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치아인문학 / 한상국 지음
치아인문학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치아인문학 / 한상국 지음
  • ·발행사항 서울 : 대한나래출판사, 2014
  • ·형태사항 576 p. :천연색삽화, 지도, 초상 ;21 cm
  • ·주기사항 권말부록: 동의보감에 실린 치아와 구강질환의 치료법
    참고문헌(p. 563-565)과 색인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57413678  03810: \45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515.1  듀이십진분류법-> 617.6  
  • ·주제명 치의학[齒醫學]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한상국 지음 2014 SE0000270735 515.1-16-4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제Ⅰ부 치아의 인문학
제1장 치아와 문화
1. 치아로 본 한국인과 일본인
(1) 뻐드렁니 지향의 일본인
(2) 옥니 지향의 한국인
(3) 일본의 하구로(お齒黑)와 한국의 박씨 같은 잇속(호서/瓠犀)
2. 신체변형으로서 치아
(1) 신체변형 풍습
(2) 치아변형
제2장 치아와 민속
1. 치아와 민속 문화
(1) 치아와 딱따구리를 통해본 민속 문화
(2) 이갈이 속에 나타난 민속 문화
(3) ‘까치야 까치야’에 담긴 의미
2. 치아와 속설
(1) 치아관상술(齒牙觀相術)
(2) 부처의 32상과 치아
(3) 치아와 꿈
(4) 이갈이 치료 속에 보이는 옛사람들의 생각
제3장 치아와 언어
1. 한자를 통해 본 치아
(1) 치(齒) 자 자체의 어의 확장
(2) 치(齒) 자를 기본으로 한 관련어의 문자 확장(造字法)
(3) 동양 3국에서 치(齒) 자의 표기방법
2. 한글을 통해 본 치아
(1) 한글 ‘니’에 대하여
(2) 북한의 경우
3. 일본어를 통해 본 치아
4. 인도유럽어족에서의 치아
(1) Tooth의 어원적 접근
(2) 현대 치의학 용어의 기원
5. 결어
제4장 치아와 동양의학
1. 한의학이 인식하는 병과 치료의 개념
2. 치아와 한의학
3. 치아에 대한 한의학의 인식
4. 충치에 대한 한의학의 인식
5. 한의학에서 구강의 건강을 위한 예방 방법
(1) 양치(養齒)
(2) 고치(叩齒)
(3) 기타 예방법
(4) 치아에 문제가 있을 때 금기시하는 것
6. 동의보감에서 다루는 치아에 대한 인식
7. 치과의학에서 한의학의 한계
8. 치과의사와 한의학
9. 치과의학에서 한의학의 전망
10. 북한의 한의학적 입장에서 보는 치과치료
제5장 치아와 언어
1. 치아와 옥수수
2. 지혜열, 지혜와 치아
3. 사랑니에 관한 단상 하나
4. 치아에 관한 속담과 관용구
(1)
(2)
(3)
(4)
(5)
5. 앞니 빠진 갈가지-동요의 세계
제Ⅱ부 치아와 인간
제6장 치아와 인간
1. 김수영의 금니와 존 레논의 어금니
(1) 존 레논의
(2) 김수영의
(3) 김수영의 치아를 기리며
(4) 존 레논의 금니와 김수영의 금니
(5) 한 시인의 추억
2. 전모발치(全母拔齒)와 다산(茶山)의 치아
(1) 전모발치(全母拔齒)
(2) 다산(茶山)의 치아
3. 부처님의 치아
제7장 치아와 나이
1. 한유의 낙치사(落齒詞)
2. 두보의 춘망(春望)
3. 정약용의 늙음의 즐거움
4. 김창흡과 윤후의 늙음이 미학
5. 치아와 나이 듦의 미학
제8장 진료실에서
1. 육유의 사랑
2. 틀니 소고(小考)
3. 판치생모(板齒生毛)
4. 눈에는 눈, 이에는 이
5. 말의 이빨[馬齒]
부록 동의보감에 실린 치아와 구강질환의 치료법
(1) 혀와 입술 구강에 관한 내용
(2) 치아에 관한 내용
참고서적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