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죽음의 고고학 / 마이크 파커 피어슨 지음 ;이희준 옮김
죽음의 고고학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죽음의 고고학 / 마이크 파커 피어슨 지음 ;이희준 옮김
  • ·발행사항 서울 : 사회평론, 2009
  • ·형태사항 423 p. :삽화, 도표, 양식 ;24 cm
  • ·총서사항 (영남문화재연구원 학술총서 ;5)
  • ·주기사항 원표제:Archaeology of death and burial
    원저자명: Mike Parker Pearson
    권말부록: 인간 유체의 발굴
    참고문헌(p. 375-409)과 색인수록
    영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56020006  93900: \25000 ISBN: 9791188108367  939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84.6  듀이십진분류법-> 393  
  • ·주제명 매장(장례)[埋葬]고고학[考古學]장례[葬禮]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마이크 파커 피어슨 지음 ;이희준 옮김 2009 SE0000239491 384.6-16-5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마이크 파커 피어슨 지음 ;이희준 옮김 2009 SE0000460985 384.6-16-5=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마이크 파커 피어슨 지음 ;이희준 옮김 2009 SE0000460986 384.6-16-5=3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1장  우리는 망자로부터 무엇을 알아내는가? ● 7
어떤 바이킹 족의 장례·7 / 인간 유해 연구: 죽음의 고고학인가 아니면 삶의 고고학인가?·11 / 매장·14 / 화장·18 / 부장품·20 / 공동묘지의 구조·26 / 인신희생·35 / 소결·39
2장  지금으로부터 옛적 그때로: 민족지고고학과 유추 ● 41
죽음의 사회인류학·42 / 통문화적 일반화와 신고고학의 중위 이론 모색·53 / 장례습속: 인간의 작용, 권력, 이데올로기·62 / 민족지고고학과 유추의 재검토·65 / 탄드로이 족의 장례습속과 기념물성의 등장·69 / 우리를 대상으로 한 민족지고고학: 영국과 미국의 장례습속·77 / 소결·83
3장  몸 읽기 ● 85
최근 및 현대 영국에서의 죽음에 대한 거리 두기·89 / 신체의 파괴·93 / 인체 먹기·97 / 시신의 자세 잡기와 꾸미기·102 / 없어진 익명의 시신·104 / 신체의 보존·105 / 이집트 신왕국 파라오들과 우주로서의 시신·106 / 성인의 유골들: 불가사의한 물질로서의 인간 유골·113 / 파지리크의 냉동 무덤: 신성한 경계로서의 사체 피부·114 / 토탄 늪 사체들: 인신희생인가 사회적 추방인가?·124 / 소결·133
4장  지위, 계서, 권력 ● 135
사회진화론·136 / 매장습속의 변이성과 사회조직·138 / 신고고학의 지위 연구 사례들·142 / 부장품과 지위·147 / 식단, 건강, 지위·152 / 부장품과 지위의 재고·155 / 계서와 권력 사이의 관계·162 / 마운드빌: 선사시대 ‘군장사회’의 장송의례들·164 / 소결·176
5장  젠더와 친족관계 ● 177
뼈 연구에 의한 성 판별·178 / 페미니즘 이론과 젠더 구분 고고학의 등장·180 / 젠더 정체성과 정황의 의미들·188 / 어린 망자: 과거 어린이의 고고학적 연구·192 / 덴마크 선사시대의 여자, 남자, 어린이·195 / 의복, 젠더, 친족관계·203 / 친족관계와 신고고학·207 / 층서에 의한 계기순서와 친족관계·212 / 장송의례 접근법과 생물학적 접근법의 통합·217
6장  망자의 안치 ● 229
망자를 산 자로부터 분리하기·230 / 망자의 성스러운 장소·240 / 무덤과 영역·243 / 혈통 집단과 영역성·250 / 전망을 가진 무덤·256 / 소결·259
7장  인류의 죽음 경험 역사 ● 261
죽음과 시간·262 / 장송의례와 인류성의 기원·268 / 중기 및 후기 구석기시대의 매장들·272 / 전기 구석기시대: 시신 정식 안치와 식인습속?·280 / 기념 건축의 탄생·286 / 조상 세계의 구축·288 / 회반죽 칠한 두개골로부터 작은 상으로: 대지모신 신화, 폐기되다·295 / 불멸성의 추구·300 / 세계 종교의 흥기·307 / 세속적 신앙의 등장·309
8장  망자를 둘러싼 정치 ● 311
아메리카 인디언과 고고학자·314 / 오스트레일리아의 원주민과 그들에 대한 잔학행위·320 / 전 세계의 인골을 둘러싼 정치·323 / 영국에서의 법적 요건과 문제 사안들·329 / 영국에서의 고고학과 공중·334 / 인간 유해 처리에 관한 윤리강령·336 / 망자 절취와 약탈―도굴의 문제·342 / 20세기 잔학행위의 고고학·346 / 망자는 누구의 소유인가?·348
9장  에필로그: 죽음과 기억 ● 353
의례·355 / 건축, 죽음, 기념물들·358 / 결론·361
부록  인간 유체의 발굴 ● 363
발굴 전 준비·363 / 매장 발굴·365 / 화장묘 발굴·370 / 기록·371 / 인골 수습과 임시 보관·371 / 발굴 후 정리·373
참고문헌 ● 375
옮긴이의 말 ● 411
찾아보기 ● 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