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2016) 신춘문예 당선시집 / 시 : 강기화,김소현,김재필,노국희,변희수,안지은,이서하,이윤정,정신희,조상호 ;시조 : 박화남,유순덕,이중원,정지윤,조경선
(2016) 신춘문예 당선시집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2016) 신춘문예 당선시집 / 시 : 강기화,김소현,김재필,노국희,변희수,안지은,이서하,이윤정,정신희,조상호 ;시조 : 박화남,유순덕,이중원,정지윤,조경선
  • ·발행사항 서울 : 문학세계사, 2016
  • ·형태사항 224 p. :초상 ;23 cm
  • ·주기사항 한자표제:新春文藝 當選詩集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70758114  03810 : \11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811.7  듀이십진분류법-> 895.715  
  • ·주제명 신춘 문예[新春文藝]한국 현대시[韓國現代詩]한국 현대 시조[韓國現代時調]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시: 강기화,김소현,김재필,노국희,변희수,안지은,이서하,이윤정,정신희,조상호 ;시조: 박화남,유순덕,이중원,정지윤,조경선 2016 SE0000230829 811.7-16-817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시: 강기화,김소현,김재필,노국희,변희수,안지은,이서하,이윤정,정신희,조상호 ;시조: 박화남,유순덕,이중원,정지윤,조경선 2016 SE0000230830 811.7-16-817=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시: 강기화,김소현,김재필,노국희,변희수,안지은,이서하,이윤정,정신희,조상호 ;시조: 박화남,유순덕,이중원,정지윤,조경선 2016 SE0000236309 811.7-16-817=3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시詩
강기화 | 부산일보
[당선작] 큐브·12
[신작시] 풍선껌·14 / 할매탕·15 / 바지 입는 법·16 / 샘·18 / 나는 파리다·20
[당선 소감] 한 편의 시는 생명을 가지고 활동하는 치열한 실천·22
[심사평] 우리 시대의 문제의식 참신한 표현 돋보여·24
김소현 | 중앙일보
[당선작] 투명인간-못생긴 너에게·28
[신작시] 공중의 잠언·30 / 인형의 집·32 / 오늘의 날씨·34 / 벽:우리는 나쁜 피였다고 쓴다·36 / 매음굴의 예수·38
[당선 소감] 적합한 인간이 되고 싶었다, 그것뿐·40
[심사평] 외눈 아닌 겹눈으로 세상 보는 성숙함·41
김재필 | 문화일보
[당선작] 입수入水·44
[신작시] 갈증의 종류가 종을 나누는 벽임을 너는 인정한다·45 / 식는 연습·46 / 마른 구유를 핥는 말처럼·47 / 플레이·48 / 화살 맞으러 가듯·49
[당선 소감]함께 해줬던 사람에게 보상 되길 바라며 써·50
[심사평] 최근 응모작 추상·관념의 유희 과해…「입수」 소통의 모호성 벗어나·52
노국희 | 한국일보
[당선작] 위험 수목·56
[신작시] 자라는 방 Ⅱ·58 / 공회전·60 / 일곱 번째 여름·62 / 양양·64 / 보호자·65
[당선 소감] 견고한 세계를 뚫고 반대편 입구에 닿은 느낌·59
[심사평] 안정감 갖춘 구도…과감한 문장 전개로 패기도 보여 줘·69
변희수 | 경향신문
[당선작] 의자가 있는 골목-李箱에게·72
[신작시] 아침의 노래·75 / 동침·77 / 두리번거리는 사람들·78 / 유리창이 있는 벽·80 / 기우·82
