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발달심리학 / John W. Santrock 저 ;이지연,임춘희,김수정 공역
발달심리학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발달심리학 / John W. Santrock 저 ;이지연,임춘희,김수정 공역
  • ·발행사항 파주 : 교육과학사, 2016
  • ·형태사항 xxv, 689 p. :천연색삽화, 도표, 초상 ;26 cm
  • ·주기사항 원표제:Essentials of life-span development,(4th ed.)
    색인수록
    영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25410135  93180 : \33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183  듀이십진분류법-> 155  
  • ·주제명 발달 심리학[發達心理學]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John W. Santrock 저 ;이지연,임춘희,김수정 공역 2016 SE0000273956 183-16-4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전 생애 발달에 대한 접근 / ⅩⅢ
내용 개정 / ⅩⅥ
Chapter _1 도입 _1
전 생애적 조망 / 3
전 생애 발달 연구의 중요성 / 3
전 생애적 조망의 특징들 / 4
전 생애 발달에서 현대의 관심사 / 9
발달의 본질 / 15
생물학적, 인지적, 사회정서적 과정 / 16
발달 시기 / 17
연령 개념 / 19
발달 이슈들 / 21
발달 이론 / 24
정신분석 이론 / 25
인지 이론 / 29
행동적·사회인지적 이론 / 32
동물행동학적 이론 / 34
생태학적 이론 / 36
절충적 이론 지향 / 38
전 생애 발달 연구 / 39
자료 수집 방법 / 40
연구 설계 / 44
연구의 시간 폭 / 47
윤리적 연구 수행하기 / 50
요 약(Summary) / 52
Chapter _2 생물학적 기원 _55
진화적 조망 / 57
자연선택과 적응행동 / 57
진화심리학 / 58
발달의 유전적 기초 / 61
유전자와 염색체 / 63
유전 원리 / 66
염색체와 유전자 관련 이상 / 67
유전과 환경의 상호작용: 천성-육성 논쟁 / 72
행동유전학 / 72
유전-환경 상관 / 73
후성적 관점과 유전자 X 환경(G X E)
상호작용 / 74
유전-환경 상호작용에 대한 결론 / 76
태내발달 / 78
태내발달 과정 / 78
태내 검사 / 83
태내발달의 위험 / 86
산전관리 / 94
출산과 산욕기 / 96
출산 과정 / 96
태아에서 신생아로의 전환 / 101
저출생체중아와 조산아 / 102
유대 / 107
산욕기 / 108
요 약(Summary) / 111
Chapter _3 영아기 신체적·인지적 발달 _113
신체적 성장 발달 / 115
성장 패턴 / 115
신장과 몸무게 / 116
뇌 / 117
수면 / 122
영양 / 124
운동발달 / 128
역동적 체계 이론 / 128
반사 / 130
대근육 운동기술 / 131
소근육 운동기술 / 134
감각과 지각 발달 / 136
감각과 지각 발달에 대한 탐색 / 136
시각 지각 / 139
다른 감각들 / 142
감각 통합적 지각 / 145
천성, 양육과 지각 발달 / 145
지각적 운동 결합 / 147
인지발달 / 148
Piaget 이론 / 148
학습, 기억, 개념화 / 154
언어 발달 / 160
언어를 정의하기 / 160
언어는 어떻게 발달되는가? / 160
생물학적 영향과 환경적 영향 / 164
요 약(Summary) / 171
Chapter _4 영아기 사회·정서적 발달 _173
정서적·성격적 발달 / 174
정서 발달 / 174
기질 / 182
성격 발달 / 188
사회 지향과 애착 / 191
사회 지향과 이해 / 191
애착 / 193
사회적 맥락 / 200
가족 / 201
아동 보육 / 206
요 약(Summary) / 212
Chapter _5 아동 초기 신체적·인지적 발달 _213
신체 변화 / 215
