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고대중국 철학사상 / 송영배 지음
고대중국 철학사상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고대중국 철학사상 / 송영배 지음
  • ·발행사항 서울 :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4
  • ·형태사항 409 p. ;24 cm
  • ·총서사항 (유교문화연구총서 ;17)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55500880  94150 : \25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152  듀이십진분류법-> 181.11  
  • ·주제명 철학 사상[哲學思想]중국(국명)[中國]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송영배 지음 2014 SE0000206716 152-15-17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ㆍ서문
제1장 공자의 ‘인仁’ 사상과 사회윤리론
1. 문제 제기
2. ‘인’사상의 개념적 분석
3. 당대 사회경제적 변화 속의 ‘인仁’ 사상
4. 인본주의 사상과 유가적 존재론의 발단
5. 맺음말
제2장 묵가墨家학파의 진보주의적 철학
1. 머리말
2. 묵가의 출발점: ‘겸상애兼相愛와 교상리交相利’
3. ‘겸이역별兼以易別’의 이상론
4. 묵가집단의 공공이익[公利] 중시와 침략전쟁 반대[非攻]론
5. 강한 주체적 실천과 운명 반대[非命]론
6. 공공 이익 중시의[公利的] 종교관과 현자賢者 독재론
7. 맺음말
제3장 양주학파의 개인주의적 철학
1. 머리말
2. 문제 제기
3. 위아爲我론과 불간섭주의
4. 경물중생의 논리
5. 감성적 인간 존재의 절욕론
6. 맺음말
제4장 상앙商?학파의 법치주의 철학
1. 문제 제기
2. 상앙 사상의 출발점: 절대국가권력의 창출
3. 진보적 역사관과 개혁의 논리
4. 법치이론의 진보성과 반동성
5. 중형경상重刑輕賞론과 반反문화적 군국주의
6. 맺음말: 유가와 법가의 대결
제5장 『노자』철학의 이중성: 개인주의적 철학과 황로黃老사상
1. 문제 제기
2. 『노자』 텍스트들의 비교연구와 현행본 『노자』의 성립
3. 손무孫武의 ‘이무제유以無制有’ 병법兵法원리
4. 『노자』의 형이상학적 담론과 ‘이무치유以無治有’의 패러다임
5. 결론: ‘이무치유’의 도술에서 황로학의 탄생
제6장 장자莊子의 개인주의적 철학과 관념적 자유정신
1. 머리말
2. 사회적 위기의식과 개인의 자유의식
3. 유묵儒墨의 ‘의지적 천天’ 관념의 부정과장자의 ‘자연적 천天’ 관념
4. 장자의 상대주의적 인식이론: 이념적 명분론의 부정
5. 장자의 자유의식
6. 맺음말
제7장 제자백가의 다양한 전쟁론과 철학적 문제의식
1. 문제 제기 : 기원전 4-3세기 전국戰國시대 전쟁의 사회적 역할
2. 법가와 병가의 주전론主戰論과 국가 공리주의
3. 유가儒家의 의전義戰론과 왕도王道정치의 이상
4. 묵가의 ‘만민박애’[兼愛]의 이상과 ‘침략전쟁 반대’[非攻]론
5. 도가학파의 ‘전쟁부정’론과 내면적 자유의 추구
6. 결론
제8장 ‘상관적 사유’와 유기체적 생명의 이해 ―장자와 한의학의 유기체적 생명원리를 중심으로
1. 문제 제기
2. 장자의 ‘탈인간중심주의’와 유기체적 생명철학
3. 한의학의 ‘음양오행의 상관적 사유’와 ‘유기체적’생명 이해
4. 상관적 사유의 의미 함축: 장자에서 유위有爲를 넘어서는 무위無爲의 지평과 자유정신
5. 맺는 말: 21세기 최첨단 과학기술시대에 동양의 ‘상관적 사유’와 유기체적 생명관은 무슨 의미를 가지는가?
제9장 『장자莊子』에서 대화對話의 의미
1. 머리말
2. 언어의 한계와 인식의 상대성
3. 우화寓話 속의 대화對話
4. 맺음말
제10장 동중서董仲舒의 역사철학 ―동씨董氏 춘추학春秋學의 역사철학적 의의와 한계
1. 문제 제기
2. 추연鄒衍의 오덕종시설과 동씨 춘추학의 출발점: 개제改制
3. 동중서 개제改制의 역사이론: 삼통三統설과 사법四法설
4. 왕도王道론과 인본주의 역사관
5. 맺는 말
부록: 세계화 시대 유교적 윤리관의 의미
1. 들어가는 말
2. ‘아시아적 가치’와 ‘유교식 자본주의’ 담론의 허와 실
3. ‘근대’ 과학주의의 팽창과 ‘도구적’ 이성의 비극
4. ‘도구적’ 이성 비판의 목소리와 유교적 ‘덕’론의 만남
5. 유교의 ‘유기체적’ 도덕 형이상학에 대한 재평가
6. 맺는 말: 유교적 윤리관은 ‘세계화’ 시대에 의미 있는대안이 될 수 있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