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식량낭비 줄이기 / 채희정,이숙종,이철호 공저
식량낭비 줄이기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식량낭비 줄이기 / 채희정,이숙종,이철호 공저
  • ·발행사항 서울 : 식안연(한국식량안보연구재단), 2016
  • ·형태사항 243 p. :삽화, 도표 ;21 cm
  • ·총서사항 (식량안보시리즈 ;제5권)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86396308  94300 : \12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35.7  듀이십진분류법-> 363.8  
  • ·주제명 식량 낭비[食糧浪費]식량 문제[食糧問題]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채희정,이숙종,이철호 공저 2016 SE0000219292 335.7-16-5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채희정,이숙종,이철호 공저 2016 SE0000219293 335.7-16-5=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제 1장 서 론
1.1. 식량의 경제학
1.2 세계의 식량 사정과 식량 손실
1.2.1. 세계의 식량 사정
1.2.2. 세계의 식량낭비 현황
1.3 한국의 식량 사정과 낭비 현황
제2장 식량낭비의 원인과 실태
2.1 수확 후 손실
2.1.1 신선식품의 수확 후 손실률
2.1.2 수확 후 손실비용
2.2 가공 유통과정의 손실
2.2.1. 운송과정
2.2.2 가공 및 포장과정
2.2.3 판매과정
2.2.4. 가공식품 폐기물 발생 요인 분석
2.2.5. 가공식품 폐기물의 경제적 손실 분석
2.3 소비단계에서 음식폐기 현황
2.3.1 음식물폐기물 감소를 위한 정부 정책
2.3.2 외식산업과 음식물폐기물
2.3.3 학교급식과 음식물폐기물
2.3.4 가정에서 발생하는 음식폐기물
2.4 사회 문화, 구조와 정책적 원인
2.4.1. 문화적 요인
2.4.2. 정책적 요인
2.4.3. 소득수준과 사회 인프라의 영향
제 3장 식량낭비 저감화 기술
3.1. 수확후관리기술
3.1.1. 과채류의 생리적 특징
3.1.2. 공기조성 조절에 의한 저장방법
3.1.3. 건조 방법
3.1.4. 곡류 저장기술
3.1.5. 최소가공방식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저감화
3.2. 보존제를 이용한 화학적 저장방법
3.2.1. 전통적인 절임식품
3.2.2. 화학보존료
3.2.3. 회학보존료 사용 절감 기술
3.3. 가열살균에 의한 저장성 향상
3.3.1. 식품의 열처리 공정
3.3.2. 통조림 제조기술
3.3.3. 레토르트 파우치의 개발과 이용
3.4. 콜드체인의 이용
3.4.1. 냉동기
3.4.2. 급속냉동과 완만냉동
3.4.3. 냉동방법
3.4.4. 냉동채소류의 콜드체인시스템
3.4.5. 냉장기술
3.5. 이온화 조사기술의 활용
3.5.1. 이온화 조사기술의 이용 현황
3.5.2. 이온화 조사기술의 안전성
3.5.3. 이온화 조사기술의 사회경제적 이득
3.5.4. 이온화 조사기술을 가로막는 난제들
3.6. 식품포장기술
3.6.1. 식품 포장재
3.6.2. 기능성 포장재
3.6.3. 무균포장
3.7.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식량낭비 저감화
3.7.1. IoT 3대 주요기술
3.7.2. 사물인터넷과 식량산업
3.7.3. 유비쿼터스 주방기기
3.8 음식물 쓰레기의 퇴비화, 사료화 및 에너지자원화
3.8.1 음식물쓰레기의 구성
3.8.2 음식물쓰레기 처리방법
3.8.3 음식물쓰레기 처리의 환경영향 및 경제성
제 4장 식량낭비를 줄이기 위한 제도적 개선
4.1. 식품안전 관리제도의 개선
4.1.1. 식품안전과 식량안보
4.1.2. 위해요소(Hazard)와 위험(Risk)
4.1.3. 식품의 이물관리 제도
4.2 유통기한 표시제도의 개선
4.2.1. 식품기한의 정의와 각국의 적용사례
4.2.2. 유통기한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병폐
4.2.3. 유통기한 표시제도의 개선 방향
4.3 푸드뱅크의 활용
4.3.1. 선진국의 푸드뱅크
4.3.2. 우리나라 푸드뱅크 활동
4.3.3. 식품기탁제도의 활성화 방안
4.4. 단체급식 및 외식산업의 노력
4.4.1. 원료 선택과 식단 구성
4.4.2. 1회 제공량 제한
4.4.3. 뷔페식당의 식품폐기 감축 요령
4.4.4. 조리분량 조절과 적정 배식샘플 제시
4.4.5. 남은음식 포장하기
4.5. 식량낭비를 막기 위한 국민교육
4.5.1. 식생활교육국민네트워크
4.5.2. 환경부의 음식물쓰레기줄이기 캠페인
4.5.3. 식량자급실천국민운동
5. 식량낭비를 줄이기 위한 정책제언
(1) 식품 유통기한 표시제도의 개선
(2) 식량안보를 고려한 식품안전 수준의 설정
(3) 수확 후 관리를 위한 투자와 교육 확대
(4) 식품유통라인의 관리 강화와 폐기물 감축
(5) 외식업소와 단체급식업소의 음식물쓰레기 줄이기 운동 강화
(6) 학교급식을 통한 좋은 식습관 길들이기
(7) 관련학회와 시민단체들의 식량낭비 줄이기 노력 지원
(8) 식량낭비 줄이기 목표 설정과 모니터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