신체성장과 변화 / 215
뇌 / 216
운동 발달 / 217
영양과 운동 / 218
질병과 죽음 / 221
인지적 변화들 / 222
Piaget의 전조작기적 단계 / 223
Vygotsky의 이론 / 229
정보처리 이론 / 232
언어 발달 / 242
음운론과 형태론 이해하기 / 242
구문론과 의미론에서의 변화 / 243
화용론에서의 발전 / 245
어린 아동의 읽기와 쓰기 능력 / 245
아동 초기 교육 / 246
아동 초기 교육에서의 변화 / 247
열약한 상황에 있는 어린 아동들을 위한 교육 / 249
아동 초기 교육에서의 논쟁들 / 251
요 약(Summary) / 253
Chapter _6 아동 초기 사회·정서적 발달 _255
정서적·성격적 발달 / 256
자아 / 256
정서 발달 / 259
도덕 발달 / 262
성 유형 / 266
가족 / 270
양육 / 271
아동 학대 / 277
형제자매와 출생 순서 / 279
변화하는 사회에서 변화하는 가족 / 282
또래관계, 놀이, 미디어/스크린 시간 / 290
또래관계 / 290
놀이 / 291
미디어와 스크린 시간 / 295
요 약(Summary) / 298
Chapter _7 아동 중기와 말기의 신체적·인지적 발달 _301
신체적 변화와 건강 / 302
신체성장과 변화 / 303
뇌 / 303
운동 발달 / 304
운동 / 305
건강, 아픔, 질병 / 306
장애를 가진 아동들 / 309
장애의 범위 / 309
교육적 이슈들 / 316
인지적 변화 / 317
Piaget의 인지발달 이론 / 317
정보처리이론 / 320
지능 / 328
언어 발달 / 341
어휘, 문법, 상위 언어적 자각 / 341
읽기 / 343
제2언어의 학습과 이중 언어 교육 / 344
요 약(Summary) / 348
Chapter _8 아동 중기와 말기의 사회·정서적 발달 _351
정서적·성격적 발달 / 352
자아 / 353
정서 발달 / 358
도덕 발달 / 361
성 유형 / 368
가족 / 374
부모-아동 관계에서 발달적 변화 / 375
관리자로서의 부모 / 376
애착 / 376
복합가정 / 377
또래 / 378
발달적 변화 / 379
또래 지위 / 379
집단 괴롭힘 / 381
친구 / 383
학교 / 385
학습에 대한 동시대적 접근 / 385
사회경제적 지위, 인종, 문화 / 388
요 약(Summary) / 398
Chapter _9 청소년기 신체적·인지적 발달 _401
청소년기의 본질 / 402
신체 변화 / 404
사춘기 / 404
뇌 / 409
청소년의 성 / 411
청소년의 건강 / 417
영양과 운동 / 418
수면 패턴 / 419
청소년기의 주요 사망원인 / 421
약물 사용과 남용 / 422
섭식 장애 / 423
청소년의 인지 / 425
Piaget 이론 / 426
청소년의 자아중심성 / 428
정보처리 / 430
학교 / 432
중학교로의 전환 / 432
어린 청소년을 위한 효과적인 학교 / 433
고등학교 / 434
봉사 학습 / 436
요 약(Summary) / 438
Chapter _10 청소년기 사회·정서적 발달 _441
정체성 / 442
정체성이란 무엇인가? / 442
Erikson의 관점 / 443
발달적 변화 / 444
문화·민족 정체성 / 447
가족 / 449
부모 관리와 모니터링 / 449
자율성과 애착 / 450
부모-청소년 갈등 / 452
또래 / 454
우정 / 454
또래 집단 / 456
패와 무리 / 456
데이트와 낭만적 관계 / 457
문화와 청소년 발달 / 460
문화 간 비교 / 460
민족성 / 463
미디어 / 465
청소년 문제 / 467
청소년 비행 / 467
우울증과 자살 / 469
문제와 성공적인 예방/개입 프로그램 간
상호관련성 / 473
요 약(Summary) / 475
Chapter _11 성인 초기 신체적·인지적 발달 _477
청소년기에서 성인기로의 전환 / 478
성인 되기 / 478
고등학교에서 대학으로의 전환 / 481
신체 발달 / 481
신체적 수행능력과 발달 / 482
건강 / 483
성 / 489
신생 성인기의 성적 활동 / 489
성적 지향과 행동 / 489
성병 / 493
인지발달 / 496
인지 단계 / 496
창의성 / 498
