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아무도 말하지 않은) 백제 그리고 음악 / 이종구 지음
(아무도 말하지 않은) 백제 그리고 음악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아무도 말하지 않은) 백제 그리고 음악 / 이종구 지음
  • ·발행사항 서울 : 주류성, 2016
  • ·형태사항 390 p. :천연색삽화, 악보, 지도, 초상 ;23 cm
  • ·주기사항 권말부록 : 정읍사(계면조)<오음악보> ;산유화가 ;백제찬가 ;백제뱃노래
    "백제 연표" 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62462654  03670 : \20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670.9  한국십진분류법-> 911.033  듀이십진분류법-> 780.9  듀이십진분류법-> 951.901  
  • ·주제명 음악사[音樂史]백제(국명)[百濟]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이종구 지음 2016 SE0000222262 670.9-16-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이종구 지음 2016 SE0000222263 670.9-16-2=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제1장. 백제음악과 백제사
제1편 백제사 사료
1. 백제주요문헌사료
2. 「양직공도」 백제사신도
토막이야기 I 백제가 차지한 요서·진평 - 북경을 포함하는 옥야천리
토막이야기 I 백제의 요람은 홍산문화의 터전 - 동이민족이 이룬 인류문명의 시원
3. 『북사(北史)』
토막이야기 I 다섯 차례의 백제와 북위의 전쟁 - 전쟁에서 웃은 사람들
토막이야기 I 영원한 우리민족의 고유악기 ‘해금’ - 동방 음악을 밝히다
4. 『삼국사기』와 백제
토막이야기 I 식민사학·반식민사학 - 두 친일파 사학자의 엇갈린 비운
5. 『일본서기』를 둘러싼 여러 가지 문제 071
토막이야기 I ?은내 아?의 나라 - 부여·고구려·백제·왜국의 닮은꼴 건국이야기
제2편 백제 강역(疆域)
1. 건국의 신비
토막이야기 I 황국사관과 조선사편수위원회 - 한사군이 동으로 간 까닭은?
2. 나라이름
3. 한반도의 본국백제
토막이야기 I 삼국사기가 말하는 백제 월주(越州) - ‘대해(大海), 소해(小海)’
그것이 문제로다
4. 대륙백제, 그 뜨거운 논란의 기록들
5. 일본열도의 백제 식민지
6. 담로
7. 백제 존속기간
제2장. 백제음악 관련 자료
제1편 백제음악 문헌사료
1. 백제음악 문헌 점검
2. 중국 문헌에 나나난 백제음악
3. 한국 문헌에 나타난 백제음악
4. 일본 문헌에 나타난 백제음악
가. 일본서기
나. 악보자료 『교훈초』 (敎訓秒)
토막이야기 I 조선말에 노래한 백제기악 - 악시부로 보는 백제악
제2편 백제음악 유물사료
1. 계유명전씨아미타불비상
2. 백제금동대향로
3. 월평동 출토 양이두(羊耳頭)
4. 신창동 출토 현악기
5. 보원사지 석탑의 팔부중상 공후
제3장. 백제악기
제1편 백제악기 개괄
토막이야기 I 동양의 모음곡 - 수·당(隋·唐)의 연악(宴樂)
제2편 현악기
1. 비파(琵琶)
토막이야기 I 우리 비파의 시련 - 첫 문화콘텐츠 수출의 유감
2. 백제삼현
토막이야기 I 백제삼현을 찾아서 - ‘박자이’라 부르는 중국 속의 ‘백제(百濟)’
3. 공후(??)
4. 군후(군?)
5. 백제8현금
6. 금(琴)
7. 쟁(爭)
제3편 관악기
1. 횡적(橫笛)
2. 적(笛)
3. 배소(排簫)
4. 지(?)
5. 도피필률
토막이야기 I 벽사 주술의 힘을 숨긴 도피필률의 진실
6. 막목
7. 각(角)
8. 우(?)
9. 생(笙)
10. 소(簫) 또는 통소(洞簫)
11. 장소(長簫)
12. 백제생황
제4편 타악기
1. 고(鼓)
2. 요고(腰鼓)
토막이야기 I 타악기의 왕 - 천상천하를 넘나드는 음양의 소리
제4장. 백제음악
제1편 백제음악의 성격
1. 백제음악의 특성
2. 음률(音律, Temperament)
토막이야기 I 황금색 민족의 우주관을 담은-알타이 동이민족의 삼신오황 사상
제2편 백제악과 수(隋)·당(唐) 연악(燕樂)
토막이야기 I 기악(伎樂)의 스승 미마지 - 미마지(味摩之), 그는 백제를 떠난 일이 없었다
제3편 백제불교와 음악
토막이야기 I 미륵전쟁, 누가 이긴 싸움일까? - 신라미륵 선화공주 백제를 멸망시키다
토막이야기 I 불교사물 - 신성한 범음(梵音) - 중생의 깨달음을 향한 회향(廻向)의 소리
제4편 백제가요
1. 백제가요
토막이야기 I 백제에서 온 그대 ? 유네스코, 수제천(壽齊天)을 으뜸으로 꼽다
2. 만엽집이 전하는 백제가요
토막이야기 I 이영희의 한·일 옛 이야기 노래하는 역사 - 영원한 백제의 여인 제명여왕
3. 민요 속에서 찾은 백제음악 『산유화가』
부록
악보 1. 정읍사(계면조)
악보 2. 산유화가
악보 3. 백제찬가
악보 4. 백제뱃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