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인문학을 위한 한문 읽기 : 漢文古典 / 김남기,김윤희,김종복,안병걸,정진영,한양명 편저
인문학을 위한 한문 읽기 : 漢文古典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인문학을 위한 한문 읽기 : 漢文古典 / 김남기,김윤희,김종복,안병걸,정진영,한양명 편저
  • ·발행사항 서울 : 알렙, 2015
  • ·형태사항 355 p. :삽화, 설계도 ;23 cm
  • ·주기사항 권말부록: 文史哲 기초 자료 ; 한문 기초 자료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97779536  93810 : \15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711.47  한국십진분류법-> 001.3  듀이십진분류법-> 495.78  듀이십진분류법-> 001.3  
  • ·주제명 한문 교육[漢文敎育]한자 학습[漢字學習]인문 과학[人文科學]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김남기,김윤희,김종복,안병걸,정진영,한양명 편저 2015 SE0000215111 711.47-16-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머리말  한국학을 위한 길잡이, 인문학을 위한 한문
제1장 고전의 세계
父生我身, 자식의 도리
賓客來訪, 세상을 사는 도리
不以困窮而改節, 군자의 도리
勸學文, 학문을 권하다
學問之道, 학문하는 길
敎學相長, 가르치며 배우다
擊蒙要訣序, 몽매함을 깨우치다
學, 배움이란
大學之道, 큰 배움의 길
人道, 사람의 길
道, 도란 무엇인가
出藍, 배워야 하는 이유
稼說, 학문하는 방도
제2장 선인의 지혜
不言長短, 타인에 대한 배려
兄弟投金, 형제간의 우애
夫妻訟鏡, 부부가 거울을 두고 다투다
許生傳, 허생 만금을 빌리다
卜居, 사람이 살만한 곳
殖貨論, 먹고사는 문제
入學圖說, 인이란 무엇인가
醫山問答, 허옹과 실옹의 대화
愛惡箴幷序, 사랑과 미움에 대한 인식
壞土室說, 자연의 섭리를 따라야 한다 53
家訓, 삼가 가법을 지켜라
答東峯山人書, 술을 끊겠습니다
盜子說, 도둑 부자 이야기와 자득의 중요성
太極說, 태극에 관한 논설
殿試策問題, 정치와 학문의 관계를 논하라
제3장 영남 선비의 정신
東賢事略, 우탁 선생의 삶
弔義帝文, 의제의 억울한 죽음을 애도하다
陶山十二曲跋, 시조 속에 지취와 학문을 담다
[참고] 陶山十二曲
畜猫說, 고양이를 기르는 뜻
人?說, 자기 새끼만 사랑하다니
安東無碑, 안동에는 선정비가 없다
丹?三記事, 포수 이노미 할배
제4장 우리 역사에 대한 인식
檀君王儉, 우리 역사의 시작
鄒牟王, 고구려의 건국신화
[참고] 東明王篇
世俗五戒, 화랑의 규범
[참고] 壬申誓記石
玄妙之道, 풍류의 연원
上眞平王書, 죽어서도 왕에게 사냥을 경계하다
花王戒, 우언으로 충언을 올리다
訓民正音序,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
龍飛御天歌, 육조의 공덕과 조선의 번영을 노래하다
제5장 사회 현실과 비판 정신
經理, 가난한 자, 송곳 꽂을 땅도 없다
[참고] 번역문
論門閥之弊, 문벌만 중시하는 폐단을 논하다
[참고] 번역문
兩班傳, 양반의 위선과 폭압을 질타하다
許生傳, 북벌론의 허상
[참고] 번역문
北學議序, 선진문물의 수용과 이용후생
湯論, 임금을 세우는 건 백성이다
[참고] 번역문
제6장 문학의 세계
天高日月明, 자연의 아름다움
松竹雪月頌, 솔과 대, 눈과 달을 노래함
黃鳥歌, 유리왕의 사랑과 고독
願往生歌, 왕생을 기원한 간절함의 노래
[참고] 願往生歌 해독
金現感虎, 김현과 호녀의 사랑 그리고 호원사
溫達傳, 온달과 평강공주의 사랑
鄭澈의 三別曲, 자국어 문학의 가치
九雲夢, 인생의 의미를 반추하다
[참고] 完板本 現代語譯
傳奇?, 소설을 읽어주는 노인
動動, 월령체로 노래한 사랑
閨怨歌, 규방 여인의 고독을 노래하다
歎窮歌, 가난에 대한 해학적 승화
成春香歌, 불변의 사랑
제7장 한시의 세계
乙支文德, 贈隋右翊衛大將軍于仲文
崔致遠, 秋夜雨中
朴寅亮, 伍子胥廟
崔?, 絶句
金富軾, 甘露寺次惠遠韻
鄭知常, 送人
李仁老, 山居
李穡, 浮碧樓
禹倬, 映湖樓
鄭道傳, 訪金居士野居
權近, 耽羅
徐居正, 春日
魚無迹, 流民歎
曺植, 題德山溪亭柱
黃眞伊, 詠半月
西山大師, 野雪
林悌, 無語別
李玉峰, 閨情
李好閔, 龍灣行在 聞下三道兵進攻漢城
柳夢寅, 題寶蓋山寺壁
李安訥, 四月十五日
吳達濟, 寄內
朴趾源, 燕巖憶先兄
金正喜, 悼亡
黃玄, 絶命詩
安重根, 哈爾濱歌
제8장 한국학 논고 읽기
마을 民俗의 價値와 調査의 必要性
生態條件을 考慮한 마을民俗 새로 보기
韓國 衣食住生活의 地域性과 階層性
妻家살이 風習과 半親迎
다시 男子가 丈家가는 世上을 위하여
韓國 民俗宗敎의 槪念과 性格
日帝强占期 村落 政策과 마을 社會의 變化
1960年代 以前, 農村의 ‘서리’ 慣行과 그 意味
安東의 祝祭와 놀이 傳統
內陸에서 만들어진 安東간고등어
百濟와 高句麗 故地에 對한 唐의 支配 樣相
兩班, 그들은 누구인가
19世紀 後半 嶺南儒林의 政治的 動向
抗日鬪爭期의 進步와 保守 區分 問題
禹倬의 易學과 思想
뜻으로 본 李滉의 聖學十圖
敬堂 張興孝 先生의 하루
[부록 1] 文史哲 기초 자료
六書, 漢字의 形成 原理
漢文의 構造
漢詩의 型式과 分類
漢文 散文의 文體와 分類
韓國 歷代 詩選集
詩話集의 編纂과 特徵
收取制度의 種類와 變化 樣相
身分制의 變遷 樣相
科擧制의 種類
朝鮮時代의 中央政治機構
地方制度의 整備와 地方官職
諸子百家와 主要 思想
儒學의 古典
儒學의 歷史와 主要 槪念
[부록 2] 한문 기초 자료
나이를 나타내는 漢字 語彙
五行과 象徵 意味
干支와 六十甲子
二十四節氣
口訣과 口訣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