[당선 소감] 의자는 시를 낳는 성소…궁합 잘 맞는 난 행운아·84
[심사평] 기존 틀 차용했지만 사유를 끌고 가는 의식 우뚝·86
안지은 | 조선일보
[당선작] 생일 축하해·90
[신작시] 희귀종·92 / 엑소더스 클럽·94 / 에덴에게·95 / 술래잡기·96 / 식물일기·98
[당선 소감] 불면의 날들…비로소 푹 잘 수 있게 되었다·100
[심사평] 소통의 시詩…삶· 죽음에 대한 역설적 인식 돋보여·102
이서하 | 한국경제
[당선작] 므두셀라·106
[신작시] 0.2·108 / 일리와디·109 / 트래커 나이프·110 / 토마토나 라 토마티나·113 / 소동-핼 리가 돌아온다면·115
[당선 소감] “이제 겨우 관문 하나 통과했네요”·118
[심사평] 몸으로 기억하는 ‘상처’, 문학적 낙천성으로 보듬어 ·120
이윤정 | 세계일보
[당선작] 타크나 흰 구름·124
[신작시] 불신의 무늬·126 / 깃털을 뽑다·128 / 옥수수·130 / 장수풍뎅이 우화기·132장미의 저녁·134
[당선 소감] 동면 깨어나…마음 다독이는 시 쓰겠다·135
[심사평] 오랜 시적 연마 느껴지고 서정적 언어 돋보여·137
정신희 | 서울신문
[당선작] 가족·140
[신작시] 길 끝 미장원·142 / 간결한 이별·144 / 휴일·146 / 장작불 피우기·148 / 임종·149
[당선 소감] 시는 주저앉은 나를 일으켜 세우며 내게로 온다·150
[심사평] 깔끔한 표현으로 서정적 구체성·투명성 살려·152
조상호 | 동아일보
[당선작] 입과 뿌리에 관한 식물학·156
[신작시] 오로라 수리점·158 / 가을에·159 / 솔체의 여인·160 / 모음母音들·162 / Let Me In·164
[당선 소감] 절벽에 섰을 때 들려온 말, “더, 더 고민해야 한다”·166
[심사평] 빠른 질주-멈춤의 리듬감…언어적 상상력이 돋보여·168
시조時調
박화남 | 중앙일보
[당선작] 다산茶山을 읽다·174
[신작시조] 뭇,·175 / 푸른, 1g의 그늘·176 / 꽃의 구름·177 / 불룩한 여행·178 / 치매병동 203호·179
[당선 소감] 언어의 발효를 기다린다·180
[심사평] 안정감 주는 높은 완성도·181
유순덕 | 서울신문
[당선작] 구름 위의 구두·184
[신작시조] 새, 꽃등을 걸다·185 / 눈 오는 밤 카프카를 생각하다·186 / 아주, 잠시·187 / 다산의 동백·188 / 여름 새벽 알을 보다·189
[당선 소감] 오랜 습작 시간 함께한 마음 속 흰 새 날려 보낸다·190
[심사평] 소재의 참신함에 현대 시조다운 제목 돋보여·191
이중원 | 조선일보
[당선작] 파란 잉크 주식회사·194
[신작시조] 폭설·195 / 로그오프·196 / 세일즈맨 성공기·197 / 흑백사진·198 / 고양이과科·199
[당선 소감] 나만의 빛의 온도로 이 길의 끝까지…·200
[심사평] 정형 구조 넓힐 신인…더 놀라운 ‘파란’ 기대돼·201
정지윤 | 동아일보
[당선작] 날, 세우다·204
[신작시조] 히든 싱어·205 / 25시 편의점·206 / 해바라기 골목·207 / 오늘은 또 오늘만큼 되돌아가고·208 / 계산기·210
[당선 소감] 잘 쓴 시보다 울림이 있게… 시 오는 문 열어 두겠습니다·211
[심사평] 고된 삶에서 찾은 건강한 희망… 상투성 벗고 미학적 도전 주목·212
조경선 | 매일신문
[당선작] 옆구리 증후군·216
[신작시조] 목력木歷·217 / 얼음 발자국·218 / 장작·219 / 게으른 그늘·220 / 빈집, 소리를 잃어버리다·221
[당선 소감] 나무의 속과 같은 마음으로 글 쓰겠다·222
[심사평] 의자를 만드는 과정에서 삶이 의미를 환기시키는 역작·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