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이야기 가야사 : 신화 시대부터 가야의 후손 김유신까지 / 김경복,이희근 지음
이야기 가야사 : 신화 시대부터 가야의 후손 김유신까지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이야기 가야사 : 신화 시대부터 가야의 후손 김유신까지 / 김경복,이희근 지음
  • ·판사항 개정판
  • ·발행사항 파주 : 청아출판사, 2010
  • ·형태사항 256 p. :천연색삽화, 천연색지도, 천연색초상 ;23 cm
  • ·주기사항 "가야와 삼국의 비교연표" 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36804107  04900 : \14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911.0359  듀이십진분류법-> 951.901  
  • ·주제명 가야사[伽倻史]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김경복,이희근 지음 2010 SE0000205749 911.0359-15-6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머리말
1. 가야는 신비의 왕국이었나
'신비의 왕국' 가야사 연구를 촉발시킨 고문
- 도굴꾼들에 의해 발견된 창원 다호리 유적
- 고분발굴로 신비의 베일을 벗은 가야왕국
- 인류 역사와 문화의 보고, 고분
- 임나일본부설을 뒷받침하기 위해 시작된 발굴
- 임나일본부설의 허구성을 폭로한 복천동 고분군
- 기마민족 이동설의 논란이 된 대성동 고분군
- 전기 가야사의 실체를 밝혀 준 양동리 고분군
김수로왕의 건국신화는 허구에 불과한가
- 수로왕은 북방에서 내려온 유이민
- 수로 신화가 후대로 갈수록 신성화 되는 이유
- 수로 신화에는 가락국 역사가 반영되어 있다
수로왕의 부인 허왕후는 인도인인가
- 허왕후의 출신지를 둘러싼 논쟁들
- 쌍어문은 조선 시대에 만들어진 것
- 불교적으로 윤색된 허왕후 신화
- 허왕후 신화를 신성화시킨 까닭
철의 왕국 가야
- 문헌에 나타난 철의 왕국
- 고대사회에서 철은 어떤 의미인가
- 철을 다스리는 왕, 수로
-  철기 독점이 불러온 포상팔국의 난
- 국제무역품으로 유명했던 덩이쇠
가야 불교는 수로왕대에 전래되었는가
- 한반도에 불교가 전래된 시기는 언제인가
- 고대국가에서 불교 수용은 어떤 의미인가
- 가야의 불교 수용
- 가야의 불교 남방 전래설
- 가야 불교 초전 기록을 어떻게 해석 할 것인가
- 신라 불교의 바탕이 된 가야 불교
2. 임나일본부의 실체는 무엇인가
임나일본부는 실제로 존재하는가
- 임나일본부설을 둘러싼 논쟁들
- 《일본서기》에 나타난 임나의 의미
- 임나일본부의 실체
기마민족은 일본 천황가의 시조인가
- 일본인들을 충격에 빠뜨린 기마민족설
- 기마민족설에 대한 반론들
신판 기마민족설이란 무엇인가
- 새롭게 고개 드는 기마민족설
- 부여족 남하설이란
- 남하한 부여족은 금관가야 쇠퇴 후 어떻게 되었을까
- 부여족 남하설의 문제점
대외 관계로 본 가야인의 생존전략
- 5세기 이전 가야의 대외 관계
- 광개토대왕의 남하정책이 가야 연맹에 미친 영향
- 대가야 중심의 자주적인 대외 활동
- 금관가야의 멸먕과 안라의 노력
- 가야 연맹 멸망기의 대외 관계
가야인의 일본 열도 진출
- 가야는 일본인이 처음으로 인식했던 외국
- 고훈 문화로 본 가야인의 일본 진출
- 건국신화와 문헌으로 본 가야인의 일본 진출
- 일본 속에 심어진 가야 지명
3. 전기 가야 연맹과 후기 가야 연맹
가야 연맹은 6가야로 이루어졌나
- 6가야 연맹은 어떻게 생긴 개념인가
- 수로 신화에 나타난 여섯 알의 의미
- 성산가야는 신라 말에 생겨난 이름
- 6가야가 아닌 12개의 가야 소국
대가야는 후기 가야 연맹의 맹주국이었나
- 제3의 강대국 아라가야
- 안라 회의를 계기로 2대 주도 세력으로 성장
- 대가야ㆍ안라 남북 체제의 성립
- 백제가 주도한 두 차례 사비 회의
- 자구 노력의 실패와 백제 부용화
전기 가야 연맹이란 무엇인가
- 전기 가야 연맹은 어떻게 이루어졌나
- 전기 가야 연맹의 사회 구조
- 경제 기반은 철 산업과 원거리 교역
- 수로왕은 신라보다 우월했던 강력한 정치 세력
전기 가야 연명의 발전과 해체
- 포상팔국의 난과 가야 지역의 분열
- 백제-가야-왜를 아우르는 대외 교역망
- 광개토대왕의 남정과 전기 가야 연맹의 몰락
후기 가야 연맹은 어떻게 형성되었나
- 대가야가 중심이 된 후기 가야 연명
- 대가야의 등장을 반영한 건국신화
- 대가야 세력권의 확립
- 후기 가야 연맹의 성장 기반
- 후기 가야 연맹의 영역
가야는 왜 연맹왕국으로 남았는가
- 분지에 자리 잡은 가야 연맹 소국들
- 해외교역 중심의 경제력 기반
4. 가야의 멸망
금관가야는 어떻게 멸망했는가
- 금관가야를 멸망으로 이끈 혼인동맹
- 안라 중심으로 이루어진 가야인의 자구 노력
- 멸망 때도 강한 세력을 유지했던 금관국
- 분하라 점령으로 멸망한 가야 남부 연맹
가야금과 우륵 12곡
- 변진의 고유 현악기에서 유래된 가야금
- 가야 소국명에서 유래된 우륵 12곡
- 우륵이 12곡을 만든 까닭
- 신라는 왜 우륵 12곡을 적극 수용했나
대가야 멸망의 전말
- 우륵의 투항으로 예견된 대가야의 멸망
- 안라의 무력화와 관산성 전투의 패배
- 신라의 한강 유역 진출과 가야 병합
- 대가야의 멸망은 어떤 모습인가
가야 멸망 후 유민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 진골에 편입된 금관가야의 후손들
- 군사력을 바탕으로 성장한 김유신 가문
- 김유신 가문에 얽힌 혼인설화
- 삼국통일의 주역 김유신
- 김유신마저도 가야인의 한계를 뛰어넘지 못했다
가야와 삼국의 비교연표