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씨를 훌훌 뿌리는) 직파 벼 자연재배 / 김광화 글·사진 ;장영란 그림
(씨를 훌훌 뿌리는) 직파 벼 자연재배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씨를 훌훌 뿌리는) 직파 벼 자연재배 / 김광화 글·사진 ;장영란 그림
  • ·발행사항 파주 : 들녘, 2016
  • ·형태사항 320 p. :천연색삽화 ;21 cm
  • ·총서사항 (농부가 세상을 바꾼다! 귀농총서 ;51)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59251351  14520: \14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524.2  듀이십진분류법-> 633.18  
  • ·주제명 벼직파 재배[直播栽培]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김광화 글·사진 ;장영란 그림 2016 SE0000236886 524.2-16-1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김광화 글·사진 ;장영란 그림 2016 SE0000238564 524.2-16-1=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머리글_ 생명 그 근본에 대한 관심 과 사랑4
1부 봄 보고 또 보고
삽으로 논두렁 깎기 19
논 갈기, 보메기 그리고 논두렁 바르기 25
정성스러운 볍씨 준비 34
섬세한 낫 갈기 48
논두렁 풀베기와 야생 꽃밭 54
로타리와 써레질에 이어 곧바로 볍씨 뿌리기 59
흙탕물 흩뿌림 직파 66
직파 뒤 물빼기와 논 지도 그리기 76
뿌리를 잘 내리게 눈그누기 84
직파 일주일째, 논 고랑(배수로) 내기 89
물과 물꼬를 나와 한 몸처럼 92
무논에서 자라는 풀, 그 기세를 미리 꺾어두자 97
2부 여름_벼한테 말 걸기
직파 보름째, 왕우렁이 넣기 105
여름철 보양식, 왕우렁이 강된장 117
가지치기(분얼)에 대한 이해와 공부 124
솎아심기와 1차 김매기 133
기울어도 다시 일어서는 직파 벼 137
두 번째 논두렁 풀베기, 벌과 독사 조심 144
논물 관리: 물 떼기와 물 걸러대기 150
직파 석 달째, 벼꽃 한창, 풀꽃도 한창 158
논 지킴이: 거미, 청개구리, 사마귀, 잠자리 167
■ 벼 한살이 그림(131쪽)
3부 가을_땅 한 번, 하늘 한 번
짐승 피해와 논 말리기 175
볍씨 거두기와 갈무리 180
콤바인에서 홀태까지, 거꾸로 가는 시간여행 186
볏짚 썰어넣는 작두질 201
논 지도에 따라 논 수평 맞추기 206
쌀겨 거름 뿌리기와 논 갈아엎기 212
자연재배로 나아가는 무투입 농법 216
질의와 응답으로 살펴보는 벼 직파 농법 224
4부 겨울_자신을 들여다보는 거울
날마다 새로운 밥을 짓자면? 235
아내(?)를 위한 ‘밥상 안식년’ 242
논두렁에서 자라는 약초 249
벼농사와 자식농사, 닮은 점과 다른 점 255
논, 벼, 쌀, 밥…… 쉽고도 근본이 되는 한 글자 우리말 261
소비보다 창조하는 문화를 266
〈목숨꽃〉, 노래를 딱 한 곡만 짓는다면? 277
논두렁 산책, 나만의 올레길 284
다양성을 지켜가는 토종 벼 이야기
(흙살림 토종연구소 윤성희 소장님 인터뷰) 290
야생 벼, 그 강인한 생명력 299
얼마나 지어야 자급자족이 가능할까? 307
맺는말_ “내년에는 더 잘 할 거 같아” 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