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통일 논쟁 = Twelve questions on making Korean unification : controversies and new approaches : 12가지 쟁점, 새로운 모색 / 편저 : 박순성 ;지은이 : 강성윤,고유환,김영수,김학성,박종철,유호열,이상만,전현준,조성렬,최대석,최완규,최진욱
통일 논쟁 = Twelve questions on making Korean unification : controversies and new approaches : 12가지 쟁점, 새로운 모색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통일 논쟁 = Twelve questions on making Korean unification : controversies and new approaches : 12가지 쟁점, 새로운 모색 / 편저 : 박순성 ;지은이 : 강성윤,고유환,김영수,김학성,박종철,유호열,이상만,전현준,조성렬,최대석,최완규,최진욱
  • ·발행사항 파주 : 한울 아카데미, 2015
  • ·형태사항 258 p. ;23 cm
  • ·총서사항 (북한연구학회 연구총서 ;05)(한울아카데미 ;1793)
  • ·주기사항 기획: 북한연구학회
    참고문헌 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46060081(반양장)  94340 : \17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40.911  듀이십진분류법-> 320.9519  
  • ·주제명 남북 통일[南北統一]통일 방안[統一方案]남북 통일 문제[南北統一問題]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편저: 박순성 ;지은이: 강성윤,고유환,김영수,김학성,박종철,유호열,이상만,전현준,조성렬,최대석,최완규,최진욱 2015 SE0000214537 340.911-16-44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발간사  |  박종철
서문 남남갈등 극복을 위한 통일 논쟁 안내서 | 박순성
제1부통일담론과 통일방안
제1장 통일담론의 두 가지 패러다임: 국가담론인가 민족담론인가? | 최완규
1. 머리말
2. 국가우선주의적 패러다임에 입각한 통일 논의
3. 민족우선주의적 패러다임에 입각한 통일담론
4. 맺음말: 새로운 통일담론을 위해
제2장 통일 대비와 분단 관리를 넘어서: 통일방안을 다시 생각하다 | 김학성
1. 머리말
2. 통일 대비와 분단 관리의 주요 관점 비교
3. 새로운 통일방안에 대한 논의와 문제점
4. 맺음말: 양 시각의 대립을 넘어서는 대안적 통일방안의 모색
제3장 남남갈등과 통일담론의 지평 | 박종철
1. 머리말
2. 한국 사회의 갈등과 남남갈등에 대한 인식
3. 남남갈등의 다층성과 복합성
4. 맺음말: 남남갈등을 넘어
제4장 통일한국을 그리다 | 강성윤
1. 머리말
2. 통일의 전제와 쟁점
3. 제도적 민족공동체의 완성
4. 통독 25년의 오늘
5. 맺음말: 보이지 않는 마음의 장벽
제2부 남북관계와 대북·통일정책
제5장 남북대화의 역사적 교훈과 통일 정세 | 유호열
1. 머리말
2. 남북한 체제 경쟁과 7·4남북공동성명
3. 남북대화 탐색과 다변화 시도
4. 남북 정부 간 회담과 기본합의서 및 비핵화공동선언
5. 남북 간 신뢰 구축과 6·15남북공동선언
6. 맺음말: 10·4남북정상선언 이후의 과제
제6장 남한은 북한을 변화의 길로 이끌 수 있는가? | 전현준
1. 머리말
2. 북한 변화 문제에 대한 논쟁
3. 북한 붕괴 문제에 대한 논쟁
4. 대북 ‘퍼주기론’의 문제
5. 맺음말: 북한 사회 변화에 따른 한국의 대북정책
제7장 블루오션 북한? 남북경협과 한반도경제권 | 이상만
1. 머리말: 통일경제권의 형성
2. 통일의 경제적 영향: 통일비용과 통일 편익
3. 남북경협의 현주소
4. 맺음말: 통일경제 실현을 위한 과제
제8장 남북은 서로 얼마나 알고 있나?: 사회문화공동체인가 문화적 공존인가? | 김영수
1. 머리말: 너무 오래 떨어져 살았다
2. 교류·협력의 비대칭성
3. 서로 얼마나 알고 있나
4. 통일시대로 나아가기 위한 과제
5. 대북 인도적 지원은 통일로 가기 위한 길인가?
6. 맺음말: 통일인가 공존인가?
제3부 통일환경과 통일외교
제9장 바람직한 통일외교 | 최대석
1. 머리말
2. 통일외교, 왜 중요한가?
3. 통일외교의 전개
4. 기존 통일외교, 무엇이 문제였나?
5. 통일외교, 어떻게 풀어가야 하나?
6. 맺음말: 통일외교가 성공하려면
제10장 53년체제의 극복과 한반도 평화체제 | 조성렬
1. 머리말: 한국 사회의 과제와 53년체제
2. 냉전시대 53년체제의 성립과 내재화
3. 냉전의 종식과 53년체제의 변용
4. 53년체제의 재강화와 평화체제의 불필요-불가피 논쟁
5. 맺음말: 53년체제를 넘어 평화체제 만들기
제11장 북핵 문제와 한반도 평화 | 고유환
1. 머리말
2. 북한 생존전략과 미국 세계전략의 충돌
3. 북한의 3차 핵실험과 위협 인식
4. 북핵 고도화를 막기 위한 단계별 해법
5. 맺음말
제12장 G2시대와 한국의 통일외교 안보전략 | 최진욱
1. 머리말
2. 미·중 패권 경쟁시대: 동북아시아 질서 재편
3. 북한의 현실과 미래: 시장화와 병진노선
4. 한국의 전략적 선택
5.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