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주거지원센터 구축 및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center for the vulnerable to housing.2 / 지은이 : 서수정,변은주,김성근,정지범,이화진,김윤이
주거지원센터 구축 및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center for the vulnerable to housing. 2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주거지원센터 구축 및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center for the vulnerable to housing.2 / 지은이 : 서수정,변은주,김성근,정지범,이화진,김윤이
  • ·발행사항 안양 :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14
  • ·형태사항 xvi, 207 p. :삽화(일부천연색) ;27 cm
  • ·총서사항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 총서 ;14-54-01)(AURI-협동 ;2014-1)
  • ·주기사항 권말부록: 사회적기업 및 마을기업 관련 제도 ; 영국 HIAa(Home Improvement Agencies)
    참고문헌: p. 187-191
    영어 요약 있음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56590194(2) (2)  94540 : \21000 ISBN: 9791156590194(2) (2 )  94540 : \21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539.73  듀이십진분류법-> 711.58  
  • ·주제명 주거 지원[住居支援]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2 지은이: 서수정,변은주,김성근,정지범,이화진,김윤이 2014 SE0000261500 정책 539.73-16-55-2 정책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2 지은이: 서수정,변은주,김성근,정지범,이화진,김윤이 2014 SE0000343896 정책 539.73-16-55-2=2 정책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제1장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7
2. 연구의 범위 8
1) 법적 근거로서 주거지원센터의 개념과 역할범위 8
2) 주거지원센터의 지원업무 및 지원대상 범위 9
3) 협동연구의 내용적 범위 11
3. 선행연구 현황 및 차별성 13
1) 관련 정책 및 사업 분석 관련 기존연구 성과 13
2) 지원조직 설치 관련 기존연구 성과 13
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14
4. 연구 수행방법 및 추진체계 15
1) 연구 수행방법 15
2) 연구 추진체계 17
제2장 주거지원 관련 정책 및 사업추진 현황 19
1. 주거지원 관련 정책의 방향 및 목표 설정 19
2. 보편적 주거지원을 위한 거버넌스 구축 및 중간지원조직의 필요성 22
1) 보편적 주거지원의 개념 22
2) 주거지원 전달체계 구성의 전제 및 기본 방향 25
3) 중간지원조직(Intermediary organization)의 개념 및 역할 27
3. 국내 주거지원 관련 제도 및 정책 30
1) 저소득가구 주택 개·보수 지원 정책 30
2) 주거지원 관련 자금지원 정책 30
3) 주거지원센터 설립 관련 제도 31
4. 주거지원 관련 사업추진 현황 34
1) 사업유형 34
2) 중앙정부 사업 추진현황 37
3) 지방자치단체 사업 추진현황 52
5. 종합분석 및 한계 60
1) 각 주체별 주거지원사업 비교분석 60
2) 한계 및 문제점 66
제3장 주거지원 관련 공공 지원조직 및 민간 시행조직 운영실태 69
1. 주거지원 관련 조직의 운영실태 69
1) 중앙조직 69
2) 지역 공공조직 75
3) 지역 민관협력조직 84
4) 지역 민간시행조직 93
2. 주거지원 관련 지역 민간시행조직의 운영실태 100
1) 주택 개·보수 사업 시행·전달체계 100
2) 지역 관련조직 네트워크 체계 106
3) 주택 개·보수사업 관리·지원수단 활용 110
3. 주거지원센터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요구와 기대: 주거지원 관련 주체 FGI 결과를 중심으로 114
1) 체계적인 전달체계 구축 114
2) 주택 개·보수 관련 DB 구축 및 관리 116
3) 정보 제공 및 상담 지원 118
4) 맞춤형 주택 개·보수 지원 120
5) 주택 개·보수 교육훈련 실시 및 정책 개선 121
6) 마을건축가 제도 도입 및 운영 122
4. 종합분석: 주거지원 관련 조직의 문제점 및 한계 126
제4장 국외의 주거지원 중간지원조직 운영사례 129
1. 조사 개요 129
2. 미국 CHDOs(Community Housing Development Organizations) 130
1) 개요 130
2) 주요 업무 132
3. 일본 주택만들기 나비센터(住まいづくりナビセンタ?) 134
1) 개요 134
2) 주요 업무 135
4. 일본 공익재단법인 도쿄도 방재·건축 마을만들기센터(公益財?法人 東京都 防災?建築 まちづくりセンタ?) 142
1) 개요 142
2) 주요 업무 143
5. 사례종합 및 시사점 149
제5장 주거지원센터 구축 및 운영방안 153
1. 주거지원센터 구축을 위한 기본 방향 및 원칙 153
1) 조직구성을 위한 기본 방향: 건축 전문성과 복지 전문성의 효과적 통합 153
2) 조직구성을 위한 대안설정 기준 155
2. 주거지원센터 구축방안 158
1) 주거지원 의사결정 거버넌스 대안 158
2) 중앙 주거지원센터 구축방안 161
3) 지역 주거지원센터 구축방안 164
3. 주거지원센터의 역할 및 주요 업무 167
1) 주거지원센터의 지원범위 및 역할 167
2) 주거지원센터의 세부 업무 내용 169
4. 주거지원센터의 운영 및 정착을 위한 제도적 지원방안 179
1) 주거지원센터의 안정적 설치·운영을 위한 법령 개정 방안 179
2) 주거지원센터의 지속적 운영을 위한 정책 지원 방안 182
참고문헌 187
SUMMARY 193
부록1. 사회적기업 및 마을기업 관련 제도 197
부록2. 영국 HIAs(Home Improvement Agencies) 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