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한국시의 현대성과 탈식민성 = Modernity and postcoloniality in Korean poetry / 지은이 : 이형권
한국시의 현대성과 탈식민성 = Modernity and postcoloniality in Korean poetry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한국시의 현대성과 탈식민성 = Modernity and postcoloniality in Korean poetry / 지은이 : 이형권
  • ·발행사항 서울 : 푸른사상사, 2009
  • ·형태사항 461 p. ;24 cm
  • ·주기사항 참고문헌(p. 437-446)과 색인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56406565  93810 : \26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811.609  듀이십진분류법-> 895.71009  
  • ·주제명 시 평론[詩評論]한국 현대시[韓國現代詩]한국 근대 문학[韓國近代文學]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지은이: 이형권 2009 SE0000237985 811.609-16-16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머리말
제1부 한국시의 탈식민성 - 저항과 전유의 연대
저항과 전유의 문학 담론 - 한국문학과 탈식민주의의 상관성
1. 서론 : 탈식민주의의 육하원칙
2. 역사적 저항과 이론적 전유
3. 탈식민주의 텍스트의 분석틀
4. 결론 : 탈식민주의의 미래, 혹은 전망
현대시의 미국문화 수용과 탈식민성
1. 서론 : 세계체제 시대의 문화와 한국 현대시
2. 미국문화에 대한 탈식민주의적 인식의 토대
3. 호의/제휴의 시와 동일시의 담론
4. 풍자/전유의 시와 비동일시의 담론
5. 부정/폐기의 시와 반동일시의 담론
6. 결론 : 현대시의 미국문화 수용과 제3세계적 가치
반미시의 계보와 탈식민성
1. 서론 : 반미의 역사와 반미시의 담론적 기능
2. 형성기 : 척사, 친일, 냉전 의식이 반영된 반미시
3. 발전기 : 반독재, 반외세, 철미(撤美) 의식이 드러난 반미시
4. 절정기 1 : 미국적 가치와 제국주의를 부정하는 반미시
5. 절정기 2 : 반양키 축미(逐美) 정신과 성찰 의식의 반미시
6. 결론 : 반미시, 탈식민의 가능성과 한계
지역문학의 탈식민성과 글로컬리즘 - 대전-충남 문학을 중심으로
1. 서론 : 지역문학의 시대적, 문학사적 함의
2. 지역문학의 시공간성과 외연적 범주
3. 지역문학과 탈식민성 제고의 방안들
4. 대전-충남 문학장의 역학적 관계망
5. 결론 : 지역문학의 특성과 글로컬리즘
김남주 시의 대항 담론과 탈식민성
1. 서론 : 판옵티콘의 시대와 시인의 사명
2. 오리엔탈리즘에 맞서는 반외세 민족정신
3. 자국민의 식민화에 저항하는 민주정신
4. 경제적, 계급적 식민을 거부하는 민중정신
5. 관념적, 선동적, 간접적 언술 방식
6. 결론 : 헤게모니적 식민 시대와 탈식민주의
현해탄 시편의 양가성(兩價性) 문제 - 30년대 후반의 임화시를 중심으로
1. 서론
2. 주체 재건의 내적 논리 : 주관과 객관, 그리고 주체
3. 현해탄의 양가성 : 고향과 동경(東京), 그리고 근대
4. 현해탄의 희망과 이상한 운명의 바다
5. 결론
제2부 한국시의 현대성 - 현실과 내면과 시
정지용 시의 '떠도는 주체'와 감정의 차원 - 시적 자아의 이국정조와 슬픔을 중심으로
1. 서론 : 정지용 시의 모더니티와 감정
2. '떠도는 주체'의 이국정조와 자기 모순의 슬픔
3. 실존적, 종교적 이국정조와 메타 감정으로서의 슬픔
4. 결론 : 정지용 시와 감정의 표층적, 심층적 차원
김수영의 시적 자의식 문제 - 시론시를 중심으로
1. 서론
2. 시, 현대적 일상의 지향과 성찰 방식
3. 시, 역사적 현실의 지향과 성찰 방식
4. 결론
김수영 시의 변모 과정
1. 서론
2. 엇나간 세태에 대한 반역 정신
3. 현대적 일상의 비애와 자유
4. 혁명 정신의 선취와 역사 감각
5. 실패한 혁명과 전통의 재발견
6. 사랑, 혹은 불변과 포용의 시정신
7. 결론
김지하의 생명시와 생명시론 - 생태시 논의와 관련하여
1. 서론
2. 생명 - 생태 문제 해결의 열쇠어
3. 고발의 시 - 반생태적인 것들에 대한 비판과 저항
4. 탐구의 시 - 상생(相生)과 순환의 우주 원리 탐색
5. 전망의 시 - 에코토피아 도래에 대한 꿈과 의지
6. 결론
'80년대 해체시와 아버지의 살해 욕망 - 황지우, 박남철, 장정일의 시를 중심으로
1. 서론 : '80년대! 시적인 것?
2. 뒤틀린 세계, 아버지 살해 욕망의 흔적
3. 전복적 상상력을 위한 시적 장치들
4. 결론 : '80년대 해체시의 문학성과 한계
해체시의 자의식과 창작방법 - 황지우의 초기시를 중심으로
1. 서론 : 해체론과 해체시
2. 해체시의 자의식과 방법 - 의혹의 시대에 대한 유언으로서의 시
3. 해체시의 방법 - 형태 파괴와 경계 넘나들기
4. 결론 : 반서정의 서정
제3부 현대시의 몇 가지 결절들
서정주의 사랑시편과 에로티즘
1. 서론
2. 몸의 사랑, 혹은 현실 일탈의 관능적 열정
3. 영성(靈性)의 사랑, 혹은 현세 초월의 정신적 의지
4. 가벼운 사랑, 혹은 일상적 유희와 사소한 에피소드
5. 결론
한국시의 보들레르 이립과 수용 양상 - 미당의 초기시를 중심으로
1. 서론 : 비교와 오독(誤讀)
2. 발신자로서 보들레르의 시적 특이성
3. 보들레르 시의 전신 환경과 전신자들
4. 수신자로서 미당의 보들레르 수용 양상
5. 결론 : 영향과 유사성
체루의 현실과 시의 풍요로움 - 1980년대 시의 비판적 개관
1. 서론 : 체루의 현실, 시의 시대
2. 리얼리즘적 상상-민중시, 페미니즘 시
3. (탈)모더니즘적 상상-해체시, 도시시
4. 리리시즘적 상상-서정시, 중간시
5. 결론 : 시의 풍요로움, 그 의의와 한계
대전-충남 문학의 경향과 정체성 - 시문학을 중심으로
1. 서론 : 지역문학의 개념과 연구 동향
2. 리리?幄遲? 차원-자연 서정과 전통 정서
3. 리얼리즘의 차원-역사 인식과 민중 의식
4. 모더니즘의 차원-실존의 자각과 현대적 일상
5. 결론 : 대전-충남 문학의 의의와 문제점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