경력과 일 / 500
경력 / 500
일 / 502
요 약(Summary) / 507
Chapter _12 성인 초기 사회·정서적 발달 _509
아동기부터 성인기까지의 안정성과 변화 / 510
사랑과 가까운 관계 / 513
친밀성 / 513
우정 / 514
낭만적 사랑과 우애적 사랑 / 515
완전한 사랑 / 516
성인의 생활양식 / 517
독신 성인 / 517
동거하는 성인 / 518
결혼한 성인 / 520
이혼한 성인 / 523
재혼한 성인 / 524
게이와 레즈비언 성인 / 525
결혼, 양육, 이혼에서의 도전과제들 / 526
결혼생활을 잘하기 / 526
부모 되기 / 528
이혼 다루기 / 530
성, 소통, 관계 / 531
요 약(Summary) / 533
Chapter _13 성인 중기 신체적·인지적 발달 _535
성인 중기의 특성 / 536
변화하는 중년 / 536
성인 중기에 대한 정의 / 538
신체적 발달 / 539
신체적 변화 / 540
건강과 질병 / 544
사망률 / 545
성 / 546
인지적 발달 / 550
지능 / 550
정보처리 / 553
경력, 일, 여가 / 555
성인 중기의 일 / 555
경력의 도전과 변화 / 556
여가 / 557
종교와 인생의 의미 / 558
종교와 성인의 생활 / 558
종교와 건강 / 559
인생의 의미 / 561
요 약(Summary) / 562
Chapter _14 성인 중기 사회·정서적 발달 _565
성격 이론과 발달 / 566
성인 단계 이론들 / 567
인생사건 접근 / 570
중년기의 스트레스와 개인적 통제 / 572
안정성과 변화 / 574
종단 연구들 / 574
결론 / 577
친밀한 관계 / 579
중년기의 사랑과 결혼 / 579
빈 둥우리와 다시 채워짐 / 581
형제 관계와 우정 / 583
조부모 역할 / 584
세대 간의 관계 / 585
요 약(Summary) / 588
Chapter _15 성인 말기 신체적·인지적 발달 _589
장수, 생물학적 노화, 신체적 발달 / 591
장수 / 591
생물학적 노화 이론 / 594
노화하는 뇌 / 597
신체적 발달 / 601
젠더 / 605
건강 / 606
건강 문제 / 606
운동, 영양, 체중 / 608
건강 치료 / 610
인지적 기능 / 612
다차원성과 다방향성 / 612
사용하라, 그렇지 않으면 잃을 것이다 / 619
인지적 기술의 훈련 / 620
인지 신경과학과 노화 / 622
일과 퇴직 / 624
일 / 624
퇴직에 대한 적응 / 626
정신건강 / 627
치매와 알츠하이머병 / 627
파킨슨병 / 632
요 약(Summary) / 633
Chapter _16 성인 말기 사회·정서적 발달 _635
사회정서적 발달 이론 / 636
Erikson 이론 / 637
활동 이론 / 638
사회정서적 선택 이론 / 639
보상을 수반한 선택적 최적화 이론 / 641
성격과 사회 / 643
성격 / 643
사회에서의 노인들 / 644
가족과 사회적 관계 / 646
생활방식의 다양성 / 647
애착 / 649
노부모와 성인 자녀 / 650
우정 / 651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통합 / 652
이타심과 자원봉사 / 653
민족성, 젠더, 문화 / 654
민족성 / 655
젠더 / 655
문화 / 656
성공적인 노화 / 657
요 약(Summary) / 659
Chapter _17
죽음, 죽어가는 과정, 애도 _661
죽음의 정의와 삶과 죽음의 문제들 / 662
죽음에 대한 결정 / 662
삶과 죽음, 그리고 의료에 대한 결정들 / 663
죽음과 사회역사적, 문화적 맥락 / 668
변화하는 역사적 상황들 / 669
여러 문화에서의 죽음 / 669
자신의 죽음에 직면하기 / 670
Kubler-Ross의 죽어가는 과정 단계 / 671
지각된 통제와 부정 / 672
누군가의 죽음에 대처하기 / 673
죽어가는 사람과 대화하기 / 673
애도 / 675
세상을 이해하는 일 / 677
인생의 동반자의 상실 / 678
장례의 형태 / 680
요 약(Summary) / 682
주제색인 / 6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