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영어교육을 알면 영어가 보인다 / 김태영 지음
영어교육을 알면 영어가 보인다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영어교육을 알면 영어가 보인다 / 김태영 지음
  • ·발행사항 서울 : 글로벌콘텐츠, 2016
  • ·형태사항 308 p. :천연색삽화, 초상 ;23 cm
  • ·주기사항 참고문헌: p. 305-308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58520793  93370 : \15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74.74  듀이십진분류법-> 375.42  
  • ·주제명 영어 교육[英語敎育]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김태영 지음 2016 SE0000212275 374.74-16-1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머리말
프롤로그
Part I 나도 이젠 영어교육 전문가!
제1장 영어교육, 언어 학습의 기본부터 이해하자!
1. 기본 용어
2. 우리는 적어도 유창한 한국어 네이티브랍니다! 언어학자 노엄 촘스키
3. 사춘기 이후에도 언어를 잘 배울 수 있을까?: 결정적 시기 가설
제2장 말은 어떻게 배우지? 모국어와 제2언어 습득 이론들
1. 우리말 습득의 이론들
2. 제2언어 습득의 이론들
제3장 언어의 핵심은 의사소통! Plus, 이제는 문화 이해가 필요해요!
1. 의사소통 능력? 그게 뭘까?
2. 알고 있는 걸 다 말할 수는 없어요: 잠재적 언어능력 vs. 표면적 언어수행
3. 넌 언어능력과 언어수행을 구분할 수 있니?
4. 델 하임즈가 말하는 의사소통 능력
5. 언어에 일곱 가지 기능이 있다고?! 마이클 할리데이
6. 커낼리와 스웨인(1980)이 제안하는 외국어 학습에 필요한 의사소통 능력
7. 제임스 커민스(1979)의 BICS와 CALP란?
8. 다른 나라 사람과 이야기할 때 명심해야 할 타문화에 대한 이해
9. 문화와 언어에 대한 편견은 NO!!!
10. 영어가 갑(甲)이면 우리말은 을(乙)일까?!: 언어의 우열?
제4장 영어교육은 머리, 마음, 환경이 모두 다 함께!
1. 영어를 배우는 건 머리로 하는 일이지! 인지적 요인들
2. 영어를 배우려는 마음이 중요하지! 정서적 요인
3. 영어 배울 때는 우리 주변 환경도 중요해! 사회문화적 요인들
4. 언어, 사고, 문화, 그 관계에 대하여…
Part II 지금껏 영어를 어떻게 가르쳐 왔을까? 영어교육사 이야기
제1장 GTM부터 새로운 시도의 혼란기까지 (1970년대까지)
1. 라틴어 문법 교육이 서양에서의 외국어교육!
2. 외국어교육의 시작은 라틴어와 그리스어에서부터(17~19세기)
3. 19세기의 직접식 교수법과 큰 성공을 거둔 벌리츠 어학원
4. 먹고살기 바빴던 1920년대: 세계 대공황과 외국어교육의 쇠퇴
5. 계속 듣고 될 때까지 따라합니다(1940~1970년대 초반): 청화식 교수법
6. 지루한 영어 랩 시간! 1970년대 청화식 교수법의 쇠퇴
7. 아이들 입장에서 생각해 보자구요: 1970년대에 등장한 인본주의적/대안적 접근법
제2장 체계적 교수법의 시작과 최근의 변화까지 (1980년대~현재)
1. 드디어 체계적 영어교육 방법이 시작된다! 1980년대
2. 컴퓨터의 발달과 영어교육 이론의 정교화: 1990~2000년대 초반
3. 2000년대 이후 요즘에는 무슨 일이? 가장 최근의 영어교수법
Part III 우리나라에서의 영어학습
제1장 우리나라 영어교육의 변화
1. 100년 전쯤에 우리는 영어를 어떻게 배웠을까?
2. 영어 교과서도 이젠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이 포인트!
3. 국제 공용어로서의 영어의 지위는 여전히 대단하네!!
4. 의사소통 중심 영어교육의 가능성과 교수법의 선별적 선택
5. 우리나라에서는 어떤 책으로 학생들이 공부했을까? 흘러간 스타 저자와 스타 강사
6. IMF 사태와 ‘이해찬 세대’ 이후의 영어교육의 변화
7. 영어 특기자 전형에 대한 2010년 이후 대학의 입장
제2장 우리나라에서 영어를 배운다는 것
1. 우리나라에서 영어공부 10년 해 봐야 아무 소용없다?!
2. 영어를 잘하려면 시간이 얼마나 걸릴까?
3. 영어를 잘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4. 어학연수 과연 효과가 있는 걸까?
에필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