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경전으로 본 세계종교) 유교 / 편저 : 이기동
(경전으로 본 세계종교) 유교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경전으로 본 세계종교) 유교 / 편저 : 이기동
  • ·발행사항 서울 : 傳統文化硏究會, 2016
  • ·형태사항 311 p. :삽화, 초상 ;19 cm
  • ·총서사항 (문화문고 ;025)
  • ·주기사항 권말부록: 도판 목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57941094  04140 : \10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152.21  듀이십진분류법-> 181.112  
  • ·주제명 유교[儒敎]중국 철학[中國哲學]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편저: 이기동 2016 SE0000252698 152.21-16-7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편저: 이기동 2016 SE0000252699 152.21-16-7=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간행사
이 책에 대하여
일러두기
제1장 유교 개요
1. 유교儒敎의 연원淵源과 성립
2. 유교儒敎의 성격과 내용
1) 소학小學
2) 대학大學
3. 유교의 전개와 전망
제2장 궁극적 실재
1. 상제上帝
2. 천天
3. 도道
4. 명命
5. 성性
6. 인의예지仁義禮智
7. 사단四端
8. 태극太極
9. 음양陰陽
10. 오행五行
제3장 세계의 창조와 종말
1. 세계의 창조創造
2. 세계의 운행運行
3. 종말終末
제4장 인간관, 종교적 체험
1. 종교적 체험
2. 성인聖人
3. 현인賢人
4. 인자仁者
5. 지자知者
6. 군자君子
7. 소인小人
8. 인격人格의 단계와 종류
제5장 수행
1. 입지立志
2. 수행의 내용
1) 학문學問
2) 수신修身, 수도修道
3) 정심正心
4) 성의誠意
5) 지경持敬
6) 격물格物·치지致知
7) 효제孝悌
8) 충서忠恕
9) 예禮
10) 악樂
11) 역易과 점占
12) 반성反省과 기도祈禱
13) 인仁
14) 확충사단擴充四端
15) 양기養氣
3. 수행의 과정
제6장 의례
1. 통례通禮
1) 사당祠堂을 세운다
2) 심의深衣를 만든다
2. 관례冠禮
1) 관례冠禮
2) 계례?禮
3. 혼례婚禮
1) 의혼議婚
2) 납채納采
3) 납폐納幣
4) 친영親迎
5) 부현구고婦見舅姑(신부가 시부모를 뵙는 것)
6) 묘현廟見(사당에 뵙는 것)
7) 신랑이 처부모를 뵙는다
4. 상례喪禮
1) 초종初終
2) 목욕沐浴, 습襲, 전奠, 위위爲位, 반함飯含
3) 영좌靈座, 혼백魂帛, 명정銘旌
4) 소렴小斂, 단袒, 괄발括髮, 문免, 좌?, 전奠, 대곡大哭
5) 대렴大斂
6) 성복成服
7) 조석곡전朝夕哭奠, 상식上食
8) 조문吊問, 전奠, 부의賻儀
9) 문상聞喪, 분상奔喪, 치장治葬
10) 천구遷柩, 조조朝祖, 전奠, 부賻, 진기陳器, 조전祖奠
11) 견전遣奠
12) 발인發靷
13) 급묘及墓, 하관下棺, 사후토祀后土, 제목주題木主, 성분成墳
14) 반곡反哭
15) 우제虞祭
16) 졸곡卒哭
17) 부?(조상의 사당에 신주를 모시는 것)
18) 소상小祥
19) 대상大祥
20) 담제?祭
5. 제례祭禮
1) 사시제四時祭
2) 초조初祖
3) 선조先祖
4) 녜?(아버지 사당)
5) 기일忌日
6) 묘제墓祭
제7장 개인윤리와 이상적 삶
1. 개인윤리
1) 도道
2) 덕德
3) 인仁
4) 의義
5) 예禮
6) 지知
7) 효孝
8) 제悌
9) 충忠과 서恕
10) 신信
11) 중용中庸
12) 권도權道
2. 이상적 삶
제8장 사회윤리와 이상적 사회
1. 사회윤리
1) 부자유친父子有親
2) 군신유의君臣有義
3) 부부유별夫婦有別
4) 장유유서長幼有序
5) 붕우유신朋友有信
2. 이상적 사회
1) 제가齊家
2) 치국治國
3) 평천하平天下
제9장 창시자
1. 요堯
2. 순舜
3. 우禹
4. 탕湯
5. 문왕文王
6. 무왕武王
7. 주공周公
8. 공자孔子
제10장 공동체
1. 가정家庭
2. 향약鄕約
3. 국가
4. 세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