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한국 근현대사 역사의 현장 40 : '근대의 심장' 경복궁에서 '분단의 상징' 판문점까지 / 교수신문,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로컬리티의인문학연구단 외 지음
한국 근현대사 역사의 현장 40 : '근대의 심장' 경복궁에서 '분단의 상징' 판문점까지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한국 근현대사 역사의 현장 40 : '근대의 심장' 경복궁에서 '분단의 상징' 판문점까지 / 교수신문,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로컬리티의인문학연구단 외 지음
  • ·발행사항 서울 : Humanist(휴머니스트 출판그룹), 2016
  • ·형태사항 399 p. :삽화, 지도, 초상 ;23 cm
  • ·주기사항 색인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58624646  03910 : \22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911.06  듀이십진분류법-> 951.903  
  • ·주제명 한국 근대사[韓國近代史]한국 현대사[韓國現代史]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교수신문,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로컬리티의인문학연구단 외 지음 2016 SE0000211490 911.06-16-5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교수신문,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로컬리티의인문학연구단 외 지음 2016 SE0000238724 911.06-16-5=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1부 근대의 심장을 찾아서 - 개항부터 한국병합까지
경복궁  권력성의 토폴로지로 점철된 공간
◎ 보이기와 보기, 이용하기의 기시감
덕수궁  ‘제국의 운명’이 엇갈린 곳
장충단공원  오욕의 역사가 아로새겨진 공간
남산  아픈 권력의 공간에서 즐거운 일상의 공간으로
◎ 건축으로 따라가 본 남산의 현장
옛 부민관·서울시의회 청사  한국 정치의 ‘중심의 주변’
◎ 복합 문화 공간에서 문화 통제의 상징으로 변질되다
◎ 재활용을 거듭한 건물
명동·충무로  금융·경제·소비문화의 중심, ‘경성의 긴자’
2부 머나먼 여정, 식민에서 독립으로 - 일제강점기부터 해방까지
옛 서대문형무소  민족 해방을 위한 번제의 제단
◎ 문학 작품에 비친 서대문형무소
탑골공원  황제의 권위를 상징하는 장소에서 저항의 못자리로
천도교 중앙대교당  항일 투쟁과 민중 집회의 거점
◎ 역사로 보는 천도교의 흥망성쇠
인천항  굴곡진 이미지를 벗고 새로운 정체성 찾기
◎ 경계의 공간 - 영화와 드라마 속 인천
목포항  동백꽃처럼 타오르다 슬프게 시든 도시
◎ 목포가 낳은 문화예술인
군산항  일제강점기 쌀 수탈의 본거지
◎ 채만식이 《탁류》에서 그린 군산항
옛 광주고등보통학교  청년 학생 운동의 시발점
◎ 진리의 장소를 산다는 것
부산항  근대 국가의 성장 동력으로 불린 공간
◎ 예술의 무대가 된 부산항
옛 부산동척빌딩·미문화원  시대의 질곡이 주름처럼 새겨진 곳
◎ 복수의 이름을 가진 곳에서 기억과 치유의 장소로
상하이 대한민국 임시정부청사  동아시아 혁명의 거점에 자리했던 조선 독립운동의 심장부
◎ 역사에 묻힌 상하이 대한민국 임시정부청사 풍경
만주  역사 인식이 충돌하는 항일 무장 투쟁의 무대
3부 새로운 출발, 그러나 아픈 - 해방 후부터 1960년대까지
청와대  권력의 장소에서 열린 소통의 공간으로
◎ 청와대와 풍수 정치학
경교장  거듭된 반전의 역사, 박제된 장소성
이화장  서로 다른 기억이 충돌하는 공간
서울대학교  지워진 시간의 흔적과 공간의 정치학
◎ 역대 서울대학교 총장의 계보
제주도  치유되기 힘든 푸른 평화의 섬
◎ 조작된 평화와 가상현실의 세트장
지리산  산화한 넋들의 이야기를 품다
◎ 영원한 ‘소수의 화원’
거창  산 자와 죽은 자의 공명이라는 숙제
소록도  회고적 다크투어의 대상이 된 추방의 땅
◎ 시와 소설에 그려진 ‘작은 사슴의 섬 ’
부산국제시장  삶의 애환과 생존 경쟁이 끓어오르던 용광로
판문점  장벽이자 통로라는 이중성을 내포한 장소
용산  100여 년간 이어진 외국군 주둔의 현장
◎ 용산과 삼각지는 어디에?
매향리  죽음 같은 폭음이 멎은 땅
4부 영광의 길목 - 1970년대부터 오늘날까지
마산 앞바다  그 바다에서 역사가 솟구쳐 올랐다
◎ 3·15의거와 김주열 열사
국립4·19민주묘지  살아남은 자의 비루함, 혹은 역사의 아이러니
◎ 영원한 청년들의 기묘한 동거
울산공업지구  근대화를 견인한 중화학 단지의 두 얼굴
포항제철  모래 벌판에서 일군 ‘성공 신화’의 명암
여의도광장  생태공원으로 덮어버린 광장의 기억
경부고속도로  근대화를 향해 질주한 ‘마음의 고속도로’
서울역  탈향·민주화·시간을 가속화한 수도의 관문
◎ 무성 영화에 그려진 경성역
구로공단  산업화가 만들어낸 고난과 희망의 교차로
◎ 허기진 ‘노동의 새벽’에서 ‘외딴방’의 성장통까지
청계천 평화시장  개발과 복원으로 사라진 청계천의 역사
◎ 전태일다리 너머로 바라본 세상
금남로와 옛 전남도청  민주화 운동의 지성소
◎ 오월의 기억을 말한다는 것
명동성당  ‘아고라’에서 ‘구원과 선교의 성당’으로
◎ 명동성당 건축 약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