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일제의 조선 「식민지 고고학」과 식민지 이후 = Colonial archaeology post-colonial / 최석영 지음
일제의 조선 「식민지 고고학」과 식민지 이후 = Colonial archaeology post-colonial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일제의 조선 「식민지 고고학」과 식민지 이후 = Colonial archaeology post-colonial / 최석영 지음
  • ·발행사항 서울 : 서강대학교 출판부, 2015
  • ·형태사항 286 p. :삽화, 초상 ;24 cm
  • ·총서사항 (서강학술총서 ;077)
  • ·주기사항 참고문헌(p. 271-276)과 색인수록
    SK SUPEX 기금의 후원으로 제작됨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72732648  94910 : \16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911.06  듀이십진분류법-> 951.903  
  • ·주제명 일제 강점기[日帝强占期]한국사[韓國史]고고학[考古學]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최석영 지음 2015 SE0000224760 911.06-16-1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최석영 지음 2015 SE0000224761 911.06-16-12=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책머리에
제1장 「식민지 고고학」, 포스트콜로리얼(post-colonial) 고고학 연구의 필요성
1. 식민지와 포스트 식민지는 ‘연속’인가 ‘단절’인가
2. 「식민지 고고학」사(史) 연구의 현실적 필요성
3. 무엇을 고찰할 것인가
제2장 일본 명치기 “고기구물古器舊物” 보호책과 인류ㆍ고고학의 초창기적 개념
1. 논의의 초점
2. 명치기 ‘고기구물(古器舊物)’ 보호 쪽으로의 궤도선회
1) 「신불분리(神佛分離)」의 ‘실질적 포기’와 ‘고기구물’의 보호
2) 고분 발굴을 둘러싼 ‘해코지’ 신앙과 발굴금지령의 발포
3) 유물에 대한 인식의 변화: ‘주술관(呪術觀)’으로부터 ‘고고학적’ 발상
4) 정부고용[お雇い] 외국인 교사의 역할
3. 「식민지 고고학」의 수행기구와 그 활동: 동경제국대학의 인류학교실, 관련 학회 및 단체
1) 동경제국대학 이학부 인류학교실의 연혁과 그 구성
2) 동경인류학회의 발족과 인류학의 개념틀
3) 고고학회의 창립과 그 초창기적 개념
제3장 일본 국내와 식민지 조선에서 유물ㆍ유적 ‘보호’ 관련 법의 ‘차별적’ 운영
1. 문제 제기
2. 일제의 「외지」 통치기조: 대만과 조선
1) 대만: 일제에 의한 외지(外地) 통치기조의 단초
2) 조선: 일제에 의한 외지(外地) 통치기조의 강화
3. “고기구물(古器舊物)” 보호ㆍ관리의 ‘정치학’: 1910년 이전
1) “고기구물” 보존 관련 법적 토대 구축
2) 고적 보존에 대한 논의
4. 일제의 조선 유물ㆍ유적 ‘보호’ 관련법의 차별적 운영
1) 출토 유물의 조선 밖 반출 금지 조항이 없는 「고적 및 유물보존규칙」(1916년)
2) 「고적 및 유물보존규칙」의 효용성 의문
3) 「사적명승천연기념물보존법시행령」과 「조선보물고적명승천연기념물보존령」의 비교
5. 문화재 반환의 전제 조건
제4장 일본고고학회 기관지 『고고계考古界』·『고고학잡지考古學雜誌』를 통해 본 「식민지 고고학」의 전개
1. 논의의 초점
1) 전쟁과 인류ㆍ고고학적 조사활동
2) ‘권력’과 ‘차별’, ‘소유’의 고고학: 「식민지 고고학」의 표상
2. 「식민지 고고학」 이전(以前)의 조선조사
1) 이민(移民)의 장려와 재한(在韓) 단체에 의한 조선 조사와 수집
2) 유물 관리 인프라 구축: 일본 근대 최초의 박물관 개관
3) 동경제국대학 인류학교실 야기 쇼자부로(八木?三郞)의 한국 조사
4) 한반도를 둘러싼 패권 경쟁과 고고학 조사
3. 일제의 조선 강점 하 「식민지 고고학」의 전개
1) 식민지 문화에 대한 자의적(恣意的) 분류
2) 부여 능산리 고분에 대한 조사 편의적 명명(命名)과 발굴
3) 전각과 객사 등을 활용한 식민지 유물의 관리
4) ‘유사(類似) 전문가’에 의한 발굴
5) 식민지 출토 유물의 조선 밖 반출과 경매처분
6) 일본의 인류ㆍ고고학의 토대 구축과 외지 조사
7) 재조(在朝) 일본인에 의한 유물 수집
8) 제국에 의한 식민지 출토 유물의 표상
9) 일본에 의한 조선 ‘진출의 역사’ 재현: ‘문록ㆍ경장(文祿慶長)의 역(役)’
이 책을 맺으면서: 성과와 과제
1. 성과
1) 조선 「식민지 고고학」이 시작된 전후(前後)의 상황
2) ‘차별’과 ‘배타’의 「식민지 고고학」과 유물 유출
3) 문화재 반환의 기초적 과제
참고문헌
찾아보기(용어)
찾아보기(인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