루 약속된 땅
II-1. 사극「주몽」과 인천 | II-2. 소서노와 두 아들 | II-3. 미추홀과 매소홀 | II-4. 전술적 전진기지, 문학산성 | II-5. 고도(古都) 미추홀의 도시구조
III. 개항 그리고 식민도시화
III-1. 1882, 개항 | III-2. 조선 제2의 무역항 | III-3. 제물포구락부에서 온 편지 | III-4. 각국조계지의 국제성 | III-5. 본정통의 기억
IV. 신개항장 IFEZ와 구도시 재생
IV-1. 개발시대의 그림자 | IV-2. 복원사업, 짝퉁과 진품 사이 | IV-3. 송도국제도시의 겉과 속 | IV-4. IFEZ에 인천만의 건축을 | IV-5. 구도시 재생을 위한 제안 | IV-6. 새로움의 의미
에필로그 | 영혼이 숨쉬는 도시
I. 도시정체성과 상징 디자인
I-1. 역사와 상징 | I-2. 차이의 언어 | I-3. 상징디자인의 현실 | I-4. 캐릭터에서 브랜드로, 그러나…… | I-5. 지자체가 사는 길
II. 장소성과 도심 재생
II-1. 작은 도시 앙굴렘 이야기 | II-2. 장소의 미학 | II-3. 부산?인천?대구의 노력 | II-4. 대전?광주?울산의 경우 | II-5. 특색과 표백 사이
III. 삶에 대해 겸허한 도시디자인
III-1. 도시의 정신 | III-2. 공공건축과 공공디자인 재고 | III-3. 프로이트와 릴케의 산책 | III-4. 대운하와 숭례문의 재앙 | III-5. 진정한 대안은 정확한 현실 인식에서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