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편집 출판학 연구 총설 = A discourse on editing and publishing study / 저자 : 이종국
편집 출판학 연구 총설 = A discourse on editing and publishing study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편집 출판학 연구 총설 = A discourse on editing and publishing study / 저자 : 이종국
  • ·발행사항 서울 : 패러다임북, 2015
  • ·형태사항 523 p. :삽화, 초상 ;24 cm
  • ·주기사항 참고문헌(p. 469-501)과 남애 안춘근 연보와 색인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95548040  93010 : \26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013  듀이십진분류법-> 070.5  
  • ·주제명 출판학[出版學]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저자: 이종국 2015 SE0000227412 013-16-1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저자: 이종국 2015 SE0000227413 013-16-1=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 책머리에
제1부책·출판의 발전적 지향
·책의 진화와 문화 발전
1. 글머리-출판에 대한 새로운 인식
2. 왜 기록인가
3. 출판의 진화·팽창-재매개의 지평
4. 맺음
·기록의 그릇-‘채후지’ 이전의 지류와 이후의 부활
1. 서언-문헌의 진정성
2. 채륜 이전의 종이
3. 거듭 난 종이-채륜을 넘어
4. 종이의 문화적 의의
5. 책·종이의 미래-마무리를 겸하여
·한·중 출판학술 교류의 의의와 발전적 지향
-한·중 출판학술회의의 전개 과정과 미래 지향 과제
1. 서언-문제의 제기
2. 한·중 출판학술 교류의 의의와 전개 과정
3. 성과와 앞으로의 지향 과제
4. 맺음
제2부편집에 관한 이해
·편집 editing, editor의 의의와 근대적 변환
1. 편집의 의의
2. 편집의 시원 및 역사적 사례
3. 편집의 근대적 변환
4. 마무리-편집은 문화 소통의 끈
·편집학 연구 개설
1. 서언-편집 연구의 성격
2. 편집에 대한 학문적 관심
3. 편집학의 함의
4. 편집학의 대상
5. 편집학의 연구 범위
6. 고전 경험의 총화
7. 고대의 문헌 편집 방법 사례
8. 외래문화의 도입과 출판계
9. 마무리
·‘편집’ 어휘의 변천 과정
1. 글머리
2. ‘이십오사’에서의 ‘편집’ 및 관련 어휘 사용
3. 編緝, 編輯-출현에서 청(淸) 말기까지의 사용 정황
4. ‘편집’ 어휘의 근현대적인 변천
5. 근대적 저널리즘의 도입과 ‘편집’
6. 편집 업무의 전문화와 ‘편집’ 어휘의 정리
7. 편집의 지향점과 편집·출판학 연구
8. ‘출판’에 관한 고대 서구에서의 징험
9. 덧붙임-문화·교육 수단 창출 활동의 필수 요건
제3부출판학자 남애 안춘근
·출판학자 남애 안춘근 연구-그의 인생, 애서, 연구 활동
1. 글머리-문제의 제기
2. 고향, 그리고 유년 시절의 남애
3. 청년 시절에 관한 개요
4. 출판·편집자, 그리고 출판 연구자의 길
5. 첫 책과의 만남, 그리고 넓혀 나간 독서·수서(蒐書) 지평
6. 남애의 출판학 연구
7. 맺음
덧붙임남애 안춘근에 관한 몇 가지 참고
1. 최초의 기고
2. 발굴 사례와 기서(奇書) 예화
3. 비망(備忘)
4. 낙수(落穗)
남애 안춘근 연보
|참고 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