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중국의 비단역사 칠천 년 = China silk 7000 years : crystal of art science and technology : 역대 직조와 자수품 연구 / 황넝푸,천좐좐 지음 ;이희영 옮김
중국의 비단역사 칠천 년 = China silk 7000 years : crystal of art science and technology : 역대 직조와 자수품 연구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중국의 비단역사 칠천 년 = China silk 7000 years : crystal of art science and technology : 역대 직조와 자수품 연구 / 황넝푸,천좐좐 지음 ;이희영 옮김
  • ·발행사항 파주 : 한국학술정보, 2016
  • ·형태사항 477 p. :삽화(일부천연색), 지도 ;30 cm
  • ·주기사항 기타표제:中國絲綢科技藝術七千年 :歷代織繡珍品硏究
    원표제:中国丝绸科技艺术七千年 :历代织绣珍品研究
    원저자명: 黃能馥, 陈娟娟
    참고문헌: p. 476
    중국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26871508  93910 : \75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587.39  듀이십진분류법-> 746.0439  
  • ·주제명 견직물[絹織物]비단[緋緞]중국(국명)[中國]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황넝푸,천좐좐 지음 ;이희영 옮김 2016 SE0000228335 587.39-16-1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황넝푸,천좐좐 지음 ;이희영 옮김 2016 SE0000228336 587.39-16-1=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개요
서문1
서문2
전언
제1장 선사(先史)시대
1. 세계 문명에 기여한 중국인의 비단
2. 의생활 중 가장 우수한 방직(紡織) 원자재 비단
3. 비단 기원 관련 신화
4. 비단 기원의 고고학적 성과
참고문헌
제2장 하·상·서주(夏·商·西周)시대
1. 하·상·서주(夏·商·西周)시대의 잠상(蠶桑) 생산
2. 상주(商周)의 비단과 직금(織錦)
참고문헌
제3장 춘추전국(春秋戰國)시대
1. 춘추전국(春秋戰國)시대의 비단 자수 개황(槪況)
2. 춘추전국(春秋戰國)시대 비단의 법정규격 및 시장가격
3. 전국(戰國)시대 비단의 고고학적 발견
4. 전국(戰國)시대 자수
참고문헌
제4장 양한(兩漢)시대
1. 마왕퇴(馬王堆) 1호 서한대묘(西漢大墓)의 발견
2. 문헌에 기록된 한대(漢代)의 비단 종류
3. 한대(漢代)의 염색공예
4. 한대(漢代)의 비단 소비
5. 실크로드[絲綢之路]의 정식적인 개통
6. 한대(漢代)의 직기(織機)
7. 실크로드를 따라 발견한 한대(漢代)의 비단 진품
8. 양한(兩漢)시대의 염색
9. 한대(漢代)의 자수(刺繡)
참고문헌
제5장 삼국·양진·남북조(三國·兩晉·南北朝)시대
1. 한말(漢末) 삼국(三國)시대의 비단 생산
2. 서진(西晉) 귀족의 비단 소비
3. 후조(後趙)·전진(前秦)의 비단 소비
4. 남북조(南北朝)의 비단 생산
5. 중국 잠상(蠶桑) 기술의 전파
6. 3~6세기의 직수(織繡) 진품
참고문헌
제6장 수·당·오대(隋·唐·五代)
1. 수·당대(隋唐代)의 직수(織繡) 생산 개황(槪況)
2. 당대(唐代)의 능(綾), 금(錦), 염힐(染?) 및 자수(刺繡)
3. 당대(唐代)의 견사(絹絲) 제화(提花) 기술에 관한 연구
4. 수·당·오대(隋·唐·五代)의 자수 문양
참고문헌
제7장 요·송·서하·금·원대(遼·宋·西夏·金·元代)
1. 10~14세기 중국 직수(織繡) 기술의 발전
2. 요대(遼代)의 비단 직수(織繡)
3. 서하(西夏)의 비단 직수(織繡)
4. 금대(金代)의 비단 직수(織繡)
5. 송대(宋代)의 비단 직수(織繡)
6. 원대(元代)의 비단 직수(織繡)
참고문헌
제8장 명대(明代)
1. 명대(明代)의 비단 생산 개황(槪況)
2. 명대(明代)의 주요 비단 종류
3. 명대(明代)의 비단 문양
참고문헌
제9장 청대(淸代)
1. 청대(淸代)의 비단 생산 개황(槪況)
2. 청대(淸代)의 주요 비단 종류
3. 청대(淸代)의 비단 문양
4. 청대(淸代)의 비단 문양 디자인의 기교
5. 자수법(刺繡法)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