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속도의 풍경 = Landscape of speed : sensibility of North Korean art & literature in chollima period : 천리마시대 북한 문예의 감수성 / 단국대학교 부설 한국문화기술연구소,김수복,홍지석,오창은,배인교,이지순,이지용,남원진,정영권 편
속도의 풍경 = Landscape of speed : sensibility of North Korean art & literature in chollima period : 천리마시대 북한 문예의 감수성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속도의 풍경 = Landscape of speed : sensibility of North Korean art & literature in chollima period : 천리마시대 북한 문예의 감수성 / 단국대학교 부설 한국문화기술연구소,김수복,홍지석,오창은,배인교,이지순,이지용,남원진,정영권 편
  • ·발행사항 [광명] : 경진출판, 2016
  • ·형태사항 269 p. :삽화 ;23 cm
  • ·총서사항 (북한문학예술 ;11)
  • ·주기사항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2014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4S1A5B8067326)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59965021  93810 : \15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810.9062  한국십진분류법-> 600.911  듀이십진분류법-> 895.709  듀이십진분류법-> 700.95193  
  • ·주제명 북한 문학[北韓文學]문예 활동[文藝活動]북한 문화 예술[北韓文化藝術]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단국대학교 부설 한국문화기술연구소,김수복,홍지석,오창은,배인교,이지순,이지용,남원진,정영권 편 2016 SE0000214474 810.9062-16-1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책머리에4
제1부 노동의 풍경과 속도
사회주의 리얼리즘과 조선화: 북한미술의 근대성_홍지석
1. 천리마시기, ‘새로운’ 미술의 향방
2. 사회주의적 내용과 민족적 형식: 유화와 조선화
3. 조선화와 ‘새로운 미감’
4. 테크놀로지와 예술: 사진과 조선화
5. 기계적 몽타주와 회화적 몽타주
6. ‘특이한’ 또는 ‘다른’ 근대
전후 복구시기 북한 노동계급의 성격화 양상: 윤세중의 『시련속에서』와 1950년대 노동현장_오창은
1. 노동의 ‘활력’, 문학의 ‘생동’
2. 식민지 시대의 작가에서 ‘노동자들이 사랑한 작가’로
3. ‘이상화된 주인공’과 ‘이상적 주인공’
4. 시대와 인간: 『시련속에서』의 인물 성격화 양상
5. 노동현장의 시련 속에서
북한의 천리마운동시기 음악적 감성: 노래집 『풍어기 휘날리자』를 중심으로_배인교
1. 수산업에서의 천리마운동
2. 천리마운동시기 수산업 독려와 어로요 창작 요구
3. 『풍어기 휘날리자』 수록 가요의 음악적 분석
4. 현대적 감성과 민요의 유대
5. 청춘의 열정을 바다로
제2부 천리마의 서정
풍경화와 서정성: 1950년대 후반 북한미술 담론의 양상_홍지석
1. 문제적 장르 ‘풍경화’
2. 1957년 북한미술의 ‘풍경’
3. 예술적 視: 풍경화와 서정성
4. 서정의 경직 또는 주객의 딜레마
5. 민족적 형식의 문제: 풍경화, 유화, 그리고 조선화
6. 사회주의 리얼리즘과 풍경화
북한 서정시가 욕망하는 스토리텔링: 천리마 영웅 스토리 전사(前史)_이지순
1. 서정시 경계를 넘어온 이야기
2. 인민의 언어로 세운 서정시
3. 선전과 설득의 스토리텔링
4. 서정시의 영웅 이야기
5. 서사지향성의 표지들
천리마시대에 나타난 북한식 서정의 양상: 『리용악 시선집』(1957)을 중심으로_김수복?이지용
1. 전후 북한에서의 서정의 필요와 천리마시대
2. 『리용악 시선집』에서 나타난 북한식 서정의 특징
3. 서정의 사회주의적 전유와 천리마시대의 필요
제3부 남과 북, 분단의 시대
남북의 민족문학 담론_남원진
1. 근대 기획과 함께
2. 민족 ‘신화’의 발명과 내셔널리즘
3. 이형동질성, 남북 민족문학 담론
4. 근대주의 담론을 넘어서
영화 와 1960년대 북한의 ‘남조선혁명’_정영권
1. 북한영화의 남한재현과
2. ‘남조선혁명전략’과 조국통일주제 영화
3. 에 나타난 ‘남조선혁명’
4. 북한영화의 남한역사 인식, 남겨진 과제
지은이 소개
발표